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연곡사
국보 제53호 동승탑
통일신라 시대의 다른 승탑보다 기단부가 높고 세부적인 조각수법은 치밀하다.
연곡사에 현재 남아 있는 승탑 가운데에서 가장 이른 시기로 통일신라말의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보물 153호 동승탑비
귀부는 지대석과 한돌로 네다리를 사방으로 뻗고 있어 마치 납작하게 엎드린 모습을 연상시킨다.
오른쪽 앞발을 살짝 든 귀부의 정상에는 장방형의 비좌를 마련하고 있는데 비좌의 네 측면에는 구름무늬를
고부조로 장식하였으며, 그 윗면 주위로 복판의 연꽃무늬를 새겼다. 머리는 떨어져 나간 것을 다시 붙여 놓았다.
거북의 등문양은 앞쪽으로는 파상곡선으로 이루어진 새 깃 모양의 조익형 무늬이고 뒤쪽으로는 육각의 갑문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이수는 삼산형으로 고부조의 구름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그 정상에 화염보주 형태의 조각이
새겨져 있다. 이수 앞면에는 탑액을 가로 32cm, 세로 38cm의 크기로 시설하여 놓았으나 명문은 없다.
귀부는 적갈색이고 이수는 암갈색으로 돌의 재질도 다르며
화재에 의한 피열흔이 확인 된다.
국보 제54호 북승탑
동승탑을 모방하여 고려 초기에 건립되었다고 보여지며, 현각선사 승탑으로 추정된다.
이 북승탑의 하대석도 한 개의 석재로, 아래쪽은구름문양을 중대석 받침에는 겹꽃 16엽의
연화문을 두른 팔각형 돌을 올려 놓았고 중대석 받침의 여덟 귀퉁이에는 꽃무늬를 돌출시켰다.
중대석과의 사이에는 3단의 굄단이 중대석을 받치고 있다.
보물 제154호 소요대사승탑
복발위에 큼직한 보개와 보주가 차례로 놓여 있는데 보개에는 4방향으로 벼슬을 늘어뜨린 새모양이 조각 되어 있다.
이 승탑 탑신석 한 면에 “소요대사 지탑/순치육년경인” 이라는 두줄의 음각명문이 세로로 새겨져 있다.
소요대사는 백양사에서 계를 받고 부휴대사에게서 경전을 배웠으며
순치 5년 (1649)에 입멸하였는데 그 다음 해에 이 승탑을 세웠다고.
의병장 고광순 순절비
을사늑약으로 나라의 주권이 일본에게 넘어가자 각지에서 항일 의병이 일어났다.
그중에서도 특히 호남 지방에서의 의병 활동이 활발하였다.
담양출신 의병장 고광순. 그는 1907년 8월 26일 지리산 연곡사에 근거를 설치하고
적극적인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으나, 기습을 받아 패전하고 순절하였다.
이때 절도 불탔다. 이를 기리는 비석이 경내에 세워진 것.
일사보국 一死報國 한 번 죽어 보국코자 함은
오소필정 吾所必定 내 마음에 정한바다
- 녹천 고광순 -
보물 제152호 현각선사탑비
현각선사 탑비는 조선총독부 박물관 소장 탁본에 의하면 경종 4년(979)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귀부는 지대석과 한 돌로 네다리를 사방으로 뻗쳐 납작 엎드린 형상이다.
동승탑비와 반대로 왼쪽 앞발을 살짝 들고 있다. 비신 받침에 구멍이 나 있어 배수를 위한 시설로 보인다.
조각 수법은 몸체에 비해 큰 머리나 비좌 사면에 안상과 귀꽃이 새겨져있다.
이수 앞면 중심에 현각선사탑비이라는 전액이 음각되어있다.
문헌에 의하면 학사 왕융이 지었고 주국 장신원이 썼다고 한다.
구례 운조루
운조루 노모께 연못의 물이 왜 없는가 여쭈었더니
배수시설의 고장으로 물이 죄다 빠져버렸다는 말씀.
구례 운조루 고택은 조선 후기 양반집의 건축 형식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이 집은 대체로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부감기법으로 그린 「전라구례오미동가도(全羅求禮五美洞家圖)」,
이 집에서의 생활을 기록한 일기, 「장자구처기(長子區處記)」 등이 전해져 당시의 생활상이 잘 나타난다.
또한 「청주성도(淸州城圖)」, 「상당산성도(上黨山城圖)」 등 상당수의 유물이 보존되어 있어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원래의 고매가 있던 근처에 자라난 백매가 꽃을 피워 올렸다.
고택의 연륜 답게 초항아리 행렬이 즐비한 모습.
산수유와 청매가 나란히 꽃을 피워 올린 모습이다.
샘가 옆으로 작은 개체의 흑매가 단아한 모습이다.
사랑채 누마루에선 '매화음'이 한창이었다.
세월의 이력 앞에 점점 쇄약해지는 유성류나무.
사랑채 화단에 상당한 굵기의 회양목이 자라고 있다.
전엔 볼 수 없던 운조루 유물전시관까지 지어졌다.
운조루에 있었던 '타인능해' 쌀뒤주가 이곳에 와 있었다.
황매천이 읊은 운조루의 정취 예찬 '칠언율시' 편액.
운조루에 전해 내려온「전라구례오미동가도(全羅求禮五美洞家圖)」
집 전체를 높은 돌담으로 둘러친 구례 곡전재
'영성 > 동학 천도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매와 동학기행 <9> (6) | 2025.03.25 |
---|---|
탐매와 동학기행 <8> (0) | 2025.03.24 |
탐매와 동학기행 <6> (0) | 2025.03.24 |
탐매와 동학기행 <5> (2) | 2025.03.24 |
탐매와 동학기행 <4>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