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신묘탐매(辛卯探梅) - 6 신묘탐매(辛卯探梅) 제6편 ● 납월매향(臘月梅香) 2011. 3. 21낙안읍성의 매화 담장에 흐드러진 산수유 낙안읍성의 백매 홍매 수양매 이 수양매는 붉은 꽃 받침을 하고 있지만,만약 수양백매에다 녹색 꽃받침을 한 '녹악매'의 경우라면, 그야말로 매화의 격조에 있어 최고로 쳐 준다는 사실. 또 다른 개체의 수양매 청로매낙안읍성내 매화 중 가장 청아한.. 신묘탐매(辛卯探梅) - 5 신묘탐매(辛卯探梅) 제5편 ● 남녘매향은... 2011. 3. 18소치매(小癡梅)진도 운림산방(雲林山房) 소치(小痴) 허련(許鍊)의 사당을 지키는 매화 운림매(雲林梅) 운림산방 곁에 서 있다.아직 꽃망울도 채 부풀지 않았다. 꽃이 피려면 아직도 한참을 더 기다려야 할 것 같다. 운림산방 정면에 선 매화, 아직 고매는 아니다. 조선 후기 남종화(南宗畵)의 대가인소치(小痴) 허유(許由, 1808~1892).. 상록수림의 청정한 매력 /진도 첨찰산/ 첨찰산(尖察山)485.2m 2011. 3. 19 전남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첨찰산 초입에 자리한 쌍계사 쌍계사는 산을 내려와 돌아보기로 하고 먼저 울창한 상록수림에 들어 선다. 구실잣밤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차서 대낮임에도 불구하고 어두울 정도. 올려다 본 상록수림 상록수림대가 끝나면 나시 울창한 소사나무 군락이 마중을 나온다. 능선에 당도 첨찰산 상록수림 계곡을 내려다 본다. 진도 대교 쪽을 바라지만 조망이 별로다. 첨찰산 .. 철학자의 길 ■ 철학자의 길 ▶ 백우정 / 판사동산 / 귀전암 / 고봉묘소 / 백운암지 / 낙암지 2011. 3. 15 백우정(白牛亭) 월봉서원 담장 밖 "철학자의 길"이 시작되는 들머리에 자리한다. 백우정 마당에서 바라본 월봉서원 백우정 옆에 자리한 이정표. 원점회귀가 가능한 것 처럼 표기되어 있길래, 백우정을 출발하여 먼저 백룡사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가 보기로 한다.백우산(청량산)에서 임곡으로 이어지는 산줄.. 월봉서원(月峯書院)에 깃든 철인(哲人)의 향기 ● 월봉서원(月峯書院)에 깃든 철인(哲人)의 향기 2011. 3. 15비보차원의 의미를 지닌 무덕정 광주광역시 광산동 임곡과 전남 장성군 황룡면을 잇는 군도 816번 도로변에 위치한 너브실(광곡)마을 초입에 있다. 애일당(愛日堂) 돌담길고봉 기대승의 13대손 기세훈 박사의 고택이자 '사단법인 고봉학술원'의 산실.고봉의 6대손 기언복이 숙종연간에 처음 터를 잡아 300년의 가계를 이어오는 곳으로계산풍류(溪山風流)의.. 병풍지맥 끝자락에 연3일을 매달렸다? ● 월선봉(241m) - 큰월선봉(?) - 철마봉(283m 병풍지맥) - 판사동산(청량산 341.5m ) - 임곡 ▶ 들머리 : 전남 장성군 황룡면 월평4구 신기촌마을 / 날머리 : 광주광역시 임곡동(양무리교회) ▶ 6 시간 소요 2011. 3. 13 /14 /15 들머리 : 장성군 황룡면 월평4구 신기마을 돌.. 신묘탐매(辛卯探梅) - 4 신묘탐매(辛卯探梅) 제4편 ● 고매예찬(古梅禮讚) 2011. 3. 9도암서원(道岩書院) 고창군 향토문화유산 제7호 광해군 5년(1613)에 설립한 사우로서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설한 것이다.안동김씨 영모당 질(永慕堂 質)과 은송당 경철(隱松堂 景哲) 현무제 익철 (賢武齊 益哲)을 배향한 서원이다 도암매(道岩梅) 수령 약300년 추정 홍매로 보인다. 굵은 혹이 여러개 뿌리 부분 무슨사연일까? 윗 부분이 잘려져 나갔다. *.. 장성 축령산 숲길 명품코스 - 2 2011. 3. 8 앞에 보이는 계단을 따라 오르면 축령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영산기맥'과 만나게 된다.축령산 정상을 지나 서우치 쪽으로 이어가다 좌측 임도를 타고 백련동(추암마을)으로 내려올 수도 있다. 하지만 오늘은 좌측 임도를 따라 우물쪽으로 잠시 가다가왼편에 보이는 평상쪽으로 난 작은 길로 접어든다. 쉬어갈 수 있도록 나무 아래 몇 개의 평상이 놓여있다. 연못이 있는 저 곳은 조림 당시 춘원 임종국 선생이 기거하던 집터. 지금은 우물만 남아있다, 마땅히 산막을 복원하여 조림지를 찾는이들의 귀감으로 삼아야 할텐데... 어린 편백이 식재된 작은길을 따라 오르면 구기자(?)와 몇가지 나무가 자라는 개활지를 지난다. 개활지 바로 윗쪽에 자리한 또다른 정자 잠시 잡목림을 가게된다. .. 이전 1 ··· 226 227 228 229 230 231 232 ··· 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