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산행·여행·풍경 (922) 썸네일형 리스트형 울금바위에 올라 매창을 노래하다 2011. 2. 12능가산 개암사 매창의 혼이 서린듯한 '개암梅' 앞에서 절 마당을 높이는 바람에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땅 위로 뿌리를 솟구칠 수 밖에 없는 '개암매'의 처절한 몸부림.마치 폐병으로 숨졌다는 매창의 원혼을 보는 듯. 능가사에 와서 어찌 매창을 떠 올리리 않을 수가 있단 말인가...당의 현종이 양귀비를 일컬어 '해어화'(解語花)라 했다던가?기녀 매창은 그야말로 '해어화' 진, 선, 미 가운데 단연 맨 앞자리의 眞에 해당될 터. 모두가 매창을 조선 여류 시조시인의 반열에 올리는데 주저함이 없기에. 이화우 흩날질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추풍낙엽에 저도 날 생각하는가천 리에 외로운 꿈난 오락가락 하노라 37살의 나이로 남의 집 곁 방에서 죽음을 맞은 매창.그가 숨을 거둘 .. 부안기행 2011. 2. 13 / 14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 탕건을 쓰고 퉁방울 눈을 부라리는 해학에다 수염까지 조각되어 있다.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으로 할머니 석장승.예전엔 돌솟대 등이 함께 있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부안을 대표하는 시인 석정(夕汀) 신석정((辛夕汀) 고택 신석정 (1907~1974) ※ 사진은 고택 내부에 걸린 선생의 사진을 카피한 것이다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어머니!당신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깊은 산림대를 끼고 돌면고요한 호수에 흰 물새 날고좁은 들길에 들장미 열매 붉어멀리 노루새끼 마음 놓고 뛰어다니는아무도 살지 않는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해금강의 화신 동백 2010. 2. 9 천남성 바람의 언덕 오리지널 조선 동백숲 바람의 언덕 비와 운무를 동반한 가덕도 산행 가덕도 / 부산광역시 강서구 ☞ 눌차선착장 - 외눌 - 내눌 -동선방조제 - 강금봉 - 응봉산 - 매봉 - 연대봉 - 매봉 - 천성마을 ☞ 4시간 30분 2011. 2. 8비가 내리는 가운데 눌차 선착장을 출발 멀리 첫번째로 오르게될 삼각형태의 강금봉이 눈에 들어온다. 뭔가하여 물어봤더니 굴 종패를 생산하는 가리비 꾸러미란다. 설마 산행 내내 비가 내리진 않겠지 했던 생각은어디까지나 희망사항에 불과했다는 사실... 체질상.. 입춘관수 / 立春觀水 2011, 2, 5 눈 녹은 물이 재잘거리는 전대수련원 옆 남창골 계곡 얼음장 아래서도 뭔가 두런대는 봄의 기운이... 경쾌함과 청아함의 하모니 삼나무 숲을 지나며 갑자기 하늘이 코발트빛 색감으로 바뀐다. 입암산성 남문 도인들이 떠난 산성리 골짜기 버드나무의 기세에서도 봄이 오고 있음이 느껴지고... 별장 윤진 순의비(尹軫殉義碑) 윤진은 어려서부터 학문과 무예를 부지런히 닦았으며, 음서로 사옹원봉사에 임명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일어나자 김경수(金景壽)를 맹주로 한 장성 남문창의에 참여하여 종사로 활약하였다.윤진은 장성에 머물면서 전라도를 방어하는 데에 있어서 입암산성의 중.. 빙설심연 / 氷雪深淵 2011. 1. 31빙설심연(氷雪深淵)의 관문 용초빙폭 불태산 서동골 용초폭포 협곡 ***************************************************************** 장성 축령산 금곡영화마을 休林 설경 ※ 위 4 장의 사진은 2010년 2월 12일에 찍은 것이다 **************************************************************** // 氷 雪 深 淵 // ... 벌써 이천십일년의 달력을 한 장 떼어내야 하다니.... 시린 겨울산에 올라 번뇌를 씻노라 축령산(문수산)- 전남 장성군 / 전북 고창군 금곡영화마을 / 세심원 / 들독재 / 정상 / 편백림 / 연못길 / 금곡영화마을 (4시간15분) 2011. 1. 27금곡영화마을 세심원 하경 장성과 고창을 나누는 들독재이 곳에서 영산기맥을 따라 좌측으로 들독재에서 바라본 금곡영화마을 골짜기 멀리 축령산(문수산)정상을 가늠해 보고. 도중, 편백림 임도에서 올라온 산객을 만나힘든 럿셀의 바톤을 넘겨.. 설산에 들어 도타운 정담을 백암산 - 전남 장성군 남창골 / 하곡동 / 상왕봉 / 백학봉 / 학바위 / 약사암 / 백양사 / 가인마을 2011. 1. 22몽계빙폭 사자봉과 상황봉, 금강계곡과 하곡동을 잇는 십자로가 눈 앞에... 상왕봉을 향하여 운문암과 금강암이 똬리를 튼 금강계곡 조망 올라온 하곡동 하경 사자봉 라인과 왼쪽 멀리 가인봉 조망 상왕봉에 올라선 정담파의 면면 순창군 복흥면 일대 ..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