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09)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목감상 6 장성 성산초등학교 입구에 선 느티나무 수령 약 150여 년 추정. 성산초교 내 느티나무 수령 약 200여 년 추정 성산초교 팽나무 성산초교 쌍둥이 느티나무 수령 약 150여 년 추정 장성읍 야은 2구 채략마을 느티나무 수령 약 150여 년 추정 장성군 읍 야은마을 느티나무 수령 약 120여 년 추정 야은마을 '세심정' 장성읍 덕진리 구산마을 입구 구산마을 소나무 장성읍 덕진리 버드나무 마을 앞 개울가 수림. 덕진리 버드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되지 않은 모양. 이유가 궁금하다. 장성읍 덕진리 덕산마을 느티나무 수령 약 150여년 추정 장성읍 덕진리 덕산마을회관 옆 두 그루 버드나무. 이 역시 보호수 지정에서 빠져있었다. 덕산정과 느티나무 군락 준수한 버드나무 두 그루가 보호수에서 빠진 까닭은...? 수목감상 5 장성군 동화면 동호리 느티나무 수령 400년(?) '보호수'로 지정하면서 적어놓은 수령인데 도저히 수긍하기 어렵다. 이내 짐작으론 200년도 채 되지 않아 보였기에 하는 말이다. 삼계면 내계리 작은 개을 풍경 일전 찾았던 내게리 느티나무를 다시 한 번. 버드나무가 자라는 습지 내계리 봉분 옆 소나무 장성군 황룡면 장산리 느티나무 수령 300년이라 적어놓았는데 이 역시 약간 오버스럽다는 생각. 필암서원에 피어나는 백매 서원 경내 이 건물에 인조가 하서에게 내린 '묵죽도'가 소장되어 있다. 장성읍 장안리 느티나무 수령 300년 수목 감상 4 장성군 삼계면 내계리 내계리 느티나무 수령 : 450년, 수고 : 25m, 둘레: 4m 소목장의 세계 십여 년 전 방문했던 인간문화재이자 대한민국명장 96118호 이셨던 고 설석철 옹.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이수자의 길을 걷고 있는 둘째 아들 설연운 선생과 근자에 만남을 갖고 오랜만에 공방을 다시 찾은 것. 전수자 설연운 선생 약 이십여 개가 넘는 대패를 비롯 각종 연장이 시선을 끈다. 공방을 돌아보는 내내 드는 진한 아쉬움이랄까. 인간문화재의 뒤를 잇는 이 시대 장인에 대한 국가적인 대접이 전무하다는 사실에 치미는 분노. 문화 장인에 대한 국가 차원의 인식이 이렇게 허접해서야 어디 원! 문화강국이 곧 나라의 국부와 연결된다는 사실 정도는 누구나 인지하고 있으리라. 굳이 선진국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그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마땅할진데... 국가는 이런 훌륭한 장인들을 도태시키는 우를 더 이상.. 요월정 송림 장성군 황룡면 소재 '요월정 원림' 낙화암 일대의 굵은 노송들이 많이 사라진 모습이다. 제선충 피해를 입기 전 요월정 원림엔 이토록 멋진 노송들이 즐비했었다. 사라진 굵은 노송들 요월정의 또 다른 상징 배롱나무 개체 수도 과거에 비해 줄어든 느낌이다. '요월정 원림' 끝 부분 오늘은 원림 끝부분 부터 역으로 올라가면서 송림의 상태를 살펴 볼 생각이다. 황룡면과 동화면 일대 들판엔 마치 바다의 섬처럼 동산형태의 송림이 군데군데 자리한다. 원림 끝부분 능선에 올라서자마자 만나게 되는 봉분 한 기. 능선 여기저기 이런저런 봉분 앞엔 '묘 이장'을 권고하는 팻말이 꽂혀있었다. '원림' 이라는 타이틀을 지닌 명승지로 등재된 만큼 후손들의 협조가 있어야 할 터인데... 원림 끝 부분, 여기저기 식재된 편백이 자라는.. 수목 감상 3 장성군 삼계면 학산리 느티나무 수령 약 400년, 수고 20m, 둘레 4m 과거 이 자리에 서낭당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느낌이다. 장성군 황룡면 맥호리 맥동 느티나무 수령: 약 350년, 수고: 30m, 둘레 6m 하서 김인후의 본향인 만큼... 장성군 삼계면 상도리 쌍정임 느티나무. 수령: 490년, 수고: 20m , 둘레 5m 판옥선 판옥선 기초설계와 실시설계 비교 전쟁기념관 거북선 모형 좌) 거북선 축소 모형, 우상) 거북선 측면 선형, 우하) 신방과 가목장부맞춤 결속구조 좌) 돛대와 돛의 고정 줄, 우상) 선미 꼬리 선형, 우하) 노와 화포 위치(겹치는 구조) 척尺의 기준 판옥선의 크기의 설정 근거는 조선 시대 건축에 주로 사용된 영조척을 기초설계에 적용하였다. 영조척은 건축과 토목, 조선 및 조차造車 등 건축물이나 조형물을 만들 때 사용된 척도이다. 영조척은 명나라에서 사용되던 척도로 주척周尺과 함께 널리 사용되었다. 고려 및 조선 시대 초기까지는 32.21cm를 1척으로 사용하였드나 세조 12년(1466년)에의 개혁 시 31.22cm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2019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 해체 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목재곡자의 용척.. 수목 감상 2 장성군 진원면 고산로 느티나무 수령 약 400여년 추정 진원제 불태산 의기바위 능선 월산리 동네 앞에 선 두 그루 느티나무. '보호수' 지정 표식이 없던데 이 두 그루도 '보호수' 로 지정되어야 하지 않을까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