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吳代)와 송대(宋代)의 회화
<보살도(菩薩圖)>, 오대(952)
(左) 관휴(寬休), <나한도羅漢圖>(축), 오대(880~894), 비단에 채색.
(右) 황전(黃筌), <사생진금도(寫生珍禽圖)>(권), 오대(약 960) 비단에 채색.
(左) <황거채(皇居菜)>, <산자극작도(山鷓棘雀圖)>.(축), 오대(약 975), 비단에 채색.
(右) 관동(關仝), <추산만취(秋山晩翠)>(축), 오대(약 925), 비단에 수묵.
형호(荊浩), <광려도(匡勵圖)>(축), 오대(약 900), 비단에 수묵.
조간(遭幹), <강행초설도(江行初雪圖)>(권), 부분, 오대(약 950), 비단에 채색.
동원(董源), <하산도(夏山道)>(권), 부분, 비단에 수묵담채,
동원(董源), <寒林重㓅圖)>(축), 오대(약 950), 비단에 채색.
(左) 거연(巨然), <층암총수도(層岩總樹圖)>(축), 오대(약 980), 비단에 수묵.
(右) 거연, <계산난약도(溪山蘭若圖)>(축), 오대(약 980), 비단에 수묵.
이성(李成), <청만소사도(晴巒蕭寺圖)>(축), 송(약 960), 비단에 수묵.
이성, <무림원수도(茂林遠岫圖)>(권), 부분, 송(약 960), 비단에 수묵.
범관(范寬), <溪山行旅圖)>(축), 송(약 1000), 비단에 수묵.
연문귀(燕文貴), <강산누관도(江山樓觀圖)>(권), 송(약 1000), 종이에 담채.
곽충서(郭忠恕), <설제강행도(雪霽江行)>(축), 송(약 975), 비단에 수묵.
작자 미상, <갑구반차도(閘口盤車圖)>(권), 송 10세기 말엽~1세기 초엽, 비단에 채색.
장택단(張擇端),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권), 부분, 송(11~12세기), 비단채색.
(左) 작자 미상, (공작명왕도(孔雀明王圖)(축), 송(약 1125), 비단에 채색.
(右) 작자 미상, <지관도(地官圖)>(축), 송(약 1150), 비단에 채색.
(左) 조암(造嵒), <팔달춘유도(八達春遊圖)>(축), 송(10세기), 비단에 채색,
(右) 작자 미상, <절함도(折檻圖)>, 비단에 채색.
고굉중(顧閎中), <한희재야연도(韓熙載夜宴圖)>(권), 송(약 970), 비단에 채색.
(左) 작자 미상, <불공삼장도(不空三藏圖)>(축), 부분, 송(약 1100), 비단에 채색.
(右) 이공린(李公麟), <오마도(五馬圖)>, 송(약 1090), 종이에 수묵.
이공린, <임위언목방도(臨韋偃牧放圖)>(권), 부분, 송(약 1085), 비단에 채색.
기서, <강산방목도(江山放牧圖)>(권), 송(약 1000), 비단에 담채.
최백(崔白), <쌍희도(雙喜圖)>(축), 송(1061), 비단에 채색.
곽희(郭熙), <조춘도(早春圖)>(축), 송(1072), 비단에 채색.
유채(劉寀), <낙화유어도(落花游魚圖)>(권), 송(약 1075), 비단에 채색.
작자 미상, <비파원희도>,(축), 송(11세기), 비단에 채색.
허도녕(許道寧), <어부도(漁父圖)>(권), 부분, 송(약 1050), 비단에 담채.
휘종(徽宗), <청금도(聽琴圖)>(축), 송(약 1102), 비단에 채색.
휘종, <서학도(瑞鶴圖)>(축), 송(약 11020, 비단에 채색.
왕희맹(王希孟), <천리강산도(千里江山圖)>(권) 부분, 송(1113), 비단에 채색.
왕선(王詵), <어촌소설도(漁村小雪圖)>(권), 송(약 1085, 비단에 채색.
왕선, <연강첩장도(煙江疊嶂圖)>(권), 부분, 송(약 1100), 비단에 채색.
교중상(蕎仲常), <후적벽부도>(권), 송(약 1123), 종이에 수묵.
이당(李唐), <만학송풍도(萬壑松風圖)>(축>, 송(1124), 비단에 채색.
이당, <장하강사도長夏江寺圖)>(권), 부분, 송(약 1150), 비단에 채색.
조백구(趙伯駒), <계산추색도(溪山秋色圖)>(권), 송(약 1160), 비단에 채색.
이적(李迪), <설수한금도(雪樹寒禽圖)>(축), 송(1187), 비단에 채색.
(左) 마원(馬遠), <화등시연도(華燈侍宴圖)>(축), 송(약 1200), 비단에 채색.
(우) 마린(馬麟), <석양산수도)>(축), 송(1254), 비단에 채색.
하규(夏珪), <계산청원도(溪山淸遠圖)>(권), 송(약 1200), 종이에 수묵.
하규, (산수십이경(山水十二景)>(권) 부분, 송(약 1225), 종이에 수묵.
양해(梁楷), <석가출산도(釋迦出山圖)>(축), 송(13세기), 비단에 채색.
목계(牧溪), <관음(觀音), 학(鶴), 원(猿)>(축), 송(13세기), 비단에 수묵.
인용: 『중국 회화사 삼천년』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삼천년 회화 4 (0) | 2020.01.11 |
---|---|
중국 삼천년 회화 3 (0) | 2020.01.10 |
중국 삼천년 회화 1 (2) | 2020.01.08 |
차실 순례 (0) | 2020.01.03 |
만시(挽詩) 4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