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10)
이영애 * 임종복 가야금 병창 ■ <빛고을국악전수관 목요상설공연> 이영애 * 임종복의 박귀희류 * 장월중선류 가야금 병창 비교 감상 교류 발표회 □ 주최 : 광주광역시 서구 빛고을 국악 전수관 □ 주관 : (사)낙안읍성 가야금병창 보존회 임종복 가야금 병창단 □ 후원 : 경북 무형문화재 제19호 가야금병창 보존..
우중영산(雨中映山) /고불영산홍/ 우중영산(雨中映山)                    -고불총림 백양사 영산홍-                                                                                                                                                                    2011. 5. 11          五月雙溪雨中水流             해강 김규진의 서체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289호 - 17세기 전반에 조성되어 백양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다.2m가 조금 넘는 비교적 큰 규모의 목조상으로 나발의 머리에 정상의 계주가 높이 돌출해 있고전면 중앙 계주는 ..
신묘춘색의 정점 /야은재 영산홍/ 신묘춘색(辛卯春色)의 정점                         - 야은재(野隱齋) 영산홍(映山紅) -                                                                                                                                          2011. 5. 8 야은재 영산홍, 수령 400년 이상                보호수                       자산홍       백영산                               모란           백목단               야은재 안채 영산홍       三色영산홍                           야은재(..
남도 주거문화의 원형질 /강골마을/ 강골 마을  /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 /                                                                                                                                         2011. 5. 4  근자에  재 조성된 이용욱 가옥 앞 연지    이용욱(李容郁) 가옥-중요민속자료 제150호-   1835년(조선 헌종 1년) 이진만이 지은 집으로 강골마을 중앙에 위치한다.내당(內堂)인 안채는 사랑채, 출입문과 연결된 문간채, 곡간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사당과 안채는 원래 초가였으나 이진만의 손자 이방희가 기와를 얹은것이며 솟을대문도 원래 3칸이던 것을  이방희의 손자 이진래가 5칸으로 개축하였다..
화엄능파(華嚴陵波) /선암사 영산홍/ 화엄능파(華嚴陵波)                    선암사(仙巖寺) 영산홍(映山紅)                                                                                                                                                            2011. 5. 4 三印塘 -시도기념물 46- 삼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 제법무아인(諸法無我印), 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 ,불교의 중심사상을 나타낸 삼법인을 뜻하는 형태로  타원형의 알 모양이다.   삼층 석탑 두 개가 나란히 선 대웅전 구역   대웅전 뒷편 불조전 마당끝에 선 자산홍       선암사 경내에서 가장 큰 수형의 자산홍이다.   자산..
제1회 살롱드 월봉(salon de wolbong) (2부) -고품격 문화살롱-  salon de wolbong        제2부 /매화로 보는 우리문화/  강사 김 정 현(전)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   茶人茶話   최근 월봉서원 앞에 마련된 체험관        매화초옥도 梅花草屋圖고람 전기田埼(1825~185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본디 '매화서옥도'는 매처학자(梅妻鶴子) 임포(林逋)를  모델로 하여 그리기 시작했으나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작가 자신의 고고한 심중을 표출하는 형태로 발전되었다.마치 천지분간 못 할 정도로 피어난 매림 초옥에서 매향을 호흡하며 친구를 기다리는 이는 녹의(綠衣) 오경석이요,거문고를 어깨에 둘러 매고 벗을 찾아 다리를 건너는 홍의(紅衣)는 작가 자신인 고람 전기일 터.    매죽도 梅竹圖(세한삼우도歲寒三友圖)10~11세기 필자미상..
제1회 살롱드 월봉(salon de wolbong) (1부) -고품격 문화살롱-  salon de wolbong           제1부 /클래식 어울림/   월봉서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너브실마을 -   18세기 프랑스지성과 문화의 산실이었던 살롱(salon)문화는문화와 예술, 철학과 정치에 대한 수준 높은 토론이 일상적으로 펼쳐지는인문마당으로 서구지성사를 활짝 꽃피웠습니다. 16세기 광주에서도 무등산 자락 소쇄원을 중심으로 고봉 기대승, 소쇄 양산보, 면앙정 송순, 하서 김인후, 제봉 고경명 등기라성 같은 인물들이 풍광 좋은 무등산 계곡에서 모여 문사철(文史哲)을 즐긴 게바로 계산풍류였고 이곳에 세워진 정자가 하나같이 조선식 문화살롱의 효시를 이룹니다. /행사 팜플릿 내용에서 발췌/   '호남정신문화의 산실' 월봉서원에서 인문학과 문화예술에 대한 저명한 강사분..
사월 끝자락 2011. 4. 29  내장사 우화정    겹도화    극락전 내부 사진 카피                            장성호반    백양사 굴참나무 길                매향을 거둔 고불매        고불매 옆 영산홍    미나리 냉이    천진암 탱자나무꽃   천진암 불상           - 만암 횡액 -   寶刀飜游戱보배의 칼을 마음대로 쓰고 明鏡無前後밝은 거울은 앞뒤가 없노라 兩般一樣風두 가지 모두 한 바람 吹到無根樹뿌리 없는 나무에 불어 넣는다 吾將無刃劍내가 날 없는 칼로 割來露地牛노지의 흰소를 잡아  屠蘇兼供養도소주와 함께 공양을 올리니 何處有恩讐어느 곳에 은혜와 원수가 있을꼬. 깨달음을 얻은 만암의 노래다. 그의 스승 취운(翠雲)은 누구보다 기뻐했다. 그리고 만암(曼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