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06)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비로운 영혼의 그림들 (2) 성과 육체 도록 묵시론의 시대 제2차 세계대전 중의 그림 연작 혼동과 파괴 도록 1944 부활절 1150년경. 샤르트르 대성당. 서쪽 중앙문 팀파눔 취리히 C. G. 융 연구소의 그림 아카이브 C. G. 융은 당대 중요한 심리학자들 중 유일하게 스스로, 그리고 의식적으로 자기 내면의 발전이라는 범위 내에서 그림과 조각품 들을 만들었다. 2008년 이후로 대중이 접할 수 있게 된 ≪레드북≫은 그의 그림과 관련된 연상 및 생각에 대한 인상적인 증거를 제시한다. 더 나아가 그는 이미 1917년부터 그의 많은 환자들에게 그들의 꿈과 환상 에 대한 그림을 그릴 것을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했다. 그로써 그들이 자신의 무의식의 입구를 열어 무의식에서 떠오르는 상징적인 소재들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었다. (중략.. 신비로운 영혼의 그림들 (1) C. G. 융이 분석심리학적 치료를 위해 가시화한 내면의 이미지들 Das Buch der Bilder / 내면의 그림 취리히 C. G. 융 연구소의 그림 아카이브에는 지금까지 소수의 사람만 열람할 수 있던 그림들이 소장되어 있다 1917년부터 1955년 무렵까지 C. G. 융의 환자들이 그린 그림과 스케치를 포함한 약 4500점의 작품들이다. 융은 환자들에게 그들의 꿈과 상상을 그림으로 형상화하도록 격려했고, 가시화한 내면의 이미지를 치료에 응용했다. 설립 70주년을 맞이하여 C. G. 융 연구소는 이 아카이브를 공개하고, 전체 그림들 중 매우 특별하고 감수성이 풍부하며 예술적 표현이 돋보니는 작품들을 소개했다. ※ 여기 소개하는 모든 내용은 루트 암만 / 베레나 카스트 / 잉그리트 리델 공저共著, 박경.. K-Spirit 화개도담 2 K-Spirit 화개도담 2 악양 평사리 들판과 섬진강 일원. 박경리 문학관과 소설 '토지'의 무대. 폭우 가운데 올라선 회남재 폭우와 운무 사이로 잠시 악양 일원의 모습이... 雲河道人 구례향제줄풍류求禮鄕制─風流 구례 향제풍류의 악기편성은 거문고ㆍ가야금ㆍ양금ㆍ대금ㆍ세피리ㆍ해금ㆍ장구ㆍ단소 등 음량이 작은 악기들로 이루어진다. 가야금은 산조가야금을 쓰고 대금도 향제에 쓰이는 대금은 정악대금과 달리 황골죽으로 만든 악기를 사용한다. 향제풍류는 「현악영산회상」을 주요 레퍼토리로 삼고 있는 줄풍류와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하는 거상악과 대풍류가 있는데, 흔히 향제풍류라 할 때 향제줄풍류를 가리킨다. 풍류는 가곡ㆍ시조 등의 성악곡과 구별하여 영산회상ㆍ거상악ㆍ대풍류 등과 같은 기악곡을 가리키기도 하고, 그것을 통합해.. K-Spirit 화개도담 1 K-Spirit 화개도담花開道談 1 告天文 이 세상의 만생만물에 깃들어 늘 우리와 함께 있는 하늘님께 삼가 아뢰옵니다. 하나. 천시(天時)가 열렸습니다. 우리 민족의 뜻있는 분들이 지구 상의 온갖 난제를 끌어안고 새 세상을 열려고 스스로 선택했던 저 고난의 세월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지난 세월 수백 수천만 생령(生靈)들이 목숨을 던져 가면서 감내해왔던 그 무간지옥(無間地獄)의 문이 이제 닫혀지고 있습니다. 동학은 더 이상 한(恨)이 아닙니다. 기쁨의 원천입니다. 3.1 대혁명에 스러져간 그 많은 백성들의 외침은 이제 더 이상 아픔이 아닙니다. 대광명이 뿜어져 나오는 별입니다. 광주는 더 이상 고통이 아닙니다. 민본(民本)과 대동의 큰 세상을 여는 샘입니다. 이미 빛으로 승화한 그 주역들이 천상에서 밝게 .. 동학의 수련법과 검가(劍歌) 이우원 선도사 (사)동학민족통일회상임의장 강사 약력 소개 동학(東學) 수도법(修道法) 1. 좌법(坐法) : 궤슬단좌(跪膝端坐) 무릎을 꿇고, 허리는 곧추세우고, 턱은 당기고, 혀 끝은 입천장에 가볍게 대고, 어깨의 힘을 빼고, 얼굴은 긴장을 풀고 가벼운 미소를 띤다.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허벅지 위에 살짝 올려놓고 노궁(손바닥 정중앙)에 집중한다. 2. 구송(口誦) ① 강령주문(降靈呪文) 지기금지 원위대강(至氣今至 願爲大降) ※ 빠르게 소리내어 읊는다. 3. 심송(心誦) ② 본 주문(本呪文) 시천주 조화정 영세불망 만사지(侍天主 造化定 永世不忘 萬思知) ※ 마음 속으로 읊는다. 4. 합송(合誦) ③ 3.7자 주문(강령주문 + 본주문) 지기금지 원위대강 시천주 조화정 영세불망 만사지 ※ 다 함께 4.4조의.. 동경대전 강독을 통한 동학사상 연구 사적 제145호, 고창 모양성 牟陽城 초청 강사: 윤석산尹錫山(한양대학교 명예교수) 질의 응답.... 운곡 람사르습지 술도가에서의 뒷풀이 아래 내용은 윤석산 주해 《동경대전》 머리말 중에서 간추린 것이다. ● 을묘천서는 천주실의인가 동학 천도교의 종교체험은 매우 사례도 많고 양상도 다양하다. 현대에 들어서도 수련하는 많은 분들이 이러한 체험을 한다. 동학 천도교를 창도하신 수운 최제우 선생이나 그 이후 천도교의 스승님들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넘어서 이분들의 종교체험 또한 깊이 받아들여야 한다. 동학 창도기에 수운 선생은 10년 남짓한 주유팔로(周遊八路)에서 아무런 성과도 없이 용담으로 귀향하였다가 곧 울산 처가 동네로 가서 지내게 되었다. 이때가 1854년이다. 수운 선생이 집안을 돌보지 .. 무심無心 산책 장성호 수변길 장성호 수변길을 돌아나와 이동한 곳은 축령산 편백숲. 사진은 독림가 춘원 임종국 선생 조림 공적비 필암서원 '확연루' 하단부 생각이나 잡념 따위는 산수간에 훨훨 털어버리고... 황룡강변 꽃잔치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