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다기(茶器)

 

 

 

차꽃 

 

 

 

 

 

 

 

 

 

 

 

분청덤벙병 / 16세기 후반 / 일본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소장.

 

 

 

 

 

 

 

 

 

 

 

 




 

 




 

(上) 3평이란 물대 끝의 낮은 부분과 다관의 입전 그리고 손잡이 끝이 같은 높이가 되어 수평을 이루는 것이다.

(오순택 作). (下) 2평은 물대와 입전의 높이는 수평을 이루지만 손잡이는 의장에 따라 두 부분이 이루는

 수평보다더 높거나 낮은 것을 말한다.(박종일 作)

 

 



 

물대 끝에 혀를 만들어 주면 표면장력에 의한 물의 응집현상으로

물대를 타고 흐르려는 물이 이슬처럼 구형(球形)이 됨으로 깔끔한 물 끊음질이 된다.

 




 

물대 형태로는 <좌>-깔때기 형 · <중>-학목 형 · <우>-물퉁이 형을 기반으로

 수 많은 변이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상) 일반입전, (하) 운두가 있는 입전.                           다관의 다양한 손잡이들.

 

 

 

 

 

 

소금유 다관. <한대웅 作>

 




 

 




 

 <강인순 作)

 




 

 




 

 



     

 

 




 

조선, 19세기 백자다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반달입전                                   3곡입전                                       고치입전

 

산형입전

 

 

너울입전

 

 

접힌입술

 

 

 

 

 

 

 

 

 

 

 

 

 

 

 

 

 

 

 

 

 

 

 

 

 

<신정희 作>

 

 

 

 

 

 

 

 

 

 

 

 

 

 

 

 

 

 

 

 

<최용택 作>

 

 

 

 

 

 

 

 

 

<김평 作>

 

 

 

 

 

 

 

 

 

 

 

 

 

 

단열기능을 개선한 백자이중투각사발. <구성회 作>

 

 

 

 

 

배불뚝이 모양 사발.

 

 

 

 

(좌) 일본 라꾸사발,  (우) 서선길 作

 

 

 

 

 

 

 

 

  

 

 

 

 

 

 

 

 

 

 

 

 

 

 

 

 

 

 

 

 

 

 

 

 

 

 

 

 

 

 

 

 

 

 

 

 

 

 

 

 

 

 

 

 

 

 

 

 

 

 

 

 

수리된 찻그릇

 

 

 

 

 

 

 

인용서적: 김동현 著, 『다기(茶器) 작은 공간의 미학』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묘비명  (0) 2020.01.23
조선의 찻사발  (0) 2020.01.18
중국 삼천년 회화 6  (0) 2020.01.12
중국 삼천년 회화 5  (0) 2020.01.11
중국 삼천년 회화 4  (0) 202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