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산행·여행·풍경

(922)
싸리꽃 흐드러진 독락당 2014. 6. 11   싸리꽃 흐드러진 독락당       쥔장께서 직접 들려 주는 선조에 대한 해설이라!이런 모습을 과연 래방객에 대한 배려라 해야할지. 아니면....   경상 일원의 고택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닫힘과 폐쇄 그리고 ...   독락당 주엽나무      광으로 연결된 나무계단   커다란 향나무와 목단, 무화과, 산수유가 식재된 공간         쥔장의 열정 해설     독락당 원림의 핵심 공간            많은 것을 생각케 하는 집안 내부와 냇가로 이어진 담장길    쥔장께서 아예 프리젠테이션까지 해 가며 해설을...      담장 중간, 계류와의 눈팅이 가능하도록 목창살을...   약쑥을 심었다는 공간   계속해서 막아서는 담장 그리고 문      사당과 누각이 동시에 자리..
옥산서원 옥산서원 회화나무 숲길   회화나무에 대한 이해   옥산서원      서원 담장 밖 계류         옥산서원 탐방에 나선 경향 각지의 사람들             1631년본을 중심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책의 앞부분에 노수신이 쓴 서문이 있는데, 저자의 학문을 높이 평가하고 조선 성리학의 근원이 그에게서 시작되었다고 했다. 권1~5에는 시 390수가 실려 있다. 권5에는 성리학에 관한 그의 견해가 담긴 잡저(雜著)가 실려 있다. 권6에는 잠명(箴銘)·기(記)·제문(祭文)·행장(行狀)·비명(碑銘), 권7에는 1539년 전주부윤을 지낼 때 올린 〈일강십목소 一綱十目疏〉, 권8에는 1550년에 쓴 〈진수팔규 進修八規〉, 그의 사후 아들 전인이 올린 〈헌진수팔규소 獻進修八規疏〉가 실려 있다. 권13은 습유로..
고택 수오재(守吾齋) 유숙 소감 2014. 6. 10~11   하룻밤 유숙한 다음 날의 새벽.    경북 경주시 배반동 '수오재'   송림 산책길에 바라본 '보문사지' 일대.                      왼편이 수오재, 오른편은 별당 무연정, 일자 지붕은 매곡당.   수오재를 지키고 선 회화나무  안채인 수오재(왼편)과 아랫채   쥔장의 안내로 산책 준비중인 일행 여러분.   자전거로 보문사지 일대를 돌아 봅니다.                                 시대의 산물 반공표어가 반 토막 난 채...   다담 중인 별당 아씨 여러분.   전국의 고택들을 옮겨 지었다는 수오재     단소가 늘 손에 들려 있는 고택의 쥔장 이재호 선생.그리고 아래는 선생의 저서.  //                 대학과 대학원에서..
서악동 고분 달빛 트레킹 2014. 6. 10 서악서원                          백등에 소원과 염원을 적어넣는 일행            유교체험프로그램 행사평가 및 토론(청주 향교 팀과 함께)   경기대 이재철 박사- 모니터링 평가 및 스토리 텔링 콘텐츠 구성 -              Mystic Heart / Asha                   달빛 트레킹에 대하여   서악서원을 출발         무열왕릉에 도착         서악고분군 등불순례   고분군에서 바라본 경주 시내 일원       달빛은 커녕, 별빛 한 줌도 없는 선도산 자락.등불에 의지 고분군을 순례하며, 시대의 영웅들을 추억하는 스토리텔링. 뼈다귀와의 교신은 비록 불발이었지만,것도 나름 괜찮은 아이템인 듯.      ..
경주향교 방문 향교 우물
'天馬, 다시 날다' 특별展 투구 / 4세기 말머리 가리개 / 5세기 금관 / 5세기 상감유리구슬 / 5세기 장식보검 / 5~6세기 금제 은제 금팔찌 금제관모장식 신라능묘 특별전 3 천마총 경주 대릉원에 자리한 천마총은 1973년 발굴 당시 신라 고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만 추측하고 있었을 뿐, 제대로 된 이름도 ..
2014 고불 영산홍 2014. 4. 24  쌍계루   백양사 고불 영산홍       고불매와 나란히 선 고불 영산홍                                                                                                                   영산홍에 이어 오월이면 피어나게 될 각진국사의 이팝나무    **********************************************************************************    영산홍(映山紅).사전적 의미에서는 "진달래과에 속한 상록 관목"이라 정의 하고 있다.  진달래, 털진달래를 비롯 모든 철쭉류를 통틀어 '진달래과'라 통칭 한다지만수 백년 수령의 토종 영산홍에 관심을..
2014 야은재 영산홍 2014 야은재 영산홍 2014. 4. 21 야은재(野隱齋) 영산홍(映山紅) 원래 장성군 북하면 중평리에 있던 회계사(晦溪祠)의 강당 건물로 1868년(고종 5년) 훼철될시 당시 감역(監役) 김칠환(金七煥)이 살던집을 야은(野隱) 이용중(李容中)이 매입하여 현 위치로 이건 '야은재'라 칭하였다. 정면 5칸 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