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30 09:42
전북 완주군 동상면은 곳감으로 너무나 잘 알려진 곳 이기도 합니다.
이 곳 다리를 건너 산행이 시작되고 원점회귀도 가능합나다, 저 멀리는 동성산
|
얼마간 오르다 뒤 돌아본 모습
완주군 일대는 멋진 산 들이 꽉 들어차 있습니다.
오른쪽 골짜기는 전북 예인촌
정상에서 마애석불로 내려서는 길
수만리 마애석불 전경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 84호
|
통일신라 때의 형식으로 결론이 난 모양이고 전체적으론 살진 모습으로 시원스런 이목구비를 보여줍니다.
목의 주름은 보이지 않았고 넓은 가슴, 두터운 무릎에다 양 어께엔 옷 주름이 걸쳐진 모습이었습니다.
머리위엔 네모난 흠이 파여있다는데 올라가 보지 못해서 확인은 할 수 없었고
평면의 고른 바위가 아니라 오버행의 울퉁불퉁하고 약간은 버석거리는 바위에 불상을
조성하느라 아주 힘들었을거라 짐작 할 수 있었습니다.
허나 여러 악조건 임에도 불구하고 조성자의 솜씨는 충분히 상급임을 느끼게 해 주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아래로 갈 수록 바위가 부실한지라 제데로 양각과 음각을 표현 해 내지 못한 점이었습니다.
이만한 크기의 대형 마애불을 조성하려면 상당한 시간과 공력 그리고 원력은 필수였을 터.
모처럼 스케일 큰 마애불을 만나 마음껏 양감과 그 균형미를 감상 하는 호사를 누릴 수 있었습니다.
마애불에서 더 내려가면 만나는 당집, '안도암'
|
저 멀리로 조만간 오르려 찜 해 놓은 연석산 라인이 눈에 들어옵니다
* 대부산(601.7m) 전북 완주군 동상면 수만리 * 2007, 10, 28 일요일 * 수만리 입석교-갈림길- 암릉-정상-마애석불-안도암-계곡길-길림길-입석교, 7km
단풍이냐, 마애불이냐를 놓고 그리 길게 고민 할 필요는 없었다. 어쩌면, 애당초 비교 대상조차 될 수 없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허나, 붉음의 잔치가 간절하게 초대장을 들이밀며 어서오라 손짓하는 호 시절 또한 분명한지라, 이왕이면 다홍치마요, 양수 겹장도 고려한다면 더욱 현명하지 않을까?
이 또한 그리 원활치 못한 내 머리를 혹사 시킬 이유도 까닭도 전혀 필요치 않았다. 가까운 전북 완주군으로 향하면 위의 두 가지가 간단하게 해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름답고 빼어난 산이 분명 하건만 별로 기억에 오래 남지 않은 산이 있는 반면 그리 준수하지 않음에도 기억에 오래도록 자리하는 산이 있음을 가끔씩 볼 수 있다.
이유인즉, 이러저러한 지형에다, 나무와 바위 그리고 계곡 등의 적절한 배치, 거기다 각종 컬러, 이를테면 어떤 수종이 주를 이루느냐 등의 자연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인간이 간섭한 흔적, 예를 들면 소위 예술성이 가미된 인문적인 요소가 적재적소에 어떤 형태로든 배치되어 그것을 찾아와 감상하는 이의 감흥을 이끌어내는 것 일 수도 있다.
위의 두 가지를 동시에 가졌다고 한다면 그것은 두 말할 나위도 없이 자연스레 엄지를 치켜 올리면서 자주 가보고 싶은 산의 맨 앞자리에 놓이게 되리라.
그 여러 요소 중에서도 바위 사면에 조성된 준수한 마애불이라도 마주칠 양이면 그 날은 최고로 아름다운 산행으로 자리매김 될 터이고 한 마디로 땡 잡은 날이라 할 것이다.
우선, 마애불을 감상함에 있어선 다소간의 시간이 필요함을 우리는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하늘의 해가 지나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마애불의 모습을 충분히 감상 하려면 말이다.
마애불을 새긴 석공의 정 끝을 따라서 시시각각으로 달라지는 음영에 침잠하다 보면 어느새 몸을 부르르 떨고 있는 새로운 나를 발견 할 수도 있지 않을까?
대부산에 올라 수만리 마애 석불을 감상하는 산행은, 위에서 제시한 여러 요소들을 충분히 만족 시켜줄 필요충분조건으로 똘똘 뭉쳐져 있었고 농익은 가을 또한 개평으로 얻을 수 있었던 행운의 날이기도 했다.
@ 대부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벽송 김정길"님의 산행기를 참조하시길....
공명
정말 올해는 단풍구경을 위해 어느 산으로 갈까를 고민할 필요가 없는 듯 합니다. 이산 저산, 모두 눈부시게 빛나는 붉고 노란 단풍들로 그저 황홀지경에서 헤어날 수가 없게 하네요. 대부산의 단풍도 정말 아름답네요.
연일, 먼 거리를 강행군 하시네요. 그러나 그도 모자랄 듯 합니다. 이리 좋은 가을단풍이 몇 년만인가 싶으니.......
|
2007-10-30 11:02:24 |
명경헌
김선생은 좋으시겠우... 자식들 잘 키워 놓고 타는 단풍 보러 다니니... 이곳저곳 산신령들도 같이 다니는 분 때문에 호위를 하실 것이고... 에구, 부러워라!!! 쩝~~~
|
2007-10-30 11:22:21 |
|
산마을
위봉산의 멋진 경치를 선물하시고 대부산의 마애불은 주식으로 주셨군요. 완주군이 멋진 산들로 가득찬 것 같다는 말에는 공감합니다. 완주군 동상면의 곶감도 잘 익어가고 있고 산신령님의 딸과 함께 하는 조용하고 오붓한 산행이 고즈녁해 보입니다.
|
2007-10-30 22:28:54 |
|
첨단산인
위봉산과 그 주변의 경치들도 너무 좋네요 이제 전북권으로 네비게이션의 맵을 입력해볼까 싶네요
|
2007-10-31 08:20:01 |
|
무늬
본론에서 개평까지.. 어디고 눈을 떼기 어렵네여 그저 감탄할 뿐입니다 곶감을 보면서 님의 그 맘을 다시금 엿봅니다..^^
|
2007-10-31 15:14:53 |
|
손병원
김선생님의글 사진 어디 하나 감탄을 하지않을수없군요. 매번 멋진사진 정말로 감상하기만 하기가 미안한 마음이 듬니다. 내일은 선운산에 산행할 예정입니다. 06시 출발 예정이지요.
|
2007-11-03 23:25:04 |
|
산아가씨
차분한 가을 풍경, 요란하지않고 호젓한 분위기, 진짜 가을냄새가 은은하게 풍기는 듯 합니다.
|
2007-11-05 21:53:39 |
|
김환기
손선생님, 선운산에 다녀가셨네요 저는 그 시간 경주 남산을 헤메고 있었습니다. 오랫만에 찾은 남산의 준수한 천년 미소를 정리되는 대로 곧 보여드리겠습니다.
|
2007-11-05 22:04:08 [삭제] |
|
손병원
좋은시간 좋은 산행 되었을줄 믿습니다. 남산은 여러 길이 있어서 가는가는길 모두모두 느낌이 다르든데 ... 경주 엑스포 마지막 날이였는디 좋은구경 했으면 ... 저는 선운산.경수봉-수리봉-견치봉-배면바위-낙조대-천마봉-용문굴-도솔암(마에불)-진흥굴-선운암등 산행후 해수사우나에 풍천장어에 어울리는 복분자주로 ...
|
2007-11-06 07:27:1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