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탐매
(庚寅探梅) ~12~
● 북이초교살구꽃(北二杏梅) : 전남 장성군 북이면 신평리(북이초등학교)
▶ 2010. 4. 2 (금)
매화를 그리는 아이들
아담한 백매 한 그루
장성읍 밀동마을 백매
정말이지 늦다.
한 일주일 이상은 늦는 것 같다.
지난 겨울이 너무 길었기 때문이리라.
덕분에 올 봄 매향은 예년의 것과 확실한 차별화를 보인다고나 할까...
향이 확실히 예년 보다 진 하다는 느낌이다.
행매(杏梅).
그냥 매화(梅花)가 아니고 행매(杏梅)란다...
살구나무'杏' 字와 매화나무 '梅' 字의 결합.
도대체 뭔가 싶어 사전을 들춰 봐도 시원한 설명이 없다.
딱 한 가지...
가공한 오매(烏梅)를 행매(杏梅)라고도 한다는 것.
행매(杏梅)라는 말을어디서 주워 들었냐구...?
"한국매화연구원"이라는 곳에서 발행한 "매화를 찾아서" 라는 책에 나온다.
모르면 물어야 한다.
기나긴 신호음에 지쳐갈 즈음 상대가 전화를 받는다.
"책을 보고 전활 드렸습니다. 도대체 '행매'가 뭡니까...?"
"살구성 매화를 일컫는 말 입니다."
" .... ? "
아니...
살구면 살구고 매화면 매화지 '살구성 매화'는 또 뭐야...
매화 사촌쯤으로 이해 해 달라는 말씀인것 같은데 ...
아닌게 아니라 일전, 녹우당 유물전시관 뒷편 담장에 선 살구나무도
영락없는 홍매를 피워내고 있었기에 머리를 주억거린 적이 있었다.
매화나무와 살구나무는 전혀 다른 나무다.
이른 봄 나무 이파리가 올라 오기 전에는, 몸통의 표피로 구분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수세도 서로 다르긴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확실한 차이는 꽃의 향기에 있다.
매향과 살구향은 태생적으로 확실한 차이가 있는 법.
허지만 향기가 코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의 원거리에서 볼 때는
다소 구분이 애매할 때도 있긴 있다.
허나 살구는 살구요, 매화는 매화라고 굳게 믿어 온 내게
행매라는 용어를 접수 하라니 헷갈릴 수 밖에...
기존, 매화를 소개하는 그 어떤 책에서도 '행매'라는 용어는 못 봤는지라
지금 이 순간까지도 사실 '행매'라는 용어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한,중,일 삼국을 주유 하며 오랜 세월 매화 공부를 해 오셨다는 고명한 학자 분 께서
내 놓은 용어라니 머리를 조아리고 따르는 수 밖에...
"북이초교살구꽃"의 수세는 거의 웅장한 수준이다.
순수한 우리 매화는 저렇게 크게 자라나기도 어려울 뿐 더러, 저 정도로 자라났다면
거개가 몸통의 썩음 현상이 진즉에 발생했어야 한다.
살구나무 앞에 "자연가"라는 시비가 서 있다.
내용을 살피니,
이 곳 북이초등학교의 살림살이에 뭔가 도움을 준 인물을 기리는 내용.
행매의 결정적인 흠이랄까....?
도대체 매향 특유의 짙은 향이 도통 느껴지질 않는다.
분명한 것은 유전적인 면에서나 고아한 아취를 놓고 볼 때,
어디까지나 매화는 매화요, 살구는 그저 살구일 뿐이라는 사실.
수령은 약 250년 이상이고 수관폭은 7.6m, 근원직경은 69cm, 높이는 9.4m에 달한다고.
본래 세 줄기로 자라났으나 태풍으로 인해 한 줄기는 부러져 나갔으며
꽃 색갈은 분홍이요, 꽃잎은 평균 25매 내외인 '중엽매'.
암술은 하나이고 수술은 43 ~ 50개.
- 매화를 찾아서 (북이행매 부분참조) -
'자연 > 탐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인탐매 (庚寅探梅) ~14~ (0) | 2010.04.04 |
---|---|
경인탐매 (庚寅探梅) ~13~ (0) | 2010.04.03 |
경인탐매 (庚寅探梅) ~11~ (0) | 2010.03.29 |
경인탐매 (庚寅探梅) ~10~ (0) | 2010.03.29 |
경인탐매 (庚寅探梅) ~9~ (0) | 2010.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