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인들의 유람록 <설악산 1편>
도판 / 조선팔도고금총람도朝鮮八道古今總覽圖 1673년, 127.5×88.4cm, 개인 소장. 정범조丁範祖, 「설악산 유람기雪嶽記」 무술년(1778, 정조2) 가을, 내가 양양의 임소(치소)로 가다가 북쪽으로 설악을 바라보니, 구름 가에 우뚝하여 아주 장대하였으나, 관리의 일정이 촉박하여 가서 놀 수가 없었다. 다음 해 3월 상운祥雲의 승丞 장현경張顯慶 사응士膺, 고을의 선비 채재하蔡載夏 군과 약조하여 함께 출발하였다. 그리고 철질 신광도申匡道, 사위 유맹환 兪孟煥, 아들 약형若衡이 따랐다. 신축일(17일)에 신흥사神興寺에서 묵었다. 절의 주위에 천후天吼 · 달마達摩 · 토왕土王의 여러 봉우리들이 둘러 서 있다. 설악의 바깥 산들이다. 임인일(18일)에 신흥사 승려 홍운에게 견여를 인도하게 해서 북쪽으로 ..
선인들의 유람록 <묘향산 1편>
전傳 강희안姜希顔, , 15세기 중엽, 22.2×21.5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다리를 건널 적, 두려움에 떠는 동자를 선비가 이끌어가면서 안정시키는 모습이다. 다리는 진리로 향하는 외길로, 선비는 통유通儒를 상징하는 듯하다. 묘향산妙香山 평안북도 구장군球場郡 · 향산군香山郡과 자강도 희천시熙川市, 평안남도 영원군零遠郡 · 덕천군德川郡과의 경계에 있는 해발고도 1,909미터의 산으로, 묘향산맥의 주봉을 이루며 한국 4대 명산의 하나로 꼽는다. 일명 태백산太白山, 太佰산 또는 향산이라고 한다. 향목 · 동청冬靑 등 향기로운 나무가 많아 고려 이전부터 묘향산으로 지칭되어 왔다. 조호익曺好益, 「묘향산 유람록遊妙香山錄」 우백천牛白遷,(소시리 벼랑) 골짝 어구로 들어서서 첫 번째 다리, 두 번째 다리를 건너..
옥산서실玉山書室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129 대문위로 송산세사(松山世祠)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1호. 옥봉사 강당 중건 기실비 너머로 보이는 유물관. 조선 선조 때의 문장가인 옥봉 백광훈(1537∼1582)과 그의 아들인 송호 백진남(1564∼1618) 등 후손들과 관련된 유품들로, 옥봉유물관에 모두 모아 보관하고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그 가운데 9종 113점이다. 백광훈은 최경창, 이달과 함께 3당 시인으로 불리었으며, 조선 8대 문장가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의 아들인 백진남은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의 휘하에서 전쟁에 참가하였다. 지정된 유물을 보면 『백광훈교첩』, 유학백진남백패, 『옥봉집』, 『가장필적』, 『장서동수창록』, 백옥봉 목판, 한석봉서증백진사 목판, 『옥봉집』목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