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칠보면을 흐르는 동진강변 청매 행렬에 가던 길을 멈추고...
정읍井邑 무성서원武城書院
고려시대 지방 유림의 공의로 최치원(崔致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생사당(生祠堂)을 창건하여
태산사(泰山祠)라 하였고, 고려 말 쇠약해졌다가 1483년(성종 14) 정극인(丁克仁)이 세운 향학당(鄕學堂)이
있던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1549년(명종 4) 신잠(申潛)의 생사당을 배향하였으며, 1630년(인조 8)
정극인 · 송세림(宋世琳) · 정언충(鄭彦忠) · 김약묵(金若默)과 1675년(숙종 1) 김관(金灌)을 추가 배향하였다.
1696년(숙종 22) 최치원과 신잠의 두 사당을 병합한 뒤 ‘무성(武城)’이라고 사액(賜額)되었다.
현가루(絃歌樓)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인 현가루는 중층 팔작기와집으로 되어 있으며,
1층 바닥은 흙으로, 2층은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毁撤)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그 뒤 계속적인 중수와 보수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사우(祠宇) ·
현가루(絃歌樓) · 명륜당(明倫堂) · 강수재(講修齋) · 흥학재(興學齋) · 고사(庫舍) 등이 있다.
1968년 12월 19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무성서원은 2019년 7월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이라는 명칭으로
다른 8곳의 서원과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해설: 백과사전 참조
통정대부 전비서감승前秘書監丞 신용희申瑢熙 불망비不忘碑이다.
서호순徐灝淳 불망비不忘碑이다.
서원 건물의 핵심이 되는 명륜당明倫堂이다.
태산사泰山祠
사우는 1884년에 중수한 것으로, 정면 3칸과 측면 3칸에 홑처마 맞배기와지붕으로 되어있으며,
최치원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좌우에 신잠 · 정극인 · 송세림 · 정언충 · 김약묵 · 김관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현재 건물은 헌종 10년(1844)에 세운 것이라고.
사우에서 돌아본 무성서원 편액이 걸린
대청마루와 좌우 협실이 딸린 명륜당 건물 후면.
강수재講修齋
동재(東齋)인 각 4칸의 강수재와 흥학재는 숙종 때 건립되었다가
중수한 것으로, 유생들이 기거하면서 공부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서원 뒷편 담장 아래 심어진 홍,청매 행렬
참으로 오랜만에 찾은 정읍 '무성서원'
일요일 이라곤 하지만 탐방객들의 모습이 끊이지 않고 간간히 찾는 모습이었다.
모두들 해설사의 말을 놓치지 않으려는 듯 귀를 세우는 모습 들...
'자연 > 산행·여행·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 감상 (3) | 2025.04.07 |
---|---|
김명관 고택 (0) | 2025.03.31 |
향제줄풍류의 산실 정읍 진산동 영모재 (8) | 2025.03.01 |
고성 송학동 고분군 (0) | 2025.02.25 |
무이산 문수암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