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G. 융이 분석심리학적 치료를 위해 가시화한 내면의 이미지들
Das Buch der Bilder / 내면의 그림
취리히 C. G. 융 연구소의 그림 아카이브에는 지금까지 소수의 사람만 열람할 수 있던 그림들이 소장되어 있다
1917년부터 1955년 무렵까지 C. G. 융의 환자들이 그린 그림과 스케치를 포함한 약 4500점의 작품들이다.
융은 환자들에게 그들의 꿈과 상상을 그림으로 형상화하도록 격려했고, 가시화한 내면의 이미지를 치료에
응용했다. 설립 70주년을 맞이하여 C. G. 융 연구소는 이 아카이브를 공개하고, 전체 그림들 중 매우 특별하고
감수성이 풍부하며 예술적 표현이 돋보니는 작품들을 소개했다.
※ 여기 소개하는 모든 내용은
루트 암만 / 베레나 카스트 / 잉그리트 리델 공저共著, 박경희 역易 《내면의 그림》을
공부 삼아 옮겨본 것이다.
그림의 중심에 환자가 서 있다. 그녀는 내면의 인물, 말하자면 그녀의 콤플렉스를 바라본다.
융은 환자의 뒤에ㅔ서 그녀를 단단히 붙들고 있다. 그의 자세는 지지의 의미로 볼 수 있으나
논쟁의 지시로도 해석될 수 있다. 자기 자신과의 대결은 분적 작업의 중심 과제이며, 환자의
얼굴 표정에서 읽을 수 있듯, 대개 어느 정도의 자기비애를 동반한다. 환자를 붙들고 있는 융
의 자세는 이런 것처럼 보인다. 봐라! 이것이, 당신이다! 그림에서 융은 빛의 원천이다. 이 여
성 환자의 전이요소에 대한 암시, 융에 대한 초인적 형상의 투사, 빛을 어둠으로 이끄는 일종
의 '마나-인격' 이다. 상담사에 대한 원형 형상의 투사는 분석과정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요
소다. 이 그림은 여성환자의 이와 같은 경험을 여실히 보여준다. (중략)
우리는 융의 그림 아카이브에서 더 많은 것들을 열람할 수 있다. 초기의 스케치들은 융이 아직
상상의 자기 실험을 하던 1917년에 제작되었다. 4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다른 많은 그림들이
그 뒤를 이었다. 이 아카이브의 주요 목표는 그림 해석과 원형의 상징학 연구를 지원하는 것이다.
실험으로 시작한 것이 우리의 내면과 만날 수 있게 돕는 치료방법으로 발전했다. 이렇게 본다면
그림 아카이브는 C. G. 융, 그의 환상과의 논쟁이 빚어낸 결과이며, 창의적인 형태와 방식으로
내면세계를 볼 수 있게 해준다. 융은 그림들이 정신의 갈등을 치유할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증명한다. 우리는 그의 그림 아카이브에서 배우고, 연구하고, 영감을 받고,
분석심리학의 역사를 경험할 수 있다.
내면의 그림을 찾아서
도록
![]() |
![]() |
좌) <기적> 우) <초상>
![]() |
![]() |
좌) <신을 향한 그리움> 우) <소생蘇生>
<꿈을 꾸고 나서> 1932. 7. 13
무제, 1934. 4. 1
<평소와 다름없는 어느 날> 1938. 11. 20
1917년 5월 22일의 연작
1917~1919년의 연작
1917년
1928년
1917년
무제, 1919년
무제, 1919
무제, 1917
![]() |
![]() |
좌) 무제, 1933. 10. 24. 우) 무제, 1934. 3. 21
![]() |
![]() |
좌) 무제, 1933년. 우) 무제, 10월 4일 연도 미상
![]() |
![]() |
좌) 무제, 연도 미상 우) 무제, 1926. 7. 19
치료 과정에서 그려진 만다라들
![]() |
![]() |
위) 무제, 1935.8. 17 아래) 무제, 1935. 8. 27
무제, 1939. 8. 24
위) 무제, 6. 23. 연도 미상. 아래) (검은 힘들> 1931. 11. 1
![]() |
![]() |
좌) 무제, 1948. 8. 7. 우) <8월 9일의 꿈> 1934. 12. 5
위) <몸의 빛>, 1942. 12. 30 아래) 무제, 1943. 8. 29
![]() |
![]() |
좌) <네 번째 기능으로서의 뱀의 길. 시간-길-궤도> 연도 미상.
우) <정신의 전체성>, 1938. 11. 8
![]() |
![]() |
좌) 무제, 1939. 2. 23. 우) <쿤달리니>, 1929. 7. 23
무제, 연도 미상
무제, 연도 미상
무제, 연도 미상
무제, 연도 미상
무제, 연도 미상
무제, 연도 미상.
무제, 1934. 11. 1
무제, 1944. 1. 20
<1932년, 7월 13일의 꿈을 꾸고 나서> 연도 미상.
무제, 1928. 1. 17
![]() |
![]() |
좌) 무제, 1928. 1. 19. 우) 무제, 1928. 1. 21
![]() |
![]() |
좌) 무제, 1928. 1. 22 우) 무제, 1928. 1. 27
무제, 1928. 1. 29
무제, 1928. 2. 2
![]() |
![]() |
좌) 무제, 1928. 2. 3 우) 무제, 1928. 3. 24
무제, 1928. 6. 15
무제, 1929. 4월
무제, 1929. 6. 16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이 된 문학, 문학이 된 그림 (1) (0) | 2021.07.22 |
---|---|
신비로운 영혼의 그림들 (2) (0) | 2021.07.20 |
선인들의 유람록 <산향제山響齋> (0) | 2021.06.21 |
선인들의 유람록 <첨화령> (0) | 2021.06.21 |
선인들의 유람록 <주왕산> (0) | 202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