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506) 썸네일형 리스트형 종이 박물관 이모저모 @ 종이 박물관 연혁 (전북 전주 소재) * 1997년 10, 21 한솔 종이박물관 OPEN. 특별기획전 9회 * 2001년 10, 05 팬아시아페이퍼, 종이 박물관 인수 " 팬아시아 종이박물관"으로 명칭변경, 특별기획전 매년 2회 개최 * 2006년 01월 박물관 명칭을 "종이 박물관"으로 변경 - 노르웨이 노스케스코그사, 팬아시아 페이퍼 .. 군산과 탁류 해망굴일정시대 우리나라 4대 개항장에 속했던 군산항.축항공사와 더불어 시내와 내항을 가깝게 연결하려고월명공원 아래를 뚫었던 터널(131m)이다. 군산 개항과 일제 침탈의 상징물이라 할 수 있다. 해망굴 위 월명공원에 올라 조망한 금강의 끝자락 군산 내항 해망동 골목길과 물고기길 일제식민 시절 월명공원과 바닷가 선창사이 비탈에 들어선 해망동은우리 근대화 시기 군산에 대한 기억들이 고스란히 들어있는 공간이다.해방후, 피난민들이 하나 둘 집을 짓기 시작하고 필요에 따라지붕들의 선이 하늘과 맏닿아 이어졌다. 지금은 낡고 쇠락한 공간으로 인식되는 이 곳이지만 골목을따라산으로 오르거나 선창 쪽으로 내려가는 이 길은 지난 시간들에 대한기억과 함께 시간의 곁을 따라 걷는 사유의 산책길이라 할 것이다. (공원에 .. 영롱한 백로(白露) 그리고 가을 꽃 백련실 수련 개머루 ? 물레나물 병조회풀 로벨리아 엉겅퀴 금마타리 오이풀과 금마타리 꽃개미취 꽃치자 칼라 백망용 흑토란꽃 꽃에 침을 찔러넣고 꿀을 빠는 박각시 뚝갈과 호랑나비 하이스커스코키비우스 스텔라디오르 보라등골나물 엘리자벳 초롱꽃 숫잔대 아톰조이 세덤 황금 송엽국 찌깐꽃? 무늬뻐꾹나리 백일홍과 호랑나비 꽃댕강나무 물달개비 수련 맨드라미 낙상홍 수박풀 패모(노란꽃)과 유흥초(빨간꽃) 꽃범의꼬리에 날아든 박각시 ? ? 국화으아리 히드코트 하이페라쿰(물레나물과) 붓드레아 배초향 청설모 배롱꽃 하트 모양 계수나무 잎 해변아욱 수크렁 기다란 대나무 숲을 비집고 피어난 찌깐 꽃???*** 아직도 한 낮의 태양 아래선 숨이 턱턱 .. 수려한 암릉에서의 조망 만끽 / 현성산 @ 현성산 (968m) - 경남 거창군 위천면 @ 미폭 - 암릉지대 - 정상 - 가섭사지 - 문바위 (4시간) @ 2008, 9, 4 목요일 위천면에서 바라본 현성산 제일 멀리는 기백산, 금원산 라인 빨간색 라인을 천천히 돌아도 4시간이면 충분. 주황색 라인을 따르는 코스도 추천 할만하고 금원산으로 이어가는 코스.. 인천강(주진천)과 구암(九岩)순례 @ 전북 고창군 아산면 일대 @ 영모정 - 구암마을 - 삼천굴 - 구암제 -선바위 - 안장바위 - 병풍바위(230.9m) - 인천강 - 김정회고가 두암초당 (반암리 영모마을) 하서 김인후의 문하생 호암 변성온과 그의 동생 인천 변성진의 업적을 기리는 정자 1815년 10월 호암의 5대손 변동빈에 의하여 건립되었으나 오랜 세월 유실되었다가1954년 재 건립되었고 같은 시기 영모당 재실도 건립되었다고함(고창군 자료인용) 선바위 말발굽 형상의 선운산 맨 바깥쪽 능선 ,그러니까 구암마을 뒷쪽비학산(307.4m)에서 구황봉(299m)으로 이어지는 능선상에 있다 층층잔대 비학산 자락의 삼천굴 무속인이 점령한 '삼천굴' 내부에서.... 운무 속을 비와 함께 / 월봉산 @ 월봉산 (1,167m) 경남 함양 서상면과 거창 북상면 경계 @ 남령재 - 수리덤(칼날봉) - 월봉산 정상 - 헬기장 - 큰목재(수망령삼거리) - 1,163m봉 - 은신치 - 용추자연휴양림 - 장수사지 일주문 @ 2008. 8. 23 (토요일) 처서날, 팀백두와 함께, 7 시간 소요 월봉산, 거망산, 금원산, 기백산, 황석산 다양.. 고창기행 <1> @ 미소사 ~ 김정회 고가 ~ 망북단(북방식 고인돌) ~ 선운산 (선운사 - 도솔암 - 천마봉 - 닉조대 - 배맨바위 - 용문굴 - 마애불) @ 2008. 8. 21(목요일) 미소사의 하늘 물레나물 샤프란 부처꽃 수목련 김정회(金正會) 고가(古家)전라북도 민속자료 제 29호(고창읍 도산리 소재) 돌담이 도열한 노둣길을 지나 대문에 이르기까지의 풍경이 운치있는 풍경은 그야말로 김정회 고가 최고의 압권이었다 조선조의 전형적인 양반가옥으로 숙종 8년(1682)에 지었다고하며안채, 행랑채, 문간채, 사당, 두 동의 곡간채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조선 개국공신 김사형의 후손으로 장성의 유학자.. 불태산 나옹암지 유감 해소 버섯에 비친 산죽의 그림자 누리장과 나비 사위질빵 닭의장풀 용초협곡 말라버린 용초폭포 2008. 7. 24일자나옹암지 유감 2008. 8.20나옹암지 유감 해소 나옹화상 먀애불 모처럼햇빛의 각도와 카메라의 궁합 일치 중앙의 불태산을 중심으로왼편은 병풍산 투구봉, 오른편은 삼인산 무등산 원경 불태라인 앞쪽의 천봉과뒤쪽의 병장산 라인 불태 2봉에서 바라본 나옹암지 하경 불태산 정상, 멀리는 병풍산 불태 2봉에서 서동마을(삼청동구)로 이어지는 하산 루트 노랑망태버섯 산도라지 며느리밥풀꽃 물봉선 높아져만 가는 하늘*** 일전(08.7,24)에 "불태산 나옹암지 유감" 이라는 제목으로"나옹화상 마애불"의 훼손 우려에 대한 유감을 표명한 일이 있었다. 해당 지자체인.. 이전 1 ··· 266 267 268 269 270 271 272 ··· 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