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성/동학 천도의 세계

(162)
수도회 제10차 여행 (3편) - 3편 -       대원사 회주이시자 티벳박물관장이신 현장 스님의 안내와 해설.                       티벳 다기 모음.          티벳 불상     기념품 올빼미                                 달라이라마 실      붓다의 눈 / 현장 스님 작품                   현장 스님과 자임당의 퍼포먼스   업경   지옥 설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모습의 탈.   불설무량수경 지옥변상도(일본 목판본 고판화 박물관 소장품)    '쬐'는 깎아 낸다는  뜻으로 자신의 아상을 깎아내어 자아를 소멸시키는 수행법이다. (몽골)            금강살타 부모불                   『사자의 서』 영상물 방영.            보물 제1800호 ..
수도회 제10차 여행 (2편) - (2편) -   천봉산 대원사     현장 스님의 제안에 화답한 아실암에서의 제1회 『달빛다회』     아실암의 달빛다회로 초대합니다. 오는 사월 보름..찔레꽃이 피어나고 인동초향기 은은한 아실암에 보름달이 떠오릅니다.보름달을 맞이하며 한달간 분노하고 짜증내서 생긴 독을 정화하는 기도를 바칩니다.달빛샤워를 통한 뱀방생이라고 합니다. 달빛아래 준비해온 차도구를 펼쳐 서로 차한잔을 나누고 정담을 나눕니다.다회를 마치면 아실암큰방에서 둥글게 앉아 백제대향로에 침향을 바칩니다.허공으로 퍼져가는 향운개보살을 바라보며 향도명상을 체험합니다. 향도명상이 끝나면 방바닥에 누워 싱잉볼 명상체험을 합니다.내 몸이 공기처럼 가벼워지고 빛으로 사라집니다. ㅡ아실암 달빛다회 동참안내ㅡ ㅡ.일시..2018년 5월 29일 저녁..
수도회 제10차 여행 (1편) -1편-( 2018. 5. 28 ) 아슴한 흰구름이 뒤덮은 덕음산을 배경으로 가느다란 녹우(綠雨)가 내리는 고택 전경. 오백여 년 전 어초은 윤효정으로부터 시작,  5대 윤선도(1587-1671), 8대 윤두서(1688-1715) 등 조선조 걸출한 인물들을 배출한 명문가로 지금도 종손이 거주하며 선대의 유업을 이어가고 있다..  현존하는 호남의 주택 중 가장 큰 규모로 1968년 사적 제167호로 지정 고시되었다.      고택의 연륜을 상징하는 은행나무와 함께한 동학 천도 수도회 동덕 여러분.    정면으로 보이는 건물이 녹우당(綠雨堂)이다.봉림대군(효종)과 안평대군의 사부였던 고산에게 효종이 수원에 지어준 집의 일부를 옮겨온 것으로고택의 사랑채 역할을 하는 건물로 겹처마가 인상적인 건물이다.     ..
천도교 수도회 제8차 수련 천도교 수도회 제8차 수련2017년 12월 5~8일 정읍사  망부상          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관장흥 석대 일대는, 정읍 황토현, 공주 우금치, 장성 황룡과 함께 동학농민혁명의 4대 전적지이자 대규모 농민군이 참여한 최후, 최대의 격전지이다.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2009년에 이어 국가지정사적(제498호)으로 지정되었다. 전시실에는 동학 관련 각종 책자 및 고문서를 전시하고 있으며, 동학 농민군 및 일본군이 사용했던 무기류도 볼 수 있다. 특히 ‘세계 속의 동학 농민 혁명’ ‘최후의 항쟁, 석대들 전투’ 등의 코너에서는 입체감 있는 영상물을 통해 관람자가 마치 역사의 현장에 있는 것 같은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 당시 활약했던 장태장군 이방언 및 이인환, 이사경, 구교철, 문남..
東行 농업분과 마늘심기 = 동학실천시민행동 = ◀농업분과 마늘심기▶일시 : 20174. 10월 14~15일  경남 남해군 고현면 오곡리        東行 농업분과 마늘심기 / 면적 : 800 평                    새참 타임.                               천도교 남해교구에서의 저녁식사.            남해교구장님을 비롯한 천도인들과의 대화.        이튿날 아침        오곡마을 앞 사백년 수령의 회화나무.    새벽부터 내리는 비가 다소 거추장스러운 가운데 이튿날의 마늘심기는 계속됩니다.        마늘심기 완료.              추적거리는 비에도 불구하고 마늘심기를 마저 끝낼 수 있어서 뿌듯했습니다.동학실천을 온 몸으로 보여주신 하는님들과 현장을 지휘하느라 애쓰신..
동학혁명 관련 자료 해주지도 돈헌유교 한말 의병장 이병찬(1851~1916)의 문집으로 돈헌은 그의 호이다. 대부분 임병찬의 항일운동에 관한 기록과 독립을 염원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학혁명에 대한 그의 부정적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기록도 있다. 요람要覽 장흥지역에서 활동한 농민군의 모습과 그들..
장흥동학 복원을 위한 수련의 장 장흥동학천도 복원을 위한 수련의 장    천도교 장흥교당. 1906년에 초가로 처음 건립했다가 1918년에 현재의 형태로 개축하였다. 근대 건축물로써 국내 항일운동 사적지 이기도 하다. 외관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되어 있으나 당시에 비해 일부 변형이 되었다. 1906년에 초가로 처음 건립했다가 1918년에 현재의 형태로 개축하였다. 전통한옥에 근대의 박공판을 덧붙인 절충형식이다.건축 양식은 개화기의 여러 문화가 변용되면서 근대 이행기의 공공 건축물의 변모 과정을 볼수 있다.               천도교장흥교당 (天道敎長興敎堂) 은 1927년 7월 15일 신간회 장흥지회가 결성되고 집회가 열린 곳이며,일제 치하 최대 민족운동 단체였던 신간회의 장흥 지회 이기도 하다.관련 인물로는 황생주(黃生周)/황장주(..
천도교 수도회 제7차 수련 (5편) 천도교 수도회 제7차 수련(5편)포덕 158년 9월 15~19(4박5일) 中  다섯째 날 스케치 ● 밝은마을 지리산 생태영성학교 방문● 제 123 주년 동학농민혁명 기념대회          9월 18~19일   모시고 반갑습니다.    덕수당(뚜란)님의 맛깔난 음식 솜씨는 진정한 art.     백일학교 방문의 흥취를 춤으로 표현해 내시는 두 분.       모시고, 분임토의...?   19일 아침 기도식     백일학교장 윤중 황선진 선생님.수운 선생께서 좌방 계열의 맥 가운데 천재 우두머리 였다는 말씀을 주시더군요.반갑게 맞아 주시고 융숭한 환대에 이르기까지, 너무너무 고맙습니다.     뚜란님 께서는 '뜬봉샘' 편집장으로 여전히 맹활약 중이신데다, 비장의 약재 전문가 영역까지 진출하셨더군요. 간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