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도>. 배운성
1930~1935년 경, 캔버스에 유채, 140×200cm, 개인 소장, 등록문화재 제534호.
배운성(裵雲成, 1901~1978)의 <가족도>는 대가족이라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삶의 소재를 대형 캔버스 위에
그린 대작이다. 그림 속에는 젊은 시절 신세를 졌던 백인기白寅基 가족과 배운성 자신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한국 최초의 유럽 미술유학생으로 알려진 배운성은 독일에서 미술 공부를 시작하였고 각종 전람회에 입선
하면서 명성을 쌓았다.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1940년 귀국, 광복 후에는 잠시 홍익대 미술과 초대 학장을
지냈다가 6.25 전쟁이 일어나면서 월북했다. 북으로 간 배운성은 평양미술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1978년사망했다고 전해진다.
다른 월북 인사들과 마찬가지로 전쟁 후 남한 미술계에서 그의 흔적은 지워졌다.
그러나 한동안 이름조차언급할 수 없었던 화가 배운성의 작품 <가족도>는
2013년에 남한의 등록문화재 제534호로 등록되었다. 배운성이 유럽 활동시 그린 대작으로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분단국가의 이념과 장벽을 걷어내고 오롯이 작품성을 평가하여
지속해서 보존해야 할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이는 남북 분단으로 분절된 한국 근대 미술사를 복원하는 신호탄 역할을 하였다.
정종여, <진주 의곡사 괘불도>
1938년, 면에 채색, 623.5×333.5cm, 진주 의곡사 소장, 등록문화재 제624호
2014년 10월, 청계 정종여(鄭鍾汝, 1914~1984)가 그린 <진주 의곡사 괘불도>가 등록문화재가 되었다.
정종여는 1950년 6.25 전쟁 시기에 월북하였으며, 이후 북한 조선화의 길을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아
인민예술가의 칭호를 받았다. 그는 일본 오사카미술학교에서 유학을 하던 시절인 1938년에 평소 인연이
있었던 경남 진주 의곡사 주지스님의 청을 받아 6m가 넘는 대형 크기의 괘불도를 그렸다.
전통의 괘불도와 다르게 배경의 도상을 과감히 생략한 채 석가여래상을 수채화풍으로 담담하게 그린
이 작푸은 근대기 제작된 불화들 가운데서 미술사적으로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어 등록문화재가 되었다.
월북을 한 이력이나 북한미술에 기여한 행적 따위는 중요하지 않았다.
오히려 남한에 전하는 정종여의 그림 가운데 유일한 불교미술 작품이라는 희소성 때문에
문화재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 작품들은 매우 예외적인 경우에 속한다.
특히 배운성의 경우는 유학시절 남긴 그림들이 훗날 파리에서 대거 발견되면서 대중에게 알려지게 된
특별한 경우이다. 대다수 월북미술가들의 작품들은 전하는 유작들이 거의 없으며, 월북 이후
그린 작품들을 볼 수 있는 기회조차 우리에게 허락되지 않고 있다.
같은 시기 월북을 택한 문인들의 작품, 정지용(1902~1950)의 시 '향수'와 박태원(1909~19860의
<천변풍경>, <구보씨의 하루>와 같은 소설들은 일찌감치 국어 교과서에 실렸거나
많은 사람들이 애창하는 노래 가사가 되었을 정도로 대중이 알고 있는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다.
글이나 음악 등 텍스트로 옮길 수 있는 것은 복제와 전송이 자유롭지만, 미술품의 경우는
단 하나의 원작만이 가치를 인정받기 때문에 망실된 작품은 그저 기록으로만 전할 뿐이다.
많은 월북 예술가들 가운데 문인과 음악가들에 비해
월북 미술가들의 이름이 우리에게 낮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남북 분단과 많은 미술가들의 월북은 우리의 근현대 미술사를 큰 공백으로 남겨놓을 수 밖에 없었다.
정현웅, <장편소설 「적후에서」 삽화>, 21.5×10.8cm, 개인 소장
하정희 소설 《적후에서》(1966)에 수록된 전현웅의 삽화이다.
붉게 물든 단풍길 사이로 후퇴하는 인민군과 그 뒤를 따라
북으로 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렸다.
행렬 마지막 검은 양복을 입은 남성의 쓸쓸한 모습은 가족을
두고 떠난 정현웅의 모습을 떠오르게 한다.
남한에서 문화재보호법이 처음 제정된 것은 1962년도이며, 그동안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2001년에야 비로소
근대 문화유산을 고려한 등록문화재 제도가 도입되었다. 국보와 보물과 같은 지정문화재 제도의 한계를 보완하고
문화재 보호방법을 다양화하여 위기에 처한 근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등록문화재를 도입한 것이다.
배운성, <미쓰이 남작과 그의 업적>, 1935년, 목판화, 55×43cm, 독일 함부르크 로텐박물관 소장
1936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제2회 세계목판화전》에 출품하여 입상한 작품이다.
김용준, <춤>, 1957년, 종이에 수묵채색,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이팔찬, <농악>, 1954년
정현웅, <1894년 농민군의 고부 해방> 1957년, 1차 제작 원화, 개인 소장
김주경, <묘향산>, 1955년, 캔버스에 유채, 72×100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종종여, <5월의 농촌>, 1956년, 종이에 수묵채색, 195×119.7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정영만, <금강산>, 1965년, 종이에 수묵채색, 163×291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민병제, <딸>, 1966년, 유화, 154×200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이 창, <락동강의 할아버지>, 1966년, 종이에 채색, 130×220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김의관, <남강마을의 녀성들>, 1966년, 종이에 채색, 121×264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정현웅 삽화, 김사억 글, <고려명장 강감찬.
윤자선 삽화, 이한규 글, <일년(一年)>
이팔찬, <화전민을 출판하는 조선민족해방동매 회원들>, 조선화, 1981년 경
김만철, <10월의 분노> 유채, 1965년
이순종, <광성진 전투>, 유채, 1960년
이건영, <평양대극장 무대 면막>, 진채, 1960년
이팔찬, <자화상>, 나무판에 유채, 27×21.5cm, 유족 소장
북한미술사의 초석을 쌓은 미술가들
- 김 명 주 -
\
\
(좌) 한상익, <고지의 이야기>, 1954년, 78×100
(우) 양재혁, <전선의 이야기>, 1954년
정종여, <굴진>, 1955년
이석호, <목련>, 1957년, 종이에 수묵채색, 174×75cm, 조선미술박물관
정종여,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 1961년 개작(1958년 창작), 154×520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이팔찬, <총화를 마치고>, 1958년, 종이에 수묵채색, 190×68cm
이율선, <간석지 개간>, 1961년, 종이에 수묵채색, 178×361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정창모, <북만의 봄>, 1966년, 108×148cm
정종여, <풍어>, 1966년, 종이에 수묵채색, 좃선미술박물관 소장
이석호, <소나무>, 1966년, 종이에 수묵채색, 253×131cm,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좌) 이쾌대, <춘앵무>, 1955년. (우) 이쾌대, <상황>, 1938년, 캔버스에 유채, 156×128cm, 개인 소장
이쾌대, <박연초상>, 1956년
이쾌대, <3.1운동>, 1957년, 캔버스에 유채, 150×227cm
이쾌대, <3.1운동>, 1959년 경 개작, 캔버스에 유채, 150×227cm,
이쾌대, <군상>, 1948년 경, 캔버스에 유채, 181×222.5cm, 개인 소장
이쾌대, <농악>, 1957년, 캔버스에 유채, 150×240cm
우의탑 벽화 <승리도>, 벽화, 1958년, 200×700cm
조중 우의탑 벽화 <참전도>, 벽화, 1958년, 200×300cm
조중 우의탑 벽화 <건설도>, 벽화, 1958년, 200×300cm
(좌) 김진섭, <자화상>, 1932년, 캔버스에 유채, 60.3×45cm, 도쿄예술대학 소장
(우) 김진섭, <소녀>, 1930~40년대, 목판에 유채, 33.4×22cm, 개인 소장
김진섭, <원주풍경>, 1930~40년대, 하드보드에 유채, 24×34cm, 개인소장
김진섭, <정물>, 1940년, 캔버스에 유채, 52.5×45cm, 개인 소장
(좌) 김진섭, <풍경>, 1920~40년대, 하드보드에 유채, 24×33cm, 개인 소장
(우좌) 김환기 삽화 (우우) 김진섭, 삽화
김진섭, <종달새 노래할 때>, 1957년, 121×55cm
김진섭, <동지애>, 1960년, 유채
2층 천리마 조각 집체 창작단, <천리마 동상>, 1961년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김건종, <푸른 언덕으로>, 1957년, 목판화
김건중, <빨치산 여장군 김학실 영웅>, 1959년, 목판화
김건중, <전로공들>, 1965년
배운성, <나들이>, 1955년, 목판화, 27.5×12.8cm
(좌) 배운성, <쇠물이 흐른다>, 1958년, 판화
(우) 배운성, <우리의 자랑>, 1958년, 판화
배운성, <위대한 힘>, 1950년대, 목판화
배운성, <국제주의 렬사 라성교>, 1958년, 목판화
인용: 국립문화재연구소 <분단의 미술사 잊혀진 미술가들>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교동창 단체 칠순잔치 (0) | 2022.06.20 |
---|---|
석농화원 石農畵苑 (0) | 2022.06.14 |
조선 왕실의 현판 7 (0) | 2022.06.08 |
조선 왕실의 현판 6 -2 (0) | 2022.06.07 |
조선 왕실의 현판 6 -1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