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중국 삼천년 회화 5

 

청대(淸代)의 회화

 

 

   

 

(左) 홍인(弘仁), <송학청천도(松鶴淸泉圖)>(축), 청, 종이에 수묵.

(右) 곤잔(髡殘), <선원도(仙院圖)>(축), 청(1661), 종이에 채색.

 

 

 

 

 

팔대산인(八大山人), <하상화도(河上花圖)>(권), 청(1697), 종이에 수묵.

 

 

 

 

         

 

(左) 석도, <회양결추도(淮陽潔秋圖)>(축), 청, 종이에 채색.

(右) 왕시민(王時敏), <선산누각도(仙山樓閣圖)>(축), 청,(약 1665), 종이에 수묵.

 

 

 

 

 

왕감(王鑑), <몽경도(夢境圖)>(축), 청(1656), 종이에 수묵.

 

 

 

 

 

왕휘(王翬), <강희남순도(康熙南巡圖)>(권) 부분, 청, 비단에 채색.

 

 

 

 

 

왕휘, <추수혼아도(秋樹昏鴉圖)>(축), 청(1712), 종이에 채색.

 

 

 

   

 

(左) 왕원기(王原祁), <청산첩취도(靑山疊翠圖)>(축), 청, 종이에 채색.

(右) 오력(吳歷), <호천춘색도(湖天春色圖)>(축), 청(1676), 종이에 채색

 

 

 

 

 

운수평(惲壽平), <화훼(花卉)>(화첩), <산수(山水)>(화첩).

 

 

 

 

 

 

공현, <청량환취도(淸凉環翠圖)>(권), 청, 종이에 채색.

 

 

 

 

 

고잠(高岑), <석성기승도>(권) 부분, 청, 종이에 채색.

 

 

 

 

 

오굉(吳宏), <연자기막수호도>(권), 청, 종이에 채색.

 

 

 

 

 

 

번기, <화접도(花蝶圖)>(권), 청, 종이에 채색.

 

 

 

 

 

사빈(謝彬), <항성모(項聖謨), <주규석상(朱葵石像)>(축), 청(1653),비단에 수묵 담채.

 

 

 

 

고명(顧銘), <윤희훈경도(允禧訓經圖)>(축). 청, 비단에 담채.

 

 

 

 

 

우지정(禹之鼎), <왕원기예국도(王原祁藝菊圖)>(권), 청, 비단에 채색.

 

 

 

 

 

서장(徐璋), <이개독수도>(권), 청(1750), 종이에 채색.

 

 

 

     

    

 

(左) 왕무(王武), <화죽서금도(花竹棲禽圖)>(축), 청(1657), 종이에 채색.

(中) 왕무, <설악독서도(雪岳讀書圖)>(축), 청(1652),, 종이에 채색.

(右) 매청(梅淸), <황산천도봉(黃山千都峰)>(축), 청, 종이에 수묵.

 

 

 

 

 

 

부산(傅山), <산수도>(화첩), 청, 비단에 채색.

 

 

 

 

    

 

(左) 이선(李鱓), <송등도(松藤圖)>(축), 청(1730), 종이에 채색.

(右) 김농(金農), <자화상(自畵像)>(축), 청(1759), 종이에 수묵.

 

 

 

 

    

 

(左) 고상(高翔), <탄지각도(彈指閣圖)>(축) 청, 종이에 수묵.

(右) 정섭(鄭燮), <竹石圖)(축), 청, 종이에 수묵.

 

 

 

 

     

   

 

(좌) 이방응(李方應), >고송도(古松圖)>(축), 청(1754), 종이에 수묵.

(中) 나빙(羅聘), <심곡유란도(深谷幽蘭圖)>(축), 청, 종이에 수묵.

(右) 화암(華嵒), <천산적설도(天山積雪圖)>(축), 청(1755), 종이에 채색.

 

 

 

 

 

   

 

(左) 이인(李寅), <반차도(盤車圖)>(축), 청, 비단에 수묵 담채.

(右) 소신, ,양류귀목도(楊柳歸牧圖)>(축), 청, 비단에 채색.

 

 

 

 

 

 

원강(袁江), <침향정도(沈香亭圖)>(축), 청, 비단에 채색.

 

 

 

 

 

 

원요, <한강승람도>(권), 청(1747), 비단에 채색.

 

 

 

 

 

작자 미상, <옹정제제선농단도>(권) 부분, 창, 비단에 채색.

 

 

 

 

    

 

(左) 낭세녕(郎世寧), <숭헌영지도>(축), 청(1724), 비단에 채색.

(右) <장위방(張爲邦), <세조도(歲朝圖)>(축), 청, 비단에 채색.

 

 

 

 

 

서양, <경사생춘시의도>(축), 청, 종이에 채색.

 

 

 

 

 

심전, <송매쌍학도>(축), 청(1759), 비단에 채색.

 

 

 

 

 

장음(張崟), <경구삼산도(京口三山圖)>(권) 부분, 청(1827), 종이에 채색.

 

 

 

 

 

개기(改琦), <죽하사녀도(竹下仕女圖)>(축), 청, 종이에 채색.

 

 

 

 

 

비단욱, <요섭참기도>(권), 청, 총이에 채색.

 

 

 

 

      

 

(左) 허곡(虛谷), <송학연년도(松鶴延年圖)>(축), 청, 종이에 채색.

(右) 임웅(任熊), <자화상>(축), 청, 종이에 채색.

 

 

 

 

 

                 

 

(左) 임이, (천축치계도)(축), 청, 종이에 채색

(右) 임이, <신한위상>(축), 청, 종이에 채색.

 

 

 

 

 

 

조지겸(趙之謙), <모란도>(축), 청, 종이에 채색.

 

 

 

 

 

인용: 『중국 회화사 삼천년』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기(茶器)  (0) 2020.01.17
중국 삼천년 회화 6  (0) 2020.01.12
중국 삼천년 회화 4  (0) 2020.01.11
중국 삼천년 회화 3  (0) 2020.01.10
중국 삼천년 회화 2  (0) 202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