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1850)
기록의 역사 (1) 상왕조(AD 960~1279년) 시대의 학문적 주석으로 완결되어 있다. 역경 I Ching · 중국 철학의 전형 기원전 2800년 8괘卦와 64괘의 문양을 사용하여 점괘를 뽑고 이를 음양의 원리에 따라 해석해 개인이 처한 현재의 상황과 미래를 위한 지혜로운 길잡이 역할을 했다. 학자들은 이 책을 중국 철학의 전형으로 여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호북성 곽점郭店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3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죽간본으로, 상하이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서양인들은 18세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역경》의 존재를 알게 되었으며, 1830년 독일에서 처음 라틴어로 완역되어 출판되었다. 이 죽간은 기원전 30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주역》이다. 변화는 《역경》의 이면에..
유혹과 저주의 미술사 (2) 인용: 알릭스 파레 著 · 박아르마 옮김 《마녀 / 유혹과 저주의 미술사》
유혹과 저주의 미술사 (1) 인용 : 알릭스 파레 著 · 박아르마 옮김 《마녀 / 유혹과 저주의 미술사》
민족의 혼魂 홍범도洪範圖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여천(汝千) 홍범도(洪範圖) 장군 홍범도 장군 진혼사 무장투쟁의 독보적 존재 여천汝千 홍범도洪範圖,1868~1943) 장군은 역사교과서에서 청산리대첩의 영웅 정도로만 소개될 뿐 일반에는 여전히 생소한 독립운동가이다.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치고 그의 이름 석 자를 모르는 사람이 드물겠지만, 그의 활동과 인생에 대해 어느 정도라도 알고 있는 사람 또한 흔치 않을 것이다. '존재는 낯익지만 실체는 낯선 인물' 중의 하나이다. 우리 역사에서 '장군' 은 양가적兩價的인 인식을 갖게 한다. 이순신 · 강감찬 · 을지문덕 등 호국의 장군상과, 박정희 · 정일권 · 백선엽 등 만군 · 일군 출신의 반민족 장군상, 그리고 전두환 · 노태우 · 정호용 등 반민주 정치군인 장군상 때문이다. 홍범도는 일본군..
중국지역 독립운동사적지 (2) 대한민국임시정부충칭 청사 한국독립당 제1기 중앙집행위원 · 중앙감찰위원 전체 촬영 1940. 5. 16. 한국독립당 창립선언문 1940. 5. 9. 김구가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미우스 신부에게 준 김구 서명문 태극기 1941. 3. 16. 조완구 · 차리석 회갑 기념(충칭 우리촌) 1941. 9. 23. 광복 후 독립국가 건설계획이 담긴 대한민국 건국강령 초고 1941. 11. 28.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선전성명서 1941. 12. 10.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23주년 기념식 1942. 4. 11. 재중국자유한인대회 1943. 5. 10. 재중국자유한인대회중문선언 1913. 5. 10.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충칭에서 복간한 《독립신문》 창간호 1943. 6. 1.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 1945. 9 좌) ..
중국지역 독립운동사적지 (1)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하이 청사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제6회 기념촬영 1919. 9. 17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 1919. 10. 11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원 1919. 10. 11 대한민국임시정부 신년 축하회 기념촬영 1920. 1. 1. 독립공채 박은식이 저술한 《한국독립운동지혈사》 1920. 구미위원부 직원 일동 1920. 3. 1 간도참변을 겪은 동포들에게 위로와 감사의 뜻을 전하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 포고 제3호 1920. 12. 1. 3·1 독립선언 2주년 기념식 1921. 3. 1 군자금 모금과 군인양성을 위해 설립된 한국노병회 회헌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한인 2세 교육을 위해 운영한 인성학교 졸업기념 1925. 대한민국임시정부 공함 1931. 12. 12. 홍커우공원 윤봉길의거 직후 단상 193..
검정에 담긴 모순의 미학 (2) 검정이 금욕적이고 도덕적이라는 생각은 역설적으로 검정이 이 시기에 새로이 유행하는 색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유럽의 왕실은 이런 취향을 공공연히 드러냈고 예술가들은 그들의 초상화를 그리면서 검정을 이상적인 색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마침내 19세기가 되었다. 산업혁명과 낭만주의는 검정과 개념상 무관해 보이지만 오히려 더 강렬한 귀족의 이미지를 선사했다. 이제 검정은 노동자뿐만 아니라 근대 도시에서 활동하는 부르주아의 색이 되었다. 화가들은 어둡고 신비한 작품을 잘 표현해 줄 우군을 찾아냈다. 사실주의를 표방한 그림에서 검정은 삶의 애환을 적나라하게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상징주의 그림에서는 꿈과 신화의 세계, 잠재의식의 세계를 말하는 데 검정이 사용되었고, 여성의 관능성을 강조하는 그림에서 쓰이기도 했다...
검정에 담긴 모순의 미학 (1) "검정은 색이 아니다" 탄생과 소멸, 고독과 유혹, 광기와 제의 권력과 빈곤, 비애와 평화 ······ 검정에 담긴 모순의 미학 무엇이 '당신의 검정' 인가? 예술에서의 검정 당신의 검정은 어떤 색인가. 이 말이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당신에겐 분명 고유의 검정이 있다. 세상에는 단 하나의 검정만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금욕적인 검정이 있는가 하면 슬픔이나 두려움을 자아내는 검정, 우아하거나 병적으로 보이는 검정 등 다양한 검정이 있다. 앙리 마티스의 검정에는 이 모든 것이 다 들어있다. "검정은 본래 다른 모든 색을 집약했다가 소멸시키는 색이다." 검정은 태곳적부터 인류와 함께했다. 암벽에 원시적이고 시적인 그림을 그릴때부터 검정은 인류의 친구였다. 우주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마냥 바라보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