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16)
범 종단 회합 범 종단 여러분들과 함께 펼친 도담(道談)의 자리.장소 : 보성 대원사.      대원사 아실암으로 이동.              오늘의 주재자이신 대원사 회주 현장 스님.          티베트 스님께서 들려주시는 신을 부르는 소라  연주.약 이십여 분 동안 단 한 번의 끊김도 없이 이어진 음률은 모든이들을 단박에 영성의 세계로...      들숨과 날숨의 경계 없이 이어지는 고동 소리는 전율 그 자체였다는 사실.     네팔 출신의 영성음악가께서 들려주시는 인도 악기 연주.            마두금(馬頭琴) 연주와 노래 그리고 율동에 이르기까지...     이순남 시인의 자작시 낭송.          아실암 마당에서의 campfire              티베트 스님께서 또 한 번 들려주시는 영성..
조선의 찻사발 - 조선의 찻사발 -                                                                                                                                                                                                                                                                       석반찻상,     차화로                              야나기 무네요시가 사용한 대정호찻사발.      향꽃이,   ● 인용: 김동현 著, 『다기(茶器) 작은 공간의 미학』
다기(茶器) 차꽃            분청덤벙병 / 16세기 후반 / 일본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소장.               (上) 3평이란 물대 끝의 낮은 부분과 다관의 입전 그리고 손잡이 끝이 같은 높이가 되어 수평을 이루는 것이다.(오순택 作). (下) 2평은 물대와 입전의 높이는 수평을 이루지만 손잡이는 의장에 따라 두 부분이 이루는 수평보다더 높거나 낮은 것을 말한다.(박종일 作)   물대 끝에 혀를 만들어 주면 표면장력에 의한 물의 응집현상으로 물대를 타고 흐르려는 물이 이슬처럼 구형(球形)이 됨으로 깔끔한 물 끊음질이 된다.  물대 형태로는 -깔때기 형 · -학목 형 · -물퉁이 형을 기반으로 수 많은 변이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상) 일반입전, (하) 운두가 있는 입전.    ..
중국 삼천년 회화 6 20세기 중국의 전통 회화    오창석(吳昌碩),      오창석, (축), 1916, 종이에 채색.                           (左) 진사증(陳師曾), (축), 1915, 종이에 채색.(右) 고검부(高劍父), (축), 1940년대, 종이에 채색.               (左) 제백석(齊白石), (축), 1949, 종이에 수묵.(右) 제백석, (축), 1954, 종이에 채색.                    (左) 제백석, (축), 1940, 종이에 수묵.(右) 제백석, (축), 1940년대, 종이에 채색.                  (左) 제백석, (축), 1953, 종이에 채색.(中) 부심여, (축), 종이에 채색.(右) 황빈홍(黃賓虹), (축), 1952, 종이에 수묵  ..
중국 삼천년 회화 5 청대(淸代)의 회화      (左) 홍인(弘仁), (축), 청, 종이에 수묵.(右) 곤잔(髡殘), (축), 청(1661), 종이에 채색.     팔대산인(八大山人), (권), 청(1697), 종이에 수묵.               (左) 석도, (축), 청, 종이에 채색.(右) 왕시민(王時敏), (축), 청,(약 1665), 종이에 수묵.     왕감(王鑑), (축), 청(1656), 종이에 수묵.     왕휘(王翬), (권) 부분, 청, 비단에 채색.     왕휘, (축), 청(1712), 종이에 채색.        (左) 왕원기(王原祁), (축), 청, 종이에 채색.(右) 오력(吳歷), (축), 청(1676), 종이에 채색     운수평(惲壽平), (화첩), (화첩).      공현, (권), 청, ..
중국 삼천년 회화 4 명대(明代)의 회화  유준(劉俊), (축), 명, 비단에 채색. 예단(倪端), (축), 명, 비단에 채색.      상희(商喜), (축), 명, 비단에 채색.     석예, ,(권), 명, 비단에 채색 금분.     왕악(王諤), (권), 명, 비단에 담채.     변경소(邊景昭), (축), 명, 비단에 채색.         (左) 손륭(孫隆), (축), 명, 비단에 채색.(右) 임량(林良), (축), 명, 비단에 수묵.       주첨기(朱瞻基), (권), 명(1427), 종이에 담채.       임량, (권), 부분, 명, 수묵 담채.      여기(呂紀), (축), 명, 비단에 담채.      여기(呂紀),           (左) (화첩), 명, 종이에 담채.(右) (축), 명, 종이에 채색   ..
중국 삼천년 회화 3 원대(元代)의 회화  조맹견(趙孟堅), (부채), 원, 비단에 수묵.     공개(龔開), (권) 부분, 원, 종이에 수묵.     전선(銓選), (권), 원, 종이에 담채.      전선, (권), 부분, 원, 종이에 수묵 담채.      조맹부(趙孟頫), (권), 부분, 원, 비단에 채색.      조맹부, (권), 부분, 원(1295), 종이에 채색.      조맹부, (권), 부분, 원(1302), 종이에 수묵.      조맹부, (권), 원(1296), 종이에 채색.      하징(何澄), (권), 부분, 원, 비단에 수묵.      작자 미상, (권), 원, 비단에 수묵.        임인발(任仁發), (권), 부분, 원, 비단에 채색.            (左) 장악(張渥), (권), 부분,..
중국 삼천년 회화 2 오대(吳代)와 송대(宋代)의 회화   살도(菩薩圖)>, 오대(952)     (左) 관휴(寬休), (축), 오대(880~894), 비단에 채색.(右) 황전(黃筌), (권), 오대(약 960) 비단에 채색.           (左) , .(축), 오대(약 975), 비단에 채색.(右) 관동(關仝), (축), 오대(약 925), 비단에 수묵.     형호(荊浩), (축), 오대(약 900), 비단에 수묵.      조간(遭幹), (권), 부분, 오대(약 950), 비단에 채색.       동원(董源), (권), 부분, 비단에 수묵담채,     동원(董源), (축), 오대(약 950), 비단에 채색.         (左) 거연(巨然), (축), 오대(약 980), 비단에 수묵.(右) 거연, (축), 오대(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