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737)
단군영정 2 - 개인 소장 영정 - - 광복 이전 - 1883년 명문본 단군 영정 위 51.5cm(아래는 49cm), 높이 80cm, 천에 채색. 우 하단의 화기에 1883년에 그려져 봉안된 것으로 적혀 있는, 현존하는 최고의 단군 영정이다. 조선 후기 북한 구월산 삼성사나 은산 단군묘 등에 모셔져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883년 명문본 단군 영정 - 밑그림 1 영정 밑에 받쳐놓은 밑그림. 1883년 명문본 단군 영정 - 배접지 1 밑그림 1의 아래에 배접해 놓은 그림. 두 선관(仙官)을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1883년 명문본 단군 영정 - 배접지 2 맨 밑에 붙어 있던 배접지에 그려진 스케치. 불상이나 신선상과는 다른 모습으로 주목을 끈다. 백의 단군 48.5×66cm 전체적으로는 대종교 영정의 형식을 빌려 ..
단군 영정 1 평양 숭령전 최근 구월산 삼성사에 삼성의 초상을 봉안한 모습 최근 촬영한 단군굴의 모습 1936년 촬영된 단군릉 지운영 모사 대종교 천진, 1910년. 1883년 명판본 단군 영정(광서 9년인 1883년 봉안) 1883년 명판본 단군 영정에 봉안된 내력을 적은 화기. 작산 단군전의 모습 시흥 단성전 배치도 - 단체 소장 영정 - 서산 와우리 단군전 단군 영정 38×54cm 1913년 석판으로 인쇄한 영정을 설립자 김용학이 가져온 것으로, 상단에 단군천신(檀君天神)이라는 제명이 있고 하단에는 출판허가라고 되어 있으며 왼쪽 아래에 보진재석인(寶晉齋石印)이라 인쇄되어 있다. (좌) 부여 장하리 천진전 천진 34×53cn 백련 나운영이 그린 것으로 추정. 중국산 인조비단에 전신을 엷게 채색하였다. 현재 부여 천..
소목장의 세계 십여 년 전 방문했던 인간문화재이자 대한민국명장 96118호 이셨던 고 설석철 옹.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이수자의 길을 걷고 있는 둘째 아들 설연운 선생과 근자에 만남을 갖고 오랜만에 공방을 다시 찾은 것. 전수자 설연운 선생 약 이십여 개가 넘는 대패를 비롯 각종 연장이 시선을 끈다. 공방을 돌아보는 내내 드는 진한 아쉬움이랄까. 인간문화재의 뒤를 잇는 이 시대 장인에 대한 국가적인 대접이 전무하다는 사실에 치미는 분노. 문화 장인에 대한 국가 차원의 인식이 이렇게 허접해서야 어디 원! 문화강국이 곧 나라의 국부와 연결된다는 사실 정도는 누구나 인지하고 있으리라. 굳이 선진국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그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마땅할진데... 국가는 이런 훌륭한 장인들을 도태시키는 우를 더 이상..
판옥선 판옥선 기초설계와 실시설계 비교 전쟁기념관 거북선 모형 좌) 거북선 축소 모형, 우상) 거북선 측면 선형, 우하) 신방과 가목장부맞춤 결속구조 좌) 돛대와 돛의 고정 줄, 우상) 선미 꼬리 선형, 우하) 노와 화포 위치(겹치는 구조) 척尺의 기준 판옥선의 크기의 설정 근거는 조선 시대 건축에 주로 사용된 영조척을 기초설계에 적용하였다. 영조척은 건축과 토목, 조선 및 조차造車 등 건축물이나 조형물을 만들 때 사용된 척도이다. 영조척은 명나라에서 사용되던 척도로 주척周尺과 함께 널리 사용되었다. 고려 및 조선 시대 초기까지는 32.21cm를 1척으로 사용하였드나 세조 12년(1466년)에의 개혁 시 31.22cm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2019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 해체 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목재곡자의 용척..
大君 . 君의 書 讓寧大君 (1394 - 1462), , 136×51cm×8. 錦城大君 李瑜(1426-1457), 26.2×19.2cm. 안평대군 , 1452년, 29×16cm. 義昌君 李珖(1589-1645), 완주 송광사 대웅전 편액. 의창군 이광, 편액, 1636년 대원군 , 1891년, 135.8×22×12. 英親王영친왕(1897-1970), 흥천사 극락보전, 1901년. 義親王(1877-1955), , 35×140×10. 인용 :
大王의 書 文宗(1414 - 1452), 2首, 29×16cm, 世祖(1414 - 1468), 공주 마곡사 편액. 成宗(1457 - 1494), , 37.5×25cm, 海東名迹 宣祖(1552 - 1610), 4首, 197×67cm ×8폭. 宣祖(1552 - 1610), 宣祖(1552 - 1610), 仁祖 (1595 - 1649), 4수, 146×65.3cm 孝宗 (1619 - 1659), 孝宗 (1619 - 1659), 6수, 133.3×60.3cm. 英祖 (1694 - 1776), , 1766년, 126.7×74.5cm. 영조, , 1772년, 35.4×21.2cm, (御筆) 영조, 35.4×21.2cm, (御筆) 정조, , . 哲宗(1831 - 1863) 고종 哲宗, 134×31/5cm. 인용:
숭례문 「조선국전경. 1892」 수록, 일본인 사진작가 하야시무이치가 1888~1891년 촬영한 것.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 건판사진으로 (경성부사. 1934)에 수록된 사진과 동일한 시기에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촬영 연대는 1895년이다. 숭례문과 서울 숭례문과 서울 성곽 (1904) 숭례문 전면 (1904) 숭례문 후문 (1904) 숭례문 전면 (1904~1906) 숭례문과 봉영문 (1907) 숭례문 (1911) 숭례문과 전면 가로 (일제강점기) 숭례문 문루 1층 내부 (일제강점기) 숭례문 문루 2층 내부 상세 (일제강점기) 숭례문 문루 2층 내부 (일제강점기) 숭례문 전면 (1930) 숭례문 전면 (1932 이후) 숭례문 (1959) 숭례문 (1960, 수리 전) 숭례문 (1963, 수리 중) 숭례문 ..
고서에서 찾아낸 낙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