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09)
국화와 단풍 순례 고창 방장산 미소사에서 지난 봄엔 쬐끔한 녀석들 이었는데...  지금, 미소사 아래 방장산 자락은 국향 천지     여느해 같으면 저 원두막 뒤쪽으로도 국화가 만발해 있어야 하거늘 군 당국과 축제를 여는 주최측.아무래도서로 엇박으로 가는 느낌이라고나 할까!     국화축제가 열리고 있는 장소 바로 옆에절대로 놓쳐서는 아니될 멋진 단풍이있다는 사실을 알고나 들 있을까?.       애기단풍과 노오란 은행잎이 어우러진 고가(古家)   이 기막히게 아름다운 고가가 폐가로 방치되고 있다니... 방장산 상원사를 찾아가도완스님과 차 한 잔을 나눈 다음산을 내려와... 대한민국에 단 하나뿐인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문수산 자락에 위치한"은사리 천연기념물 단풍숲"을 찾아갔다.                   문수사에 피어..
가을, 발길 닿는대로... ◈ 희뫼 선생 토굴 방문 / 취서사지 단풍 / 애일당 강기욱 선생 방문                  ◈ 2008. 11. 9 (일)  아침 일찍 산소골에 자리한 희뫼 김형규 선생의 초옥을 찾아갔습니다 비목의 낙엽이 수북한서옥(書屋)의 추색(秋色)  토굴 그리고 빛 화병과 강아지풀그리고 창과 빛의 어울림  다담  팽주의 손길 벽에 내 걸린 작품  맨 오른쪽 다관을 제게 선물로 주시기에 황송함으로 품에 안고와 지금 이 시간, 연차를 우려내고 있습니다. 선생께서 다식으로 드신다는 벽오동 열매   울산의 생불 류재원 선생  울주의 미녀보살님그리고온고을의 찌깐 보살님 장성 축령산 편백림 속의 단풍     취서사지의 단풍        애일당의 강기욱 선생께서 만든 소나무 다탁삼백년 묵은 소나무로 심재에 관솔이 가..
* 성주사지(聖住寺址) * 무량사(無量寺) ● 성주사지(聖住寺址) : 충남 보령시 미산면 성주리                     ● 무량사(無量寺)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 2008. 11. 7 (금) 성주사지 백제의 법왕이 왕자 시절인 599년에 전사한 군사들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창건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면 혹, 백제 왕실의 원찰이 아니었을까? 처음엔 오합사(烏合寺)로 부르다가 하대 신라 시절,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온낭혜화상 무염(無染 : 801~888)이 이 곳에 주석, 사세를 크게 키우고 이른바 성주산파를 개창 하게된다. 보령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방 호족이었던 김양(金陽)이 '성인'(聖人)무염을 이 절의 주지로 모셨다하여 성인이 거 하는 절 이라는 뜻의 성주사(聖住寺)로부르기..
황해의 길잡이 오서산 그리고 백야 김좌진 장군의 묘 ◆ 오서산(790.7m) 충남 홍성군, 보령시, 청양군 일대                 ▲ 정암사 ~ 오서정 ~ 정상 ~ 정암사(원점회귀) 4 시간 소요                 ▲ 2008. 11. 7 금요일  충청권 일원을  항해하던 배들에게마치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해 주었다는 오서산  반갑다고 꼬리를 흔들며 마중을 나온 정암사의 삽살개 정암사의 만추   가을 초입의 칸나   - 신세경 -  발광을 하던 바로 그 놈 !  기어이 그녀의 붉은 혀를 덥석, 배어 물었다.  - 제 2 회 정암사 시화전에서 발췌 -   아래쪽의 아차산(423.9)이 운무속에 살짝 보일똥, 말똥.    오서산 정상 일원의 억새 능선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  어머니 - 오서산 억새밭에서 -       이 영 희 깊은 침묵의..
월악별곡(月岳別曲) ●  월악산  (月岳山 1,093m)                     ◆  덕주사 ~ 마애불(상덕주사) ~ 960.4봉 ~ 영봉(월악산 정상)                           ~ 960.4봉 ~ 만수암릉(위험구간) ~ 마방골 ~ 덕주골 ~ 덕주사                     ◆  2008. 10. 29 (수)  /  8 시간 소요 덕주산성과 동문 (德周山城) 충북기념물 제 35호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된 포곡식 산성으로 석성과 토성이 혼재된 상태로내성과 외성 등, 여러겹으로 이루어져 있다.     덕주사의 만추   상덕주사를 감싸고 도는 가장 안쪽의 내성  상덕주사의 추색 덕주사 마애불입상 (보물 제 406호)   13m 높이의 거대 마애불 입상으로양 어깨 윗쪽으로 목조전실이 있었던..
충주호반의 가을 소경 ● 2008. 10. 29 (수) 일출 깨어나는 중원의 산하 충주 호반의 새벽 오른편 끝, 구름모자를 쓴 월악 영봉 호반에 돌아드는 햇살 충주 호반의 만추 투명한 호반의 아침 월악의 영봉을 감싼 운해 호반에 잠긴 가을 해가 뜨면서 월악의 운해도 서서히 걷히는 듯 동이 터 오는 월악산 불타는 충주호반의 아침 충..
설악 탐승 / 마지막날 : 고개 고개로 날 넘겨 주게 ◆ 2008. 10. 19 (일)~ 20 (월)                ◆ 진동계곡(인제군 기린면) ~ 미천골 선림원지 (양양군 서면) 은비령을 향하면서 내려다본 한계령  한계령 휴계소에서 오색쪽으로 300여 미터쯤 가면, 약 9부 능선쯤에서인제군 기련면으로 빠지는 인제군도 10번 도로가 나 있다.워낙 깊은 곳 이어서 은비령(隱秘領)이라고도 하고 워낙 눈이 많이 내려서 은비령(銀秘領)이라고도 부른다고 하는데 왼편의 점봉산과 오른편의 가리봉사이를 구불거리며 내려가게 된다. 필례약수  가리봉에서 한계령으로 이어지는 능선 중간에서 기린면 쪽으로 뻗어내린산줄기의 끝자락 부분에서 솟아나는 약수로 위장병과 피부병은 물론숙취 해소에도 그만이라고 하는데 탄산수에다 철분이 많은 듯 벌건 색이다.저 약수로 라면을 끓였..
설악 탐승 / 일곱째날 : 남설악의 흘림골 주전골 ◆ 2008. 10. 19 (일)                 ◆ 흘림골 ~ 등선대 ~ 주전골 (3 시간 소요)  한계령의 가을 오색쪽 내림길의 표정  흘림골 쪽으로 내려가다 되돌아본 한계령의 단풍 한계령과 남설악의 침봉군 흘림골 들머리과거 한 때, 입산금지구역이었으나 현재는 등로와 계단이 잘 정비되어있다   둘레가 3 미터 이상 되어보이는 엄청난 굵기의 엄나무를 만났다   여심폭포 칠형제바위  등선대에서 바라본 설악의 모습흘림골의 등선대는 남설악 최고의 조망처라 할 수 있다맨 오른쪽이 대청봉  바로 앞 라인은 칠형제바위이고 그 너머는 한계령이다제일 뒷쪽 중앙에 솟은 것이 귀떼기청봉이고그 왼편으론 서북릉이 이어지고 있다  저 멀리는 점봉산(1424.2m) 등선대에서 바라본 기암군   등선대 고개마루 오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