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묘탐매 소고(辛卯探梅小考) /담양군의 예/ 신묘탐매 소고(辛卯探梅小考) - 담양군의 예 - 21세기 중요한 화두 중의 하나인 문화와 관광.작금, 각 지자체마다 경쟁하듯, 문화와 관광을 고리로한 상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효율성만을 최고의 덕목으로 꼽던 무감동 개념에서 벗어나, 찾아 오는 이들의 감성까지 살피고, 또 그들 모두에게 한 보따리의 감동까지 안겨주는 묘안과 대책은 진정 없단 말인가? 남녘땅 담양군은 천혜의 자연 조건에다 풍부한 문화유산과 먹거리까지 더해져날로 찾는이 들이 늘어간다는 사실을 방문 할 때 마다 실감할 수 있다.하지만 대숲을 스치는 청아한 바람과 누정문화 등을 살피는 것으로 과연 담양의 모든 것을 다 보여 주었다 할 수 있을까? 일례로, 향토인들이 '고매(古梅)'에 크게 주목하지 않는 가운데서도, 올 .. 청림 희뫼요 상량식 靑林 희뫼요 상량식 2011. 4. 19 청림 희뫼요 전경 청림폭포 상량문을 쓰고 있는 희뫼선생의 아들 건물 외벽에 쓰일 흙벽돌을 작가 자신이 직접 찍어 놓았다. 희뫼선생의 건물과 동시에 상량식을.. 신묘탐매(辛卯探梅) - 13 신묘탐매(辛卯探梅) 제13편 최종회 ● 매화우(梅花雨) 흩날릴 제... 2011. 4. 17내소사 백매(來蘇寺 白梅) 마치 석가 세존의 설산 고행을 연상케 하는 듯,고졸할 맛이 일품인 홑 백매로 봉래루(蓬來樓) 우측에 서 있다.약 150여년 안팎의 수령으로, 비쩍 마른 형상에 성글게 피어나는 백매의 자태.그야말로 탐매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개체라 하겠다. 범종각을 배경으.. 신묘탐매(辛卯探梅) - 12 신묘탐매(辛卯探梅) 제1편 2011. 4. 14부처님 오신 날을 앞둔 고불총림 백양사 고불매 역시 초파일 준비에 분주한 내장사 내장古梅 수령 약 150년 정도의 고매로 삼성각 옆에 서 있다. 서래봉에 걸린 내장고매 소엽 백매만이 지닐 수 있는 단아함의 진수를 보여 준다. 다섯장 홑백매 삼성각을 배경으로. 명부전을 배경으로. 내장선원 안 쪽 담장 곁에 선 네그루 백매 맨 안쪽에 선 백매.네그루 모두다 고매는 .. 김기찬 달항아리전 전시장소 : 전남 보성군 문덕면 용암리 구 문전초교 '갤러리 re' / 수월관음을 기다리며 / 봄 숲은 흥분되어 있습니다.꿈틀거리며 사랑을 준비하고, 별은 대지를 유혹하며 바람은 나무들을 어루만지니새들의 소리에서 뭍어나는 관능이 짝짓기의 계절이고 바람나는 시절입니다.숲을 걷나보면 누군가 묘한 눈짓을 보내는 듯한 느낌에 순간 당황하기도 합니다."호연비조 뭇새들은 농초화답 짝을지어 쌍거쌍래 오갖춘정 다퉜으니 ..... " (춘향가). 사랑에 앞서 나타나는 분위기이고 본 경기에 앞서는 개막행사입니다.이를 느끼지 못하면 춘향가를 백번 봐야 헛일 아닙니까?천봉산에 걸린 달이 문덕교 아래 어른거리고, 떨어지는 벚꽃잎은 바람에 너울거립니다.가끔은 시간보다 느리게 걷는 여유를 지니고 달항아리를 .. 신묘탐매(辛卯探梅) - 11 신묘탐매(辛卯探梅) 제편 2011. 4. 13임대매(臨對梅) 홑백매 와룡매 가운데 이처럼 땅위를 기어가는 매화가 또 있을까?어쨋던 모진 목숨을 부지하며 올해도 몇 송이 고졸한 매화를 피워올렸다. 믿둥치를 점령한 골담초는 여전히 수북하고1년 사이 가지 하나가 또 잘려나갔다 환산정(環山亭))- 전남 화순군 동면 국동리 - 병자호란(1637년) 당시 의병을 일으켰던 백천 류함이 청주까지 진격했다가, 인조가 청나라 태종에게 무릎을 꿇었다는 치욕적인 소식을 듣고 통곡.. 신묘탐매(辛卯探梅) - 10 신묘탐매(辛卯探梅) 제10편 2011. 4. 10 ~ 12 경기전(慶基殿) 경기전 와룡매그리 굵지 않은 모습이지만 수령은 약 100여년으로 추정되는 겹청매. 은은한 푸른빛을 지닌 우아한 자태는 보는이의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아치를 그리는 줄기의 휨새가 거의 예술 수준이다. 15장의 꽃잎을 달고 있다. 경기전 녹악매 1약 2.5m 정도 수고의 아담한 모습이다.홑꽃 청매로 이 역시 수령은 만만치 않아 보인다. 경기전 녹악매 2약 7m.. 월출산 마애불 순례 - 2 칠지골 마애여래좌상 2011. 4. 10 천황사 천황사에서 사자사 목탑지로 오르는 길,쐐기를 박아 돌을 떼어낸 흔적이 생생한 석부재를 볼 수 있다. 사자사 목탑지(師子寺 木塔支) 전라남도 지방기념물 제197호-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 산 89-1 - 월출산 천황사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발굴 조사에서 다층의 목탑유구가 확인되었는데, 목탑지 남단의 와적 최하층에서통일신라 후기의 기와들이 발견되어 통일신라 후기에 사자사가 창건되었으리라 추정.기단과 초석등이 거의 완벽.. 이전 1 ··· 224 225 226 227 228 229 230 ··· 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