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55)
을사탐매乙巳探梅 (6) 부지당不知堂에서의 다회茶會모리거사님과 며느님과의 찻자리찻자리를 펼친 며느님께서는 차茶 전공으로 숙명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으신 바 있는 재원이시다.손녀의 그림 재롱을 흐뭇함으로 지켜보시는 중. 장성 백암산에서 흘러내리는 시냇가에 흐드러진 벚꽃 감상.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 )훈몽재는 임란 때 소실되었으나, 5세손인 자연당 김시서가 장성에서 이곳에 은거하여 선조 하서 김인후의 유업을 계승하고자 1680년 경 훈몽재를 수축하고, 그 옆에 초당 자연당을 지어 학문을 닦으며 명사들과 교유하였다. 세월이 흘러 훈몽재가 퇴락하자 1827년(순조 27) 후손과 순창 유림들의 공의로 사우 건립을 도모하여, 1831년(순조 31) 어암서원을 건립하고 하서 김인후를 주향으로 율곡 이이, 송강 정철, 자연당 김시서를 배향하..
을사탐매乙巳探梅 (5) 이 다리를 건너 강선루에 오르는 순간 누구나 신선의 반열...!삼인당의 물빛도 잔뜩 봄을 머금은 듯.선암사 대문 계단 양 옆을 호위하는 석조물.대문 안쪽 출목 아래 내걸린 선암사의 옛 현판이다.삼성각 구역의 매화예전 이 명물 소나무 아래 기와 담장 구역엔 물이 담겨 있었는데 지금은...봄날 조선 최고의 아름다운 절집을 보려거든 무조건 선암사로..나라 안 최고 수령의 토종 백매인 '선암매'의 위용.헌데 아뿔사! 꽃이 거의 다 떨어져 버렸다.지난 69년 이후 이런 경우는 처음인 듯 싶다. 아마도 몇 번인가의 한파 때문인 듯경내를 벗어나 '야생차 시음장'에 들러 홀로 차 한 잔을 청해 마시며...조계산의 명물 '히어리'해질녘의 쌍봉사담장 밖에 선 매화철감선사탑 사 면을 담아 보았다.장독대를 지키는 살구꽃담장 ..
을사탐매乙巳探梅 (4) 명옥헌 연못길 배롱나무 연지명옥헌梅죽림재梅중앙 상부 부분 가지에 꽃이 없는 걸로 보아 말라버린 듯.환벽당梅환벽당 앞을 흐르는 자미탄 조어대지실마을 와룡매이곳 지실마을 계당에 자라던 '계당매' 두 그루 모두 사라지고 없었다.어디로 옮겨갔는지 아니면 버혀져 버렸는지 사연을 알 길이...소쇄원 가는 길오곡문 앞에 선 아담한 백매제월당 앞 매화는 거의 다 꽃잎을 떨군 상태.담장 밖 매화도 거의 다 진 상태다.이 역시 상부 쪽 매화만 남고 거의 다 진 상태.식영정노송 그늘 아래 자라는 식영정梅식영정의 노송과 홍매와의 어우러짐 임대정梅온 몸을 비틀어 땅을 기어가다 잠시 위로 솟구쳐 한 줄기 매화를 피워내는 임대정 원림의 '임대梅'썩어가던 줄기 목질부를 수지로 감싸놓았지만 얼마나 수명을 더 이어갈지 내심 궁금.  마..
을사탐매乙巳探梅 (3) 노사매장성 진원면 고산서원괜시리 꾸물댔더니만 매화가 거의 다 저버린 상태다.유성류 나무 가지와 어우러진 '노사매'꽃받침이 녹색인 '녹악매'이다.고산매가지가 많이 잘려 나간 모습이다.이른바 '삼문매三問梅'로 불리운다.나라 안 '고매故梅'를 대표하는 매화 중 하나이다.수령을 짐작키 어려울 만큼 故梅가 갖추어야 할 조건에 완벽히 부합하는 매화이다.위 '삼문매'가 서 있는 유종헌 가옥 바로 아랫쪽 민가 정원 담벼락에 선 홍매인데대문이 잠겨 다가갈 수 없어 수령 등을 가늠하기 어려운 조건.이 매화가 선 이 동네 이름이 '얼그실'인 모양위 홍매가 선 담벼락을 따라 올라가니 준수한 소나무와 정자가 어우러진 모습.'하심당'을 찾아가는 동네 어귀에 전에 보지 못했던 정자와 세거지 비가 보인다.창평 '하심당'하심당 마당에..
김명관 고택 김명관 고택에 이르는 길, 산외면 평사리 논 가운데 자리한 유려한 수세의 반송 한 그루정읍井邑 김명관金命寬 고택古宅 예전엔 '정읍 김동수 가옥'으로 불렸었는데 이번에 가 보니,그의 6대조인 김명관이 1784년 지었다고 해서 ‘정읍 김명관 고택’으로명칭이 변경되어 있었다. 1971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고. 마을 앞으로 동진강(東津江)의 상류가 서남으로 흐르고 있다. 대문에 들어서 사진의 오른쪽 문을 통과하면 사랑채 구역에 이른다.사랑채정면 5칸, 측면 3칸 크기로 서남쪽에는 대청이 있고 동남쪽에 2칸의 사랑방과 ㄱ자로 꺾여 1칸의 침방이 있다. 사랑방과 침방에 불을 때는 함실부엌 앞에는 조그만 방이 있는데 이곳에는 10세 정도 된 아이가 늘 있어 노인의 심부름을 하였다고 한다..
49재를 천도예술제로... 이른바 '규당圭堂 고택'에 들어서자니 왼편으로 준수한 배롱나무 한 그루가 시선을 끕니다. 소고당( 규당 고택의 또 다른 당호. 정읍 산외면 소재)고택 뒷편 산 능선의 흐름이 풍수 상 이른바 평사낙안(平紗落雁)에 해당한다는평사리 규당 고택에서 치러진 '故 안종대 선생 49재 천도예술제'구례 판소리학교장이신 김소현 명창께서 웅혼한 동편제 한 자락을...대금 연주와 구음口音이 한데 어우러지는 독특한 무대.예술제 현장에서의 한국화 작업.재실로 향하는 길.대나무 발을 뒤집어 쓴 채 망자를 인도하는 퍼포먼스율려춤의 이귀선 님서울솔리스트재즈오케스트라 이준석 수석의 트럼펫 연주.망자의 자제분이신 초암 안기영님의 작품 '만다라'사회자기타리스트 김광석 님하모니카 연주자 박영근 님.기타리스트 야니 김도연 님노래와 연주  ..
무성서원 정읍 칠보면을 흐르는 동진강변 청매 행렬에 가던 길을 멈추고...정읍井邑 무성서원武城書院고려시대 지방 유림의 공의로 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생사당(生祠堂)을 창건하여 태산사(泰山祠)라 하였고, 고려 말 쇠약해졌다가 1483년(성종 14) 정극인(丁克仁)이 세운 향학당(鄕學堂)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1549년(명종 4) 신잠(申潛)의 생사당을 배향하였으며, 1630년(인조 8) 정극인 · 송세림(宋世琳) · 정언충(鄭彦忠) · 김약묵(金若默)과 1675년(숙종 1) 김관(金灌)을 추가 배향하였다.1696년(숙종 22) 최치원과 신잠의 두 사당을 병합한 뒤 ‘무성(武城)’이라고 사액(賜額)되었다. 현가루(絃歌樓)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인 현가루는 중층 팔작기와..
을사탐매乙巳探梅 (2) 신안 임자도 홍매화 정원진도 어디에선가 옮겨왔다는 홍매.행여 냉해라도 입을세라 대나무 발을 쳐서 매서운 바닷바람을 막아놓은 듯.'홍매정원'의 얼굴 마담 수준의 대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이던데 굴취와 옮겨 심은 토양에 대한 스트레스인지, 상당수의 가지가 고사한 가운데 전체적인 수형과 수피등을 가까이 다가가서 자세히 살피진 못했지만 글쎄올시다! '고매' 수준이라기엔...?  수형을 비롯한 전체적인 정황상 언뜻 살구나무가 연상되던데...누군가의 대화에 응대하다가 꽃의 향기 여부는 살피지 못한 채 그냥 지나치고 말았다.해남 '보해매원' 등 여기저기에서 옮겨왔다고 들었다.본디 꽃 감상으로 심은 매화(梅花) 라기 보다는 열매(梅實)를 얻기 위해 식재되었을 터.'백억동산百億園'은 그만큼 많은 돈을 들여 조성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