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10)
경인탐매 (庚寅探梅) ~4~ 경인탐매(庚寅探梅)  ~4~               ● 고산매(孤山梅) :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 대월매(大月梅)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대월마을                ● 풍양조씨매(豊壤 趙氏梅)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대월마을                                     ▶ 2010. 3. 22 (月)   고산매(孤山梅)  夙聞貞潔最多情   不與東風紅紫爭一見孤山心便許    由來行誤曩時名 정결한 그 모습 가장 다정스런데동풍에 피는 뭇꽃들과 다투지 않는다지고산을 한 번 보고 쉬이 마음 허락하여예전의 그 이름 그르치고 말지니.  -  梅月堂 -     연분홍 겹홍매  孤山兩句得精神    數語可驚千古人 疏影暗香雖得骨   未知寒蘂獨淸眞  고산..
경인탐매 (庚寅探梅) ~3~ 경인탐매(庚寅探梅)  ~3~            - 雲林山房 4대 梅 -           ●일지매(一枝梅)  ● 산방매(山房梅) ● 운림매(雲林梅)   ● 사당매(祠堂梅)                                      ▶  2010. 3. 22 (월) 남도 석성 앞에 놓인 쌍운교, (문화재자료 제215호)  • 1930년대 주민들에 의해 세워진 것으로 편마암질의 다듬지 않은 돌과 강돌을 사용하여 축조한 쌍무지개 형식의 아름다운 다리.   남도 석성 조선시대 왜구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수군과 종4품 만호(萬戶)를 배치하여조도해협과 신안 하의도 해역 등을 관할하였다.성의 길이는 610m, 높이 5.1m로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성 안에 관아와 내야 그리고 객사가 복원되어 ..
경인탐매 (庚寅探梅) ~2~ 경인탐매(庚寅探梅) ~2~               ♥ 노사매(蘆沙梅) : 전남 장성군 진원면 진원리257                  ♥ 마령야매(馬嶺野梅) : 전남 장성군 남면 마령리                 ☞  2010. 3. 19 (금)  고산서원(高山書院) - 전라남도 기념물 제53호 - 조선 성리학의 6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는 노사 기정진(蘆沙 奇正鎭 1798~1879) 선생이고종 15년 담대헌(澹對軒)이라는 정사(精舍)를 지어 학문을 강론하던 장소였다.1924년,  선생을 기리는 후학들이 발기하여 서원을 건립하고, 노사를 비롯, 조성가, 이치선, 김록휴,조의곤, 정재규, 기우만, 김석구, 정의립을 배향했다고 한다..  노사매(蘆沙梅) 수령은 약 100년 쯤으로 추정한다는데생육 환경이..
경인탐매 (庚寅探梅) ~1~ 경인탐매(庚寅探梅)   ~1~                             ♥ 선암매  ♥ 납월매  ♥ 낙안매                     ☞  2010. 3. 17 (수)  선암매의 향기가 그리워서...   팔상전 뒷편의 백매와 차밭으로 오르는 담장가의 홍매 모두다 아직은...  음력 이월초이튿날의 선암홍매  모두 22그루의 백매와 홍매로 이루어진 선암매.천연기념물 제488호로 지정되어 있다.   맨 윗쪽 차밭에 인접한 청매는 개화가 시작되었다      그 옛날의 추억이 깃든 선암사 객실 그리고 매화       ▼ 금둔사 납월매전각 지붕을 배경으로 어우러진 홍매와 백매  너무나도 핍진한 납월매향     금전산 금둔사는 지금 납월매향의 바다           겹홍매           생강나무..
개혁 사상가 정여립의 한이 서린 천반산(天盤山) ■ 개혁 사상가 정여립의 한이 서린  천반산(天盤山)           ▶ 전북 진안읍 가막리, 동향면 성산리, 장수군 천천면 연평리 경계             ▶ 당집 - 농가 - 서릉 - 할미굴 - 한림대터 - 성터 - 뜀바위 - 575.8m봉 - 말바위                    - 천반산 깃대봉 정상(646.7m) - 동릉 - 안부 - 먹개골 - 당집 (5시간)            ▶ 2010. 3. 13 (토)  당집   들머리   힐끔  ~~~    가막골 앞을 휘돌아 가는 금강의 상류 연평천(장수천)  서릉 당도   덕유에서 발원한 구량천과 천반산 서남쪽을 돌아 내려온 연평천이 만나는 곳에 자리한 죽도(竹島)   나도 한 컷 ~~~  - 할미굴 - 세조의 왕위 찬탈에 항의 낙향, 이 ..
武人의 길을 가는 아들에게 ■ 2010, 3, 6 (금)            아들 아이의 뒷 모습  식당 앞에서 마주친 내 아이 동기생들의 합창  " 아버님, 안녕하세요. 블로그에서 봤습니다" "에궁~~~"  도열한 졸업생 일동        사열과 분열   (청와대 제공 사진)육군3사관학교 제45기 졸업 및 임관식 대통령 축사사랑하는 육군 3사관학교 제45기 졸업생도 여러분,이 자리에 함께 하신 학부모와 사관생도,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위풍당당하게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출발하는 여러분의 졸업과 임관을 온 국민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합니다.여러분의 우렁찬 함성과 늠름한 기상을 보니 참으로 자랑스럽고 마음 든든합니다.그동안 땀과 눈물로 '충성벌' 을 적신 여러분께 다시 한 번 축하와 격려의 말씀을 드립니다. 조국의 간성을 길러낸 학..
우중암자순례 (雨中庵子巡禮) ■ 우중암자순례 (雨中庵子巡禮)             ▶ 해인사 - 희랑대 - 지족암 - 백련암            ▶ 2010, 3, 1 (월)   용문폭포        퇴옹당 성철 선사 사리탑   팔만대장경   장경각        해인사 경내   참배객의 족적     굴뚝의 높이도 사세에 걸맞게 엄청난 높이로고...    암자 순례길        희랑대      희랑대에서 바라본 지족암    백련암               노각나무 표피와 봄을 재촉하는 비    스님네들의 전용 포행로를  따라 희랑대에 당도    되돌아온 큰 절          애당초 가야산을 오를까 생각했는데비에다 강풍까지 불어댄다는 예보에 그만 주눅이 들어산내 암자 순례로 방향을 틀었다.  모르긴 해도 가야산 전체를 통틀어 옛 모..
무흘구곡(武屹九曲) ■ 무흘구곡(武屹九曲)  제 9곡 용소폭포 아홉 구비 머리 돌려 다시금 한숨 쉬나니내 마음 산천이 좋아 이러함이 아니로다근원은 본디부터 말로 못할 묘함이 있나니이곳을 버려두고 다른 세상 물어야만 하나        제 8곡 와룡암(臥龍巖) 여덟 구비 가슴을 여니 눈앞에 활짝 열리고냇물은 흘러가는 듯 다시금 맴돌고자욱한 구름 꽃과 새는 흔연히 어울려서유람객 오든지 말든지 상관하지 않누나     제 5곡 사인암(舍人岩)  다섯 구비 맑은 못은 얼마나 깊었는가?못가에 솔과 대는 숲을 이루었도다두건 쓴 사람은 단 위에 높이 앉아인심과 도심을 강론하며 말하네    제 4곡 선바위 넷째 구비 백 척 바위에 구름 걷히고바위 위 꽃과 풀은 바람에 나부끼네그중에 그 누가 이런 맑음을 알겠는가?천심에 개인 달빛 못에 비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