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509)
단군 영정 3 일제강점기, 청동부조상 너비 24.5, 높이 46.5cm, 청동 광복 무렵 청동 단군상 가로 8.5 세로 8.5cm, 높이 18cm, 청동 광복 무렵 청동 단군상 너비 7cm, 높이 10cm, 청동 광복 이후 옥돌 조각상 너비 13cm, 높이 21cm, 옥돌 광복 이후 석고 소조상 너비 26cm, 높이 52cm, 석고에 도색. 광복 이후 석고 소조상 2 가로 18cm, 세로 21cm, 높이 40cm '성조 단군(배달 임금) 한배검'이란 명문이 있다. 60년대, 곰과 범을 거느린 단국 목각 민간의 목조상으로 단군 신화 내용 그대로 곰과 범을 함께 표현 하였다. 가로 30cm, 세로 25cm, 높이 48cm. 90년대 단군 석상 가로 23cm, 세로 23cm, 높이 39cm, 화강암 90년대 목각 좌상 대종..
단군영정 2 - 개인 소장 영정 - - 광복 이전 - 1883년 명문본 단군 영정 위 51.5cm(아래는 49cm), 높이 80cm, 천에 채색. 우 하단의 화기에 1883년에 그려져 봉안된 것으로 적혀 있는, 현존하는 최고의 단군 영정이다. 조선 후기 북한 구월산 삼성사나 은산 단군묘 등에 모셔져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883년 명문본 단군 영정 - 밑그림 1 영정 밑에 받쳐놓은 밑그림. 1883년 명문본 단군 영정 - 배접지 1 밑그림 1의 아래에 배접해 놓은 그림. 두 선관(仙官)을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1883년 명문본 단군 영정 - 배접지 2 맨 밑에 붙어 있던 배접지에 그려진 스케치. 불상이나 신선상과는 다른 모습으로 주목을 끈다. 백의 단군 48.5×66cm 전체적으로는 대종교 영정의 형식을 빌려 ..
수목 감상 11 장성 백양사 갈참나무 노거수 일광정一光亭에서 절에 이르는 길 주위의 갈참나무 군락. 이 갈참나무 군락은 고려시대의 고승 각진국사가 심었다고 전한다. 각진국사 진영 이내 어린 시절의 추억이 가득한 갈참나무 숲. 쌍계루 일대 쌍게루 연못 가에 선 이팝나무로 각진국사가 꼽아놓은 나무가 자라났다는 전설따라... 애기단풍의 휨새 경내에 선 보리수나무인데 개화시 꽃향기가 무척 진하다는 사실. 헌데 사실은 '피나무'라고 들었다. 열대의 보리수가 한반도에선 서식이 불가능 하다고. '고불매' 알현 느낌 상 일주일 이내로 개화가 시작될 듯. 백암산 특산종 굴거리나무 백암산 비자나무 군락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송악의 힘찬 기세가 나무를 옥죄고 있는 형국. 경내에 선 뽕나무 느닷없이 찾게 된 백양사. 떡 본김에 제사..
수목 감상 10 장성 동화면 서양저수지와 멀리는 수련산 저수지 아래 습지 동계마을 울산김씨 재실 앞 홍매 청매 동계마을 돌아보기 팽나무 휨새 동호정 마을 앞에 조성된 수구림水口林 느티나무와 팽나무, 버드나무가 주 수종을 이룬다. 팽나무(좌)와 버드나무 마을 앞 돌솟대와 제단 동계마을 일대
단군 영정 1 평양 숭령전 최근 구월산 삼성사에 삼성의 초상을 봉안한 모습 최근 촬영한 단군굴의 모습 1936년 촬영된 단군릉 지운영 모사 대종교 천진, 1910년. 1883년 명판본 단군 영정(광서 9년인 1883년 봉안) 1883년 명판본 단군 영정에 봉안된 내력을 적은 화기. 작산 단군전의 모습 시흥 단성전 배치도 - 단체 소장 영정 - 서산 와우리 단군전 단군 영정 38×54cm 1913년 석판으로 인쇄한 영정을 설립자 김용학이 가져온 것으로, 상단에 단군천신(檀君天神)이라는 제명이 있고 하단에는 출판허가라고 되어 있으며 왼쪽 아래에 보진재석인(寶晉齋石印)이라 인쇄되어 있다. (좌) 부여 장하리 천진전 천진 34×53cn 백련 나운영이 그린 것으로 추정. 중국산 인조비단에 전신을 엷게 채색하였다. 현재 부여 천..
수목 감상 9 장성군 삼계면 능성리 성산마을 4그루 느티나무. 3그루 수령: 각각 약 170여 년. 보호수에서 제외된 느티나무 남은 그루터기 크기로 보아 최소 300여 년 이상의 수령으로 보인다. 아마도 낙뢰 등으로 윗동 부분이 부러져 나간 듯. 필암서원 구역에서의 탐매 \ 지난 가을의 추억 확연루 안쪽 뜰의 백매도 터지기 시작. 청매 청매 산수유도 개화를 시작했다. 영춘화 필암마을 느티나무 약 200여 년 수령으로 보인다.
수목 감상 8 먼저 필암서원 백매 감상 장성 동화면 축내저수지 뒷산 임도에서 바라본 모습. 저 멀리 상무대가 자리한 태청산이 보인다. 산 너머로 광주 임곡동 소재 용진산 석봉(우)와 토봉(좌)가 보인다. 조금 당겨본 용진산 석봉으로 정상으로 오르는 철계단이 보인다. 장성 삼계면 내계리 야계마을 팽나무 수령 160년, 둘레 3m, 수고 약 20m. 장성 삼계면 부성동 마을 앞 수림. 약 일백여 년 수령으로 보이는 팽나무 장성 삼계면 자초마을에서 만난 준수한 참나무 한 그루. 보호수로 지정되진 않은 모양인데 처음 만나는 개체다. 느낌상 최소 이백여 년 이상의 수령으로 보인다. 굴참인지 졸참인지 상수리나무인지는 차후에 지켜 보기로... 이토록 장대한 참나무 계열의 나무 한 그루가 이곳에 서 있을 줄이야. 하루 빨리 '보호수..
수목 감상 7 장성읍 상오리 우지마을 수령 약 200년에 둘레 2m라 적혀있던데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내용인지라. 내 느낌상으론 그저 일백여 년도 채 안되보이던데...? 장성읍 상오리 호산마을 느티나무 약 200여 년 수령에 둘레 4.2m, 수고 약 20m. 느티나무 바로 옆 집에 내걸린 멋스런 문패. 위 느티나무에서 약 5,60미터 떨어진 곳에 자리한 느티나무 수령 약 180년에 수고 14m, 둘레 3.2m 장성읍 상오리 상오마을 버드나무 수령 약 400년에 둘레가 4.5m라는데 이 역시 다소 오버스럽다는 느낌이다. 상오리의 또 다른 버드나무인에 이 나무는 보호수 대상에서 빠져있었다. 아마도 무슨 사정이 있었던 듯. 장성읍 유탕리 유탕마을 느티나무 약 350여년 이상의 수령으로 보인다. 높이 20m에 둘레 4.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