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09)
고산유감(高山遺憾) 高山 (528m) 전남 장성 ~ 전북 고창                  ◆ 상금리 ~ 가릿재 ~ 고산산성 ~ 정상 ~ 용바위 ~ 상금리                 ◆ 2009. 5. 1 (금)  상금리 지석묘 군락 미나리아재비  개별꽃  천남성 고산산성  산성을 따라 웬 大路(?) 아름다운 고산 정수리 바로 아랫 부분을 넓다랗게 까 뭉개버린 현장.도대체 어느 인간의 머리에서 나온 한심한 발상이란 말인가?아~~~ 눈물이 나오는도다. 아름다운 산에 커다란 상채기를 내고 들어선 이 한심한 작태 앞에그저 온 몸이 부들부들 떨려오며 분노가 하늘을 찌를 뿐...  정상 호남정맥상 소둥근재에서 가지를 쳐 입암산, 방장산, 문수산을 거쳐 바로 앞에 보이는 구황산과 지금 서 있는 고산에 당도 남으로 남으로 줄달음치는..
선유도 스케치 선유도 - 전북 군산시               ● 진월리 유람선 선착장 ~ 장자도~ 대장도 장자봉(141m)  ~ 선유봉(112m)                   ~ 망주봉(110m) ~ 진월리 유람선 선착장 (약 5 시간 소요)              ● 2009. 4. 30 (목) 눈 앞으로 다가오는 고군산군도  선유 해수욕장과 망주봉. 왼쪽 멀리로 신시도 대각산 전망대가 보인다. 장자대교 아래를 통과중인 선상에서...   선유대교 아래를 통과  선유 사구에 피어난 해당화  망주봉 코끼리 바위(?)  선유 사구에 자라는 갯식물 군락 갯완두  선유해수욕장과 망주봉  장자대교 대장도 해안 풍경  대장도 장자봉에서의 조망      장자 할머니 바위 선유봉에 올라 바라본장자도(다리 건너)와 그 너머의 대..
영산홍 소고 映山紅 수령 400년 이상의 보호수      이진환 가옥 사랑채 (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242호)장성군 장성읍 백계리 478 야은 이용중(李容中, 1841 ~ 1919)이 만년에 주거하던 곳으로 전면 5칸 측면 2칸 초옥이다.   영 산 홍                   - 서정주 - 영산홍 꽃잎에는산이 어리고 산자락에 낮잠 든슬픈 소실댁(小室宅) 소실댁 툇마루에 놓인 놋요강 산 너머 바다는보름살이 때 소금밭이 쓰려서우는 갈매기   수고 4m,  둘레 13m   자산홍 야 은 재 (野 隱 齋)     막 피어나기 시작하는 백영산(白映山)   야은재 안채    뒷 뜰의 영산홍  이 댁의 150여년 이상 묵은 간장은 전라도 음식의 체통을 지키는 것으로 너무나도 유명하다.    영산홍, 백영산, 자산홍이 ..
춘림한담 (春林閑談) / 운암산 ▲ 운암산 (605m) 전북 완주군                ◆ 산천상회 ~ 후리구석계곡 ~ 암봉(560m) ~ 정상 ~ 산천상회                ◆ 2009. 4. 19 (일)  시야에 들어오기 시작하는 운암산 암릉 수위가 형편없이 낮아진 대아댐  들머리 각시붓꽃 구슬붕이  야생 금낭화 미나리냉이 홀아비잔대 윤판나물 쇠물푸레나무 후리구석계곡을 따라 능선으로 올라와, 먼저 정상 반대편 암봉(560m)을 향해 가면서 돌아본 운암산 정상   560m 암봉  들머리 하경  계곡 아래는 '대아수목원'이고멀리 보이는 능선은 연석산에서 운장산, 구봉산 ,복두봉으로 이어지는 라인이다. 으~~응, 대아수목원 뒷산 라인이 이렇게 생겼구나~~~  정상이 눈 앞으로...  춘림한담(春林閑談)  정상, 아마도  ..
대숲에 일렁이는 바람 전남 담양 소재 죽녹원 대숲아래 울창한 죽로차밭 테너 첨산(노경호)과 국소남의 조인트 넒은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헤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광주 엔시안 요델 클럽 안경잽이 3인조 국내 최장수 요델 ..
선운사 동백연, 금반옥호형 답사 ● 선운사 동백연 - 금반옥호형 (金盤玉壺形) 답사                               ◆ 2009. 4. 17 (금)   선운사 동백은 지금이 초 절정  선운사 경내에서 열린 제 33회 동백연 백일장 고창의 문인과 문화 관계자 여러분  가운데 안경 끼신 분이 고중영 시인          한국서예대전 초대 작가 안병홍님 작  금반옥호형(金盤玉壺形) 답사 병바위 (壺岩) 오른쪽 커다란 바위가 '전좌바위'(斗岩). 맨 아래쪽 평평한 '소반바위' 윗 부분이 '金盤玉壺形' 혈 자리다. 반암마을 들녘에서 바라본 '전좌바위'(오른쪽).멀리 능선상에 보이는 바위는 소위 '九岩' 중의 하나인 '안장바위'다. 전좌바위와 두암초당 斗岩草堂 '소반바위'(앞쪽)와 아산초교 뒷편의 '전좌바위' 과거엔 이 '소..
봄날의 유혹 금낭화 튤립  산작약    복색도화 나무 한 그루에 홍과 백색이 혼재  양지꽃  민들레 홍도  할미꽃   매발톱  정향   김정회 고가에 피어난 자산홍  고산철쭉  두릅    2009. 4. 17 (금)
용틀임과 봉황의 비상 / 용봉산 (龍鳳山) 수암산(秀岩山) ▲ 용봉산(龍鳳山) 381m ~ 수암산(秀岩山) 275m (충남 홍성군~ 예산군)                                  ◆ 용봉초교 ~ 미륵암 ~ 용봉산 ~ 가루실고개 ~ 수암산 ~ 덕산온천 (4시간 30분)                   ◆ 2009. 4. 14 (화) 상하리 미륵불(유형문화재 제87호) 절벽 아래 솟아있는 자연석에다 조성한 입상으로 정수리 부분은 평평하고귀는 직선으로 턱 밑까지 내려왔다. 가늘고 긴 눈, 넓적하고 낮은 코,은은한 미소 등 자비로움이 잘 표현되어 있다. 고려 중기에 조성된충청지방의 불상 형태가 잘 표현되어 있다.(안내문에서 발췌)  용봉산 정상  가야할 라인  가      홍성 신경리 마애석불( 보물 제355호) 자연석의 앞면을 파서 감실을 만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