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산 풍속화 2
19세기 말 이후, 26×34.7 사체死體를 검시檢屍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검시는 조선시대 관청에서 죽음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시신을 관찰하는일종의 부검剖檢이다. 서울에서는 한성부의 부관部官이, 지방에서는 수령守令이 참관했으며, 관청 소속 아전이 시신을 씻은 후 조사했다. 1890년대, 29.2×35.9 독일 MARKK 사체를 검시하는 모습이다. 좌) 1880년대, 129.2×13.6 모사본 Replica(원본: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 두 명의 죄인이 발목에 채우는 골랑을 하는 모습이다. 조선시대에 감옥의 죄인에게 사용하던 도구에는 목에 채우는 가枷, 손에 채우는 뉴杻, 발에 채우는 질桎 등이 있는데, 질을 골랑, 차꼬, 족가 등으로 불렀다. 우) 1880년대, 18.9×14 모사본 Repl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