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09)
두암초당(斗巖草堂)을 찾아서 전북 고창 아산초등학교 아산초등학교 교정에서 바라본 전좌바위 (두락암)  두락암과 두암초당 천길 벼랑 아래 위태위태하게 걸려 있는 두암초당  단순히 초당의 배경이 되는 바위가 말(斗)을 닮아서 두암초당...?아니면, 호암과 인천선생의 행적과 가풍이 마치 곡식을 계량하는 말(斗)처럼 반듯했다는 의미까지...?  하서의 제자였던 호암 변성온과 인천 변성진 형제의 학문을 예찬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듯. 서체의 주인공이 궁금하다.이 고장 고창 도산리 출신으로 장성의 유학자 송사 기우만을 사사하고 해강 김규진으로 부터는 서화을 익혀 난과 대나무 그림을 잘 그렸다는  그 김정회 선생 (?)   두암초당에 좌정하여 내려다 보니... 노사 기정진의 글  하서 김인후의 글 고산경행이라...아마도 호암 변성윤 선생의 높은..
춘마곡(春麻谷)이 궁금하여 / 철승산 ▲ 철승산 (410.7m) - 충남 공주시 사곡면                 ▶ 춤다리 ~ 남가섭암 ~ 철승산(깃대봉?) ~ 물란이고개 ~ 활인봉 ~ 샘골 고개 ~                     나발봉(416.9m) ~ 마곡사 ~ 마곡사 주차장 (약 4 시간 소요)                ▶ 2009. 4. 9 (목) - 본격적인 들머리 - 고개 바로 너머에 '남가섭암'이 있다. 춤다리에서 이 곳까지 약 1 km 쯤 되는데승용차는 몰라도 버스는 노폭이 좁아서 올라올 수 없다, 나무 사이로 보이는 '남가섭암'   - 철승산 정상 -  (깃대봉 정상?) 영진 5만 지도상에는 분명 철승산으로 표기되어 있건만, 어쩐 일인지 몰라도인터넷에 떠 도는 개념도를 보면 모조리 깃대봉으로 표기하고 있다. - 물..
입암산성의 봄 ▲ 입암산(笠岩山) 626.1m - 전남 장성, 전북 정읍 -                                             ▶ 남창골 ~ 산성골 ~ 정상 ~ 은선골 ~ 남창골 6 시간 소요                                            ▶ 2009. 4. 5 (일)  삼나무 수림대  한식날의 산성골 표정  입암산성의 남문 笠岩山城 (사적지 제384호) 몽골항쟁과 정유재란의 격전지로 삼한시대에축성되었으라 추측한다고.성의 아랫 부분은 백제 때의 것이며 상부는 조선조 때 축성된 것이라고 한다.1894년 11월 29일 우금치 전투에서 관군에게 패한 녹두장군  전봉준이 숨어든 곳 이기도 하다.당시 입암산성을 지키던 별장 이춘선은 전봉준 일행을 체포치 않고 숨겨 주었..
축령산 이야기 마당 - 제4탄 - ● 축령산 이야기 마당  - 제4탄 -              ■ 주제 : 나무와 나                ◆ 강사 - 전영우 (국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교수)               ◆ 장소 - 축령산 휴림(休林)               ◆ 2009. 4. 4 (토)  1979년 축령산을 찾아  임종국 선생과 함께 찍었던 사진을 보여주며"이야기 마당"의 문을 열어 가는 국민대학의 전영우 교수 (사진 상 맨 왼쪽이 전영우 교수, 가운데가 임종국 선생)   전 영 우 (全 瑛 宇)  고려대 임학과와 동 대학원 졸,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 산림생물학 박사현 국민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엔시안 요델 클럽의 카우벨 연주 "에델바이스" 회장 : 김진님기타 : 이관영님, 김한범님플릇 : 이아영님베이스..
천주산 두견화는 아직 일러 피지 아니했고... ▲ 천주산(天柱山) 641m - 경남 창원시, 마산시, 함안군 -                    ▶ 천주암 ~ 천주봉 ~ 용지봉 ~ 농바위 ~ 양미재 ~ 외감 (약 4시간 40분 소요)                   ▶ 2009. 4. 2 (목)  들머리  천주암 흐드러진 진달래.   천주봉  창원시 하경     노랑제비꽃   천주산 진달래 최대의 군락지에 당도해 보니...  애고 ~~~ 이 무시기 사변이란 말인가...?앞으로도 일주일은 더 기다려야 할 듯.   저 건너 작대산 조망  작대산과 천주산 갈림길 양미재 당도, 이 지점에서 외감으로 하산   달천암 입구의 벚꽃 터널  경남 하동으로 이동,  섬진강변 풍경 감상  평사리의 봄 노을진 섬진강     기실, 여수 영취산 진달래가 보고 싶었었다...
'09 탐매(探梅) 열 번째 여정 ● '09 탐매(探梅) 열 번째 여정             ▶ 고불매(古佛梅) - 전남 장성 백양사             ▶ 2009. 4. 1 (수)     江國春風吹不起 강쪽 지방의 봄바람은 아직 불지 않는데     鷓鴣啼在深花裏  자고새 울음 소리 꽃밭 속에 갇혔으나   貳級浪高魚化龍   (부처님 법 깨달은 이) 높은 파도 넘어서 용이 되는 고기 같은데     痴人猶戽夜塘水  어리석은 사람은 깊은 밤 연못의 물을 퍼내는 구나    雨過雲凝曉半開 비 그친 구름 사이 새벽이 반쯤 열려    數蜂如畵碧崔嵬 연이은 산 봉우리가 그림같이 높푸르네   空生不解宴中坐 수보리도 좌중에서 알지 못하니   惹得天花動地來   하늘꽃을 얻고서야 땅까지 흔들릴세         우화루의 주련과 고불매  고불 일출    산괴..
아련한 봄 바다 / 거제 망산 ▲  거제 망산 (397m) 경남 거제시 남부면 일대                   ▶  다포 삼거리 ~ 각지미 ~ 여차등 ~ 내봉산 ~ 호변암 ~ 해미장골등                         ~ 망산 정상 ~ 명사초교   (약 4 시간 소요)                  ▶  2009. 3. 24 (화)    들머리(다포 삼거리)를 출발  다포  수리딸기 생강나무  저구리만 노루귀       대병대도  지나온 루트 가야할 망산 왼쪽부터 대병대도, 소병대도, 매물도, 소매물도, 어류도, 성문도 ...  소병대도   왼쪽은 매물도, 어류도, 소매물도, 오른쪽 앞은 가왕도, 저 멀리 희미한 작은 섬은 국도    왼편 수평선 상에 희미게 보이는 작은 섬은 홍도  소병대도       망산    가라..
'09 탐매(探梅) 아홉 번째 여정 ● '09 탐매(探梅) 아홉 번째 여정                  ▶ 태화강 ~ 밀양강                    ▶  2009. 3. 19 ~ 20   울산 태화강   태화강 대숲  태화강 중류의 선바위  태화강의 일몰을 응시하는 울산의 여인네 도곡 정점교의 다완 (소천선생의 애장품)  이라보 다완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준다는 도곡의 작품.태토 위에 얇게 발라진 유약, 찻잔을 감싸면 손에 굵은 모래알이 느껴진다.  밀양강  다시 찾은 금시당(今是堂)과 금시매(今是梅) 처음 찾아왔을 때는 분명 홍매로 보였는데...  거의 백매 수준에 가까울 줄이야...  붉은 기운이 조금 느껴지지는 하나...  홍매라 하기에는 좀...  도장지를 자르질 않아 영 보기가...  도장지를 자른 다음, 다시 피어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