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산행·여행·풍경 (922)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목 감상 10 장성 동화면 서양저수지와 멀리는 수련산 저수지 아래 습지 동계마을 울산김씨 재실 앞 홍매 청매 동계마을 돌아보기 팽나무 휨새 동호정 마을 앞에 조성된 수구림水口林 느티나무와 팽나무, 버드나무가 주 수종을 이룬다. 팽나무(좌)와 버드나무 마을 앞 돌솟대와 제단 동계마을 일대 수목 감상 9 장성군 삼계면 능성리 성산마을 4그루 느티나무. 3그루 수령: 각각 약 170여 년. 보호수에서 제외된 느티나무 남은 그루터기 크기로 보아 최소 300여 년 이상의 수령으로 보인다. 아마도 낙뢰 등으로 윗동 부분이 부러져 나간 듯. 필암서원 구역에서의 탐매 \ 지난 가을의 추억 확연루 안쪽 뜰의 백매도 터지기 시작. 청매 청매 산수유도 개화를 시작했다. 영춘화 필암마을 느티나무 약 200여 년 수령으로 보인다. 수목 감상 8 먼저 필암서원 백매 감상 장성 동화면 축내저수지 뒷산 임도에서 바라본 모습. 저 멀리 상무대가 자리한 태청산이 보인다. 산 너머로 광주 임곡동 소재 용진산 석봉(우)와 토봉(좌)가 보인다. 조금 당겨본 용진산 석봉으로 정상으로 오르는 철계단이 보인다. 장성 삼계면 내계리 야계마을 팽나무 수령 160년, 둘레 3m, 수고 약 20m. 장성 삼계면 부성동 마을 앞 수림. 약 일백여 년 수령으로 보이는 팽나무 장성 삼계면 자초마을에서 만난 준수한 참나무 한 그루. 보호수로 지정되진 않은 모양인데 처음 만나는 개체다. 느낌상 최소 이백여 년 이상의 수령으로 보인다. 굴참인지 졸참인지 상수리나무인지는 차후에 지켜 보기로... 이토록 장대한 참나무 계열의 나무 한 그루가 이곳에 서 있을 줄이야. 하루 빨리 '보호수.. 수목 감상 7 장성읍 상오리 우지마을 수령 약 200년에 둘레 2m라 적혀있던데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내용인지라. 내 느낌상으론 그저 일백여 년도 채 안되보이던데...? 장성읍 상오리 호산마을 느티나무 약 200여 년 수령에 둘레 4.2m, 수고 약 20m. 느티나무 바로 옆 집에 내걸린 멋스런 문패. 위 느티나무에서 약 5,60미터 떨어진 곳에 자리한 느티나무 수령 약 180년에 수고 14m, 둘레 3.2m 장성읍 상오리 상오마을 버드나무 수령 약 400년에 둘레가 4.5m라는데 이 역시 다소 오버스럽다는 느낌이다. 상오리의 또 다른 버드나무인에 이 나무는 보호수 대상에서 빠져있었다. 아마도 무슨 사정이 있었던 듯. 장성읍 유탕리 유탕마을 느티나무 약 350여년 이상의 수령으로 보인다. 높이 20m에 둘레 4.5m.. 수목감상 6 장성 성산초등학교 입구에 선 느티나무 수령 약 150여 년 추정. 성산초교 내 느티나무 수령 약 200여 년 추정 성산초교 팽나무 성산초교 쌍둥이 느티나무 수령 약 150여 년 추정 장성읍 야은 2구 채략마을 느티나무 수령 약 150여 년 추정 장성군 읍 야은마을 느티나무 수령 약 120여 년 추정 야은마을 '세심정' 장성읍 덕진리 구산마을 입구 구산마을 소나무 장성읍 덕진리 버드나무 마을 앞 개울가 수림. 덕진리 버드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되지 않은 모양. 이유가 궁금하다. 장성읍 덕진리 덕산마을 느티나무 수령 약 150여년 추정 장성읍 덕진리 덕산마을회관 옆 두 그루 버드나무. 이 역시 보호수 지정에서 빠져있었다. 덕산정과 느티나무 군락 준수한 버드나무 두 그루가 보호수에서 빠진 까닭은...? 수목감상 5 장성군 동화면 동호리 느티나무 수령 400년(?) '보호수'로 지정하면서 적어놓은 수령인데 도저히 수긍하기 어렵다. 이내 짐작으론 200년도 채 되지 않아 보였기에 하는 말이다. 삼계면 내계리 작은 개을 풍경 일전 찾았던 내게리 느티나무를 다시 한 번. 버드나무가 자라는 습지 내계리 봉분 옆 소나무 장성군 황룡면 장산리 느티나무 수령 300년이라 적어놓았는데 이 역시 약간 오버스럽다는 생각. 필암서원에 피어나는 백매 서원 경내 이 건물에 인조가 하서에게 내린 '묵죽도'가 소장되어 있다. 장성읍 장안리 느티나무 수령 300년 수목 감상 4 장성군 삼계면 내계리 내계리 느티나무 수령 : 450년, 수고 : 25m, 둘레: 4m 요월정 송림 장성군 황룡면 소재 '요월정 원림' 낙화암 일대의 굵은 노송들이 많이 사라진 모습이다. 제선충 피해를 입기 전 요월정 원림엔 이토록 멋진 노송들이 즐비했었다. 사라진 굵은 노송들 요월정의 또 다른 상징 배롱나무 개체 수도 과거에 비해 줄어든 느낌이다. '요월정 원림' 끝 부분 오늘은 원림 끝부분 부터 역으로 올라가면서 송림의 상태를 살펴 볼 생각이다. 황룡면과 동화면 일대 들판엔 마치 바다의 섬처럼 동산형태의 송림이 군데군데 자리한다. 원림 끝부분 능선에 올라서자마자 만나게 되는 봉분 한 기. 능선 여기저기 이런저런 봉분 앞엔 '묘 이장'을 권고하는 팻말이 꽂혀있었다. '원림' 이라는 타이틀을 지닌 명승지로 등재된 만큼 후손들의 협조가 있어야 할 터인데... 원림 끝 부분, 여기저기 식재된 편백이 자라는..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