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탐매 (190) 썸네일형 리스트형 계사탐매 (癸巳探梅) 15편 계사탐매 (癸巳探梅) 15편 도암매 道岩梅 / 송덕매 頌德梅 / 취백매 翠白梅 2013. 4. 7 도암매 道岩梅 무 고창 무장읍성의 성문이 근래들어 복원된 모습이다. 송덕매 頌德梅 송사지관 松沙之館 취백매 翠白梅 취백당 翠白堂 취백송 翠白松 ********************************.. 계사탐매 (癸巳探梅) 14편 계사탐매 (癸巳探梅) 14편 고불매 (古佛梅) 2013. 4. 6 예전의 왕성했던 수세가 세삼 그리운 백양사 고불매아래 사진은 2008년 고불매의 수세가 가장 왕성했을 때의 모습이다. 아래는 우화루 주련에 내걸린 詩다. 江國春風吹不起강쪽 지방의 봄바람은 아직 불지 않는데 鷓鴣啼在深花裏 자고새 울음 소리 꽃밭 속에 갇혔으나 貳級浪高魚化龍 (부처님 법 깨달은 이) 높은 파도 넘어서.. 계사탐매 (癸巳探梅) 13편 계사탐매 (癸巳探梅) 13편 대명매 / 장전매 / 이씨매 / 유씨매 / 미암매 2013. 4. 3 대명매 대명매 오른쪽의 두 개체는 과도한 전정 탓인지 올해는 거의 꽃을 피우지 못했다. 유씨매 3년 만에 다시 찾은 대덕면 비차리 유농중씨 댁 백매.산골짜기로 이어진 길을 한참 올라가야 하는데 지난 2 년여 길 초입을 쇠사슬로 막아놓아가 보질 못했었다. 워낙 개화가 빠른 개체인지라 꽃이 거의 다 져버린 모습이다. 5 엽 혿백매이다. 장전매 한 쪽 가지 상단부가 고사 해 버린 듯. 몇 년 전에 가지가 부러져 나간 것도 모자라지난 겨울 모진 한파 때문인지 이번엔 .. 계사탐매 (癸巳探梅) 12편 계사탐매 (癸巳探梅) 12편 와송당매 / 하심매 / 하심쌍매 2013. 4. 3 와송당매 문화유씨종가매. 삼문매 등으로도 불리운다. 일명 '와송당의 정침(臥松堂의 正寢)'이라고 불리는 문화유씨의 종가. 성종 경인년(1470)에 증이판행훈도인 유문표가 창평에 들어와 이곳에 살기 시작하였고, 중종조의 명신인 정간공 우석헌 선생의 태지이기도 하다. 명종 임자년(1552)에 송강 정철(松江 鄭澈)이 문화유씨(文化柳氏) 석헌(石軒) 손녀와 결혼, 신방으로 사용하기도 한 곳이다. 와송당의 정확한 건립연대에 대한 문헌은 없으나 송강의 4남 정홍명의「維村外家舊業重修上樑文」에 의하면 1647년에 대중수를 하였고 1919년에 와송당 정침구조의 변화가 생겼다. 본래 정침(안채)는 터진 입구자형(□)으로 원래는 대청.. 계사탐매 (癸巳探梅) 11편 계사탐매 (癸巳探梅) 11편 죽림매 / 명옥헌매 / 고서매 2013. 4. 1 죽림매 명옥헌매 고서매 ****************************************************************************************************************** 고서면 분향리 들판엔 아직도 봄날 햇살이 충만하건만산비탈 동쪽을 바라보고 지어진 죽림재엔 벌써 짙은 음영이 드리워졌다.카메라렌즈는 사람 눈처럼 밝음과 어둠의 조화를 분간키 어려운게 사실.. 계사탐매 (癸巳探梅) 10편 계사탐매 (癸巳探梅) 10편 대명매 / 환벽당매 / 지실와룡매 2013. 4. 1 대명매(大明梅) 환벽당매 지실 와룡매 *********************************************************************************************************** 대명매는 2~3일 후면 만개 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 봄, 무슨 사연.. 계사탐매 (癸巳探梅) 9편 계사탐매 (癸巳探梅) 9편 - 서울대학교 우리문화탐사회와 함께 - 2013. 3. 30 월봉서원 교육관을 배경으로 철학자의 길 시작점에서... 고봉 선생 신도비에서 바라본 백매 백우정을 배경으로... 월봉서원에 들어서는 우리문화탐사회원 여러분 빙월당에서 강기욱 선생님의 고봉철학에 대한 요약 서울대학교 우리문화탐사회원 여러분 고봉 선생 묘소를 향하여... 고봉 선생 묘소에서의 묵념 월봉서원 사무실 뒷편 담장너머의 고목 살구나무 다음 주 말 쯤이면 아름답게 피어난 살구꽃의 진수를 볼 수 있을 터이다. **********************************.. 계사탐매 (癸巳探梅) 8편 계사탐매 (癸巳探梅) 8편 도래마을 / 계은매(溪隱梅) 2013. 3. 28 나주시 다도면 풍산리 도래마을 홍기창 가옥(전남민속자료 제9호) 마을 입구에 있는 연못과 정자, 학당 등에는 이 마을의 역사와 삶의 자취가 고스란히 배어있다.조선 중종때 풍산홍씨(豊山洪氏) 홍한의(洪漢義)가 기묘사화를 피해 이 곳에 정착하면서 풍산홍씨의 집성촌이 됐다고 전해진다. 그래서인지 도래마을에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가옥이 많이 남아 있다. 정철, 양사언 등이 머물렀던 양벽정, 마을 대소사를 논의하는 영호정도 중요한 문화 자산. 홍기창 가옥에 피어난 삼지닥나무 마을길을 따라 걸어 올라가면 그 끝에 풍산 홍씨의 종가인 '홍기응 가옥'이 자리잡고 있다. 중요민속자료 제151호인 이..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