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산행·여행·풍경 (922)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례 쌍산재(雙山齋) 구례 쌍산재(雙山齋) 전남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 2011. 8. 13 쌍산재와 당몰샘 당몰샘은 원래 쌍산재의 사랑채에 딸려있는 우물이었다고 한다. 천년고리 감로영천이라....! 예부터 장수 마을로 유명했던 사도리 상사마을. 이 마을의 자랑은 바로 물이다. 당몰샘을 들여다 보면 그 흔한 이끼 하나 보이지 않을만큼 맑기만.. 구례 운조루(雲鳥樓) 구례 운조루(雲鳥樓) 2011. 8. 13 운조루 전경 운조루 앞의 내명당수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며(東出西流), 외명당의 섬진강 물은 서쪽에서 나와 동쪽으로 흘러(西出東流) 내외명당수가 서로 엇갈리게 흐르게 된다. 운조루의 대문 앞에 흐르는 물(내명당수)과 종자뜰 밖의 섬진강(외명당수)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따라서 운조루 앞의 물길은 풍수에서 말하는 내외수류역세(內外水流逆勢)의 형세를 갖추게 된다. 풍수에서.. 구례 곡전재(穀田齋) ● 구례 곡전재(穀田齋) 2011. 8. 13 곡노 중간채 지리산에서 내려 오는 물이 집안 내부연못을 거쳐 중간채 앞을 휘돌아 나간다. 춘해루 춘해루 옆 연못 춘해루에서 바라본 사랑채 객실 쥔장 이 병 주 선생 장독대 집안 내부 대밭 속에 산책로가 마련되어 있다. 안채 서행랑 객실 중간채와 ..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구례 논곡리 3층석탑 / 구례 향교 / 구례 야생화 압화전시관 / 2011. 8. 13 섬진강을 따라 달리는 레일바이크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求禮 論谷里 三層石塔) 기단 맨 윗돌에 두꺼운 연꽃받침을 두어 탑신을 받치도록 한 형태이다. 기단의 화려한 12개의 연꽃조각이 특이한 양식이며 탑을 돋보이게 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원래 이곳애 ‘황룡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고는 있으나 고증자료가 없어.. 연꽃순례 홍련암(완주 비봉면) / 덕진연못(전주시) 2011. 7. 18 홍련암 아직 한참을 더 기다려야 할 듯. 토굴 앞에 언제나 정갈한 모습으로 놓여있던 흰고무신이 보이질 않는다. 새로 오신 비구니 스님께서 내 놓으셨다는 문구라는데... 전주 덕진연못 .. 여산기행 여산 동헌 / 천주교 순교지 / 여산향교 - 전북 익산시 여산면 - 2011. 7. 18 여산 동헌 건축 년대는 확실치 않으나 조선시대 후기의 건조물로 추정된다. 건축양식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목조건물로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앞부분의 주춧돌의 높이가 뒷면의 주춧돌보다 높게 되었는데, 특히 좌측 전면의 .. 관촉사 은진미륵 2011. 7. 18 관촉사 해탈문 다른 사찰에서는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문이다. 양쪽 돌기둥은 폭 40㎝의 장방형으로 되어있고, 윗면 천정(天井)에 5개의 장대석을 얹음으로서 4각형의 석문을 이루고 있다. 제작 축조년대에 관한 기록이나 고증은 없으나 고려시대로 추정한다고. 본래 동서남북 네 개의 문이 있었으나 동쪽의 이 문만 남았다고.창덕궁의 불로문(不老門)과 함께 가장 아름다운 석문으로 꼽는다는 관촉사 해탈문.고개를 숙여야만 들어 올 수 있을 정도의 작은 문은 절대자를 친견키 위한 일종의 배려는 아닐까...? 관음전 유리창 너머로 다가 오는 은진미륵. 석조미륵입상 : 보물 제218호 한 여인이 반야산에서 고사리를 꺾다가 아이 우는 소리를 듣고 가 보았더니 아이는.. 궁남지 연향 2011. 7. 18 부여 궁남지 쇠물닭 [common gallinule] ************************************************************************************************** 장마와 함께 찾아온 불청객 '대상포진''수두바이러스'란 넘이 그렇게 쎈 넘인 줄 예전엔 미쳐 몰랐었다. 간신히 물리치긴 했지만 후유증이랄까? 온 몸의 기가 모조리 빠져 나간 듯. 현기증에다 울렁거림 정도는 아직까지도 현재진행형. 궁남지 연향 효과의 신묘함을 기대하면서....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