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735)
최북의 화조영모화 최북, , 1747년, 비단에 담채, 29.3×40.2cm, 국립중앙박물관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1712~?)은 조선 후기 영 · 정조대 활동한 화가로 사대부 출신도 아니요, 도화서 화원 가문도 아니었기에, 그의 가계나 생애를 알 수 있는 정확한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 시 · 서· 화에 능했으며 문사적인 교양과 풍모를 갖춘 18세기 중엽에 등장한 새로운 유형의 직업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그는 문인화가에 버금가는 사인 의식士人意識을 지녀, 당시 '예원藝苑의 총수'라 불리던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1713~1791)과 현재玄齋 심사정沈師 正(1707~1769), 연객烟客 허필許佖(1709~1761) 등의 사대부 출신 서화가들과 교유하면서 남종 문인화풍을 기반으로 한 감각 넘치는 작품을 그려냈다. 이들은 ..
까치 호랑이 '호랑이와 까치가 함께한다'고 하여 작호鵲虎 혹은 호작虎鵲이라 번역되는 '까치호랑이'는 한국에서 명명되어 사용이 확산된 용어이다. 한국 민화의 대명사로도 불리는 '까치호랑이'의 이미지는 1960년대부터 알려지기 시 작한 것으로 보인다. 1962년 임인년 호랑이해를 기념하여 국립박물관(현재 덕수궁) 제5실에서 개최된 《호도虎圖》 전시(1962. 2. 1~3. 17.)는 까치호랑이 그림을 알린 최초의 전시였다. 당시 전시에는 총 13건의 작품이 출품되었 는데, 동아일보 2월 9일자 지면에 전시회 소식이 실렸다. 오른쪽의
무관 흉배 속 동물 기록에 나타난 흉배제도 흉배의 착용이 시작된 것은 당대唐代부터이고, 제도적으로 정착된 것은 명대明代에 이르러서이다. 《대명회전大明會典》에 따르면 명나라의 흉배 제도는 1393년(홍무 26)에 제정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1607년에 간행된 《삼재도회三才圖繪》를 보면 흉배에 표현되는 동물이 《대명회전》과 달리 품계에 따라 분리 되거나, 순서가 뒤바뀌어 있다. 청대에는 1690년에 간행된 《대청회전大淸會典》과 18세기의 《청회전도淸會典圖》 를 통해 흉배와 관련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는데, 큰 틀은 유지한 채 시기에 따라 조금씩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명 · 청대의 흉배제도를무관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직후 명나라의 조정에서 제정한 관복을 입도록 ..
미술에 나타난 봉황 ※ 아래 내용 모두는 한정희 외 著 《꽃과 동물로 본 세상》의 내용중에서 발췌한 것이다. 중국의 봉황 기록과 도상의 형성 과정 , 강소성 서주 출토, 한대 화상석 봉황에 대한 관념이 변화하면서 점차 봉황의 도상이 정립되었고, 봉황의 속성에서 비롯된 상징적 의미 또한 그 내용이 풍부해졌다. 봉황에 대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명대 초기에 이르러서야 궁정에서 비로소 봉황 그림 이 다른 화조화와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회화 주제로 그려졌다고 밝혀놓았다. 송대 황실의 서화 목록인 《선화 화보 宣和畵譜》(1120)에서 화조화는 무수히 확인할 수 있지만 봉황도는 찾아볼 수 없는 데 반해, 용 그림은 이미 많은 화가들에 의해 그려지며 독립적인 주제로 발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영모화조화 연 구를 통해 송대와 원..
반계 유형원 반계서당 원서原序 정치가 쇠퇴한 이후로 통변通變의 설이 일어나게 되는 것은 부득이한 일이다. 그러므로 어진 사람이나 군자들은 사려를 다하고 지혜를 다하여 필히 곤궁한 상태에서 화평한 상태로 돌리기를 도모하는데, 이 어찌 나 한 몸의 사욕과 관계가 있겠는가? 맹자는 "지금은 행하기 쉽다" 라고 말했으니, 착오와 오류의 잘못된 습관에 젖어서 능히 빼어난 업적을 이루기란 있을 수 없다. 고금에 걸쳐 치세를 말함에 누구나 적폐를 청산하고 좋은 데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하지 않는 이가 없으니, 안이한 태도로 궁지에 빠지길 먼저 밝혀 개혁하지 않을 수 없으며, 법은 변통을 구하지 않고 집착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그렇지 않으면 백가지 아름다운 정책도 실제 일에 유익함이 있을 수 없을 것이다. 한번 시험 삼아 논하건..
김한종 장성군수 취임식 제40대 김한종 장성군수 취임식 박수량 백비 참배로 일정을 시작하는 제40대 신임 김한종 장성군수. ..................................................................................................... 《군민이 주인인 행복한 장성시대》 라는 케치프레이드를 내걸고, 민선8기 제40대 김한종 장성군수의 취임식이 구랍 7월 1일 장성문화회관에서 있었다. 민선 지역 수장에 선출된 중학 동창의 군수 취임식. 학창 시절의 추억을 떠올리며 축하하는 마음으로 이 자리에 참석하여 옛 시절의 친구들과 함께 지켜 보았다. 친구여! 부디 건강 잘 챙기시어 업무에 매진하시고, 고향과 지역민의 발전을 위해 크게 헌신해주시길 바랄 뿐이네.
서양 미술로 읽는 정원의 역사 (2) 예술의 정원 루시아 임펠루소 지음 / 조동범 옮김 조각물 정원에 조각물을 두기 시작한 기원은 고대까지 올라간다. 르네상스 시대, 인문학의 부활로 교육을 받은 대중들이 열렬히 탐구하면서 조각물이 다시 조명을 받게 된다. 라오콘, B,C. 2~A.D 1세기, 바티칸 미술관. 정원 산책로 정원의 내부 동선은 정원 구성의 기본 골격으로서 단순한 기능에서부터 매우 상징적인 것까지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정원의 놀라운 요소들 16세기 문화적 지평은 환상에 대한 기호로 특징지어진다. 그것은 특이하고 가끔씩 먼 곳에서 가져온 요소들을 포함한다. 미로 미로는 구불구불하고 복잡하여 출구가 하나밖에 없는 길이다. 미로를 뜻하는 독일어 이르가르텐은 여러 갈래의 선택을 통해 방향을 찾기 어렵거나 이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
서양 미술로 읽는 정원의 역사 (1) 예술의 정원 루시아 임펠루소 지음 / 조동범 옮김 그림 속에 숨어 있는 정원의 의미와 상징을 찾아서 헤르메스와 분수가 있는 정원(벽화 일부) A.D.25~50. 폼페이, 금팔찌의 집.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 무덤은 정원을 묘사한 그림들로 장식되었다. 이는 바빌론의 공중 정원 신화보다 앞선 것이다. 특징으로는 방어를 위한 높은 담, 한 개 이상의 사각형 연못, 규칙적으로 배치된 나무 등. 네바문 무덤 벽화 파편, B.C. 1400년경, 영국 박물관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인들은 자연을 신들의 세계로, 정원은 신화나 상징이나 종교적 가치가 풍부한 성스러운 숲으로 생각했다. 무덤의 부조 석판 조각, '꽃의 고귀함', 기원전 470~460년, 파리 루브르 박물관 '봄' B.C. 1500년경, 미노스궁이 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