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전 국립소록도병원장 신정식(申汀植)


오랜 세월 소록도와 인연을 맺어오신

 이 시대의 성자 백진앙 선생님 (사단법인 한벗 장애인 재단 이사장)께서 엮어내신

『전 국립소록도병원장 신정식』을 선물 받고 득달같이 읽어 내렸습니다.


모든 내용이 가슴 뭉클한 감동의 연속이었는지라

그중 일부 몇 대목을 알림과 공유 차원에서 이 자리에 옮겨본 것.

아울러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알아왔던 부분들이 말끔히 해소된 느낌이었습니다.



선생님의 거룩하신 행보와 웅혼한 필력 앞에 

하찮은 소인배에 불과한 저로선 그저 내내 엎드려 조아릴 뿐.

 공경함으로 감사드립니다.

















책머리에


신정식 원장을 그리며


이 책은 작고한 신정식 원장을 그리는 흠모의 정으로 엮은 기록이다.

객관성을 유지하려는 연구서나 평전이 아니다. 한 사람을 어떻게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어떤 경우이든 그를 훼손하고 토막 내는 짓이다. 더구나 나의 비좁은 시계(視界)에 비해

이분은 어림없는 크기인데다 글마저 짧다. 미망(迷妄)과 훼손의 우(愚)가 두렵고 송구하다.



신정식은 40여 년 전의 소록도병원장이다.

'소록도가 어디 쯤 있지요?' 70년대의 소록도는 누구나 이름 듣기조차 언짢은 섬이었다.

쓰레기를 집밖에 내놓듯, 육지의 한센인을 바다 건너 버린 곳, 이곳에서 6년은 의사로, 12년 동안

 원장으로 있었다. 그는 왜 모두가 고개 돌리는 '문둥이' 섬으로 갔는가?

어느 의학도처럼 의대교수가 되기 바란 젊은이였다. 6 · 25 전쟁으로 육군병원에 소집되어 근무하던 중

다리 좀 전다고 장교계급장을 박탈당하자 고향으로 돌아오고 만다. 이때 소록도 김상태 원장 권유로

 6개월 만 머물기로 하고처음 소록도에 들어간다. 당시 소록도는 의사조차 먹는 일이 궁해,

배급쌀로는 열흘을 못 넘겨 노상 죽으로 때웠다.


부인이 고흥 시댁에서 쌀을 얻어 오려하자,

"환자도 못 먹는데 나만 배불리 먹을 수 있겠는가." 라며 빈궁을 견딘다.

이후 5년이나 더 머물다 소록도에서 나와 광주의 홍 안과의원에서 의사로 근무한다.

하루는 한센환자와 같이 사는 최홍종 목사가 약을 얻으러 온다.

"자네 소록도에서 5년이나 있었다는데, 나하고 문둥이 일 하세."

순간, 소록도의 영감(靈感)이 천둥처럼 울렸다. 심장이 사명으로 맥동치기 시작했다.



1974년, 높은 분들이 하나같이 소록도원장 맡기를 피하자,

자신의 안과의원을 미련 없이 처분하고 다시 소록도로 들어간다.

 50년 환자 박순암이 그를 붙들고 울먹였다.


"같이 소록도에서 죽읍시다."

그는 죽지 못하고 12년 후 정념퇴임 한다. 그리고 기뻐했다.



"소록도에서 사람답게 사는 방법의 출구를 보았다." 

이후 어떻게 살았는가?

원장 하기 전처럼 매주 한두 차례 지팡이를 짚고 한센인 마을 무료진료 다니기를 계속한다.

그리고 재산 9만4천원만 남기고 죽었다. 그의 '사람답게' 였다.


"가난하고 불행한 저들에게서 가장 순수하고 경건한 인간이 모습을 보았다. 내 생애 최대의 행운이었다."

'최대의 행운' 이라고? 과연 가난과 불행에서 빛이 나오는 것일까?



한센인과 소록도를 사랑한

아버지 원장

청백리(淸白吏).

능력이 아니다. 가슴의 사람이었다!

'주머니에 돈이 집히면 배 아파하는 사람.' 넥타이 하나 못 사고,

더없는 효자가 선친 묘에 비석조차 못 세우고 죽었다.



작고한 지 올해로 25년, 그 열정과 정애(情愛)가 아쉬워,

세월이 흐를수록 귀해지는 사람

나에게는 아직 살아 계시다! 














고흥(古興) 명문가의 장손(長孫)


(····) 

형형(炯炯)한 명가의 종손이라면 마땅히 가문의 체통을 잇고 일가친지를 아우르는 끝없는 책무를 져야 했다.

이처럼 막중한 역할을 평생 감당한 내공 또한 신정식을 특정(特定) 한다.









장애로 인한 수모


맏아들 신정식은 생후 6개월 때 '결핵성고관절염'으로 다리 한 쪽을 절게 되어

체통 높은 가문의 기대에 찬물을 껴 얹는다.


남의 멸시와 자기비하로 기를 펴지 못했고, 부모님 손잡고 집밖으로 따라다니지 못해 집에 남아 울었다.

- 잡지 / 보은동산, '장애자 만만세' (1992년)




장애 때문에 낙방


학교 갈 나이가 되어 인근의 고흥동보통학교(지금의 고흥동초등학교)에 입학한다.

하지만 아이들의 놀림으로 집밖에서 놀지 못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집안에서 보낸다.

비록 장애를 가졌지만 총명함을 눈여겨 본 아버지는 여느 부모처럼 학업지원을 포기하지 않는다.

우수한 성적으로 보통학교를 졸업하자 부친은 당시 남도 최고명문인 '광주서공립중학교'(광주서중/5년제)에 응시하게 한다.

필기시험 결과, 합격이었다. 그러나 장애가 있다며 면접 끝에 낙방한다. 기막히고 절통할 일이었다!


어버지는 아들을 붙들고 여관방에서 함께 울었다.


- 김예암






광주서중에 낙방한 아버지와 아들은 분통의 눈물을 삼키고 당시 호남 유일의 민족사학으로,

평양의 '오산고보'와 함께 명성 높은 '고창고등보통학교'(지금의 고창고등학교, 5년제)에 응시한다.

결과는 수석합격이었다. 장애학생의 합격은 당시 세간의 화제였다.



고창고보 3년 때 아들의 불구에 한이 맺힌 아버지가 당대 제일의 정형외과를 찾아 일본으로 건너가 진찰을 받았다.

의사는 수술하면 짧은 발이 지금보다 4cm는 길어지니 3cm정도는 양말을 서너 겹으로 신으면 남의 눈은 속일 수 있다며

 수술을 권했다. (····) 그 때 수술을 받았더라면 군에 갔을 때 육군병원에서 삭관은 안 당했을 것이고,

한센가족과의 인연도 맺어질 리 없지 않았을까? 그랬더라면 내 삶의 후반기는 무엇으로 채워졌을까

 아마 빈 깡통 때리듯 허허로운 메아리로만 담겨졌을 애처로운 내 모습을 눈에 그려 본다.


- 월간조선 '나환자의 아버지' (1986년)











  

  마리안나 수녀

(2016년 국립소록도병원 100주년 행사 때의 모습)


소록도병원 자원봉사는 1962년, 오스트리아 카톨릭부인회가 파송한

 마리안나(1962년 입도/1934년생), 마가렛(1966년 입도/1935년생) 두 명의 간호사가 들어옴으로써

 숭고한 이야기가 시작된다.

(····)


얼굴과 어깨, 팔이 발갛게 부어 고름과 진물에 범벅된 환자를 안고, '오! 하느님, 왜 이러시나이까!'며

하염없이 눈물 흘리는 모습을 보았다. 또 팔다리 없는 몽당여환자를 목욕탕에 데리고 들어가

 머리카락 하나없는 머리를 씻겨주며 '잘 씻고 시집가야지.'라며 소리 내 웃곤 했다.


- 김예암




두 분은 소록도에 뼈를 묻게 해달라고 기도했지만 건강이 나빠지자 달랑 가방 하나 들고 2005년,

아무도 몰래 본국으로 돌아갔다. 시인 '백무산'이 두 분이  떠나셨다는 소식을 듣고 시를 지었다.



두 여인의 고향은 먼 오스트리아

이십대 곱던 시절 소록도에 와서

칠순 할머니 되어 고향에 돌아갔다네

올 때 들고 온 건 가방 하나

자신이 한 일 새들에게도 나무에게도

왼손에게도 말하지 않고


더 늙으면 짐이 될까봐

환송하는 일로 성가시게 할까봐

우유 사러 가듯 고향에 돌아간 사람들


엄살과 과시 제하면 쥐뿔도 이문 없는 세상에

하루에도 몇 번 짐을 싸도 오리무중인 길에

한번 짐을 싸서 일생의 일을 마친 사람들

가서 한 삼 년

머슴이나 살아주고 싶은 사람들



세상에는 상정으로 해득할 수 없는 숭고함이 있다.

신앙이 인간 이상의 존재가 되게 하는 거룩한 사랑이 이처럼 실제한다.







지난 2016년,

위 책의 저자이신 백진앙 선생님과 지인 일행이 신경식 원장의 묘를 찾았을 때의 모습.







2016년, 아무도 모르게 이 땅을 조용히 떠났던 두 분 수녀님 중

마리안나께서 다시 소록도를 찾아왔다. 마가렛 수녀님은 건강 문제로 함께하지 못하셨다고.

 마리안나는 도착하자마자 먼저 신 원장 묘소를 찾았다 한다.




(····)  "여러분, 고맙습니다."

퇴임사 전문을 읽는다. 원생에게 못다한 아쉬움과

 치료본관건립으로 환자에게 보답하려 한

애틋한 발원이 음성으로 들린다.





- 앞서가는 어른들 -


신정식을 말할 때 그 혼에 불 지른 영감(靈感)의 스승들을 빼놓을 수 없다.

'앞서가는 어른들'이라는 제목은 퇴임 후 펴낸 '소록도일기 Ⅲ'에 자신이 추앙하는 분들을 소개한 글이다.

한 사람의 운명을 결정짓는 만남이 있다. 그도 자신의 '숙명'과 '각성'이 되었다고 고백하는 스승이 있다.

이들의 행적 속에 신정식의 혼과 지향이있다

그는 소록도원장실에 '소록5현(五賢)'이라 부른 다섯 분의 사진을 걸어놓고 날마다 바라보았다.

'최홍종'과 '김상태', '포사이드(광주나병원 설립 1909년)' '메켄지(부산나병원 설립 1911년)'. '후렛차(대구나병원 설립)'.

 '메켄지(부산나병원 설립 1911년)', '후렛차(대구나병원 설립 1912년)'. 하나같이 한센환자를 위해 헌신한 분들이다.

이 중 최호종 목사와 김상태 원장은 생전에 모신 분이다.





















아래 주소를 클릭하면 지난 2016년 소록도 이야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blog.daum.net/hyangto202/8730332








Gabriel's Oboe(The Mission Ost) - Ennio Morricone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 거목 2  (0) 2019.07.21
지리산 거목 1  (0) 2019.07.21
격동의 조선 '도시'에 녹아들다 4  (0) 2019.07.10
격동의 조선 '도시'에 녹아들다 3  (0) 2019.07.09
격동의 조선 '도시'에 녹아들다 2  (0) 2019.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