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509)
봉래구곡(蓬萊九曲)과 내소사 변산의 봉래구곡( 蓬萊九曲)과 내소사 기행 신선대 신선샘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망포대, 분초대에서 발원한 물줄기와 해발 150여m에 위치한 산곡의 분지마을 대소(大蕭)에서 만나 대소(大沼), 직소폭포, 분옥담, 선녀탕 등의 절경을 만들어 놓고 있는데 이를 일러 봉래 구곡(蓬萊九曲)’이라 부른다 제6..
울산의 금두꺼비가 서해안으로 간 까닭은 @ 2008. 5. 30 ~ 6. 1 @ 울산 금두꺼비 산악회와 함께 @ 문수산(영산기맥) - 변산 격포항 축령산 편백림 약난초 들머리 문수산 정상 지나온 능선을 배경으로 고창쪽의 산노을 세심원 하경 족제비싸리 조선땅 제일의 굵기를 자랑하는 문수사 단풍나무숲 (천연기념물지정) 문수전 석상 곰소항 격포항 머나먼 울..
검은등뻐꾸기가 안내한 조봉산, 도명산 @ 충북 괴산군 소재 조봉산(鳥峰山) 687m , 도명산(道明山) 643m @ 상신리 - 조봉산 - 코뿔소바위 - 공림사 안부 - 도명산 - 화양구곡 - 주차장 @ 약 6시간 30분 소요 @ 2008, 5, 25 일요일, 전주 대건산악회와 함께 깔끔함이 인상적인 전주 풍남문을 출발 들머리로 삼은 충북 괴산군 청천면 상신리 도착 무꽃이 활..
전주 기행 (2) 한벽당, 전주향교, 전주수목원 麒麟吐月 (기린토월) - 전주시 완산구 남노송동 기린봉 寒碧淸煙 (한벽청연) - 전주시 완산구 교동 한벽당 옥류동 아래 한벽당의 청아한 조망, 풍정 南固暮鍾 (남고모종) -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남고산성 東浦歸帆 (동포귀범) - 완주군 용진면 신기리 마그네다리 부근 多佳射侯 (다가사후) - 전주시 완..
논산 기행 : 탑정리탑 / 성삼문의 묘 / 쌍계사 논산 탑정리 석탑  論山塔亭里石塔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60호.                                                                                     총 높이 약 283㎝, 기단부 184㎝, 탑신 54㎝.   탑정저수지의 수몰된 지역에 위치한 '어린사(魚鱗寺)'라는 절에 있었는데일제시대 때 저수지 공사를 하면서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기단은 하..
황산벌 기행 : 개태사(開泰寺) / 계백의 묘 開泰寺 개태사를 옆구리에 매달고 말을 달리는 형상을 한 천호산 12 봉의 원래 이름은 황산(黃山). 세력을 넓혀가던 왕건이 이 근처 연산 뜰에서 후백제군과 자웅을 겨루던 중 수세에 몰리게 되었는데갑자기 황산(黃山)에서 신장을 들고 말을 탄 병사들이 우루루 몰려나와 후백제군을 물리치게 되었고내친김에 견훤의 아들 신검의 무릎을 꿇리고 실질적으로 대업을 이룬 뜻 깊은 장소이기도 하다.  고려 건국과 치국 이념의 바탕은 불교였다던가?  개국에 대한 의미 부여와 미륵의 보살핌을기원하는 장소로서도 이 곳은 매우 적절 했기에  그는 친히 절 이름을 짓고 기원문까지 지어 호국의 원찰로 삼았던 모양. 물론,후백제 유민들을 다독거려 그 들의 민심을 얻고 숨진자들의 원혼을 달려려는 고도로 계산된 정치적 의미도 담겨있으리라...
道를 얻기 일보 직전이었는데.... 진안 명도봉(明道峰) @ 명도봉(明道峰) 863m / 전북 진안군 주천면                        @ 운일암 반일암 - 반일암 무지개다리 - 명도봉 - 칠은이골(샬롬수양관)                        @ 2008, 5, 17 (토) / 호남지리탐사회와 함께    雲日巖半日巖溪谷 무이구곡(武夷九曲)이라 부르기도 한다. 운장산(雲長山:1,126m)을 기점으로 동북쪽의 명덕봉(846m)과 명도봉(863m)에서 뻗어내린 산줄기가 큰 협곡을 이루면서 생긴 계곡으로 주자천을 따라 펼쳐져 있으며, 주위는 기암괴석이 첩첩이 쌓여 있다. 주자천은 운장산 북쪽 골짜기에서 시작해 북쪽으로 흐르다가 동쪽으로 굽어 주천면과 용담면을 거쳐 용담면 월계리에서 금강 상류에 합류한다. 고려 때 송나라 주자의 종손 주찬(朱瓚)..
오월의 야생화와 미소사 朴 시인 전남 장성군 북이면 죽청리 소재 승전도예 * 야생화식물원   야생화 식물원 (백양야생화 카페에서 퍼온 사진) 도예가이자 야생화 연구가이신  승전 윤태현 선생  "승전도예식물원" 연못에 피어난 수련    백두산넝쿨월줄  파피오페딜륨  정향나무꽃  피라칸타꽃  ?   홍자단  샤스타데이지(고창 국화축제장에서)   함박나무꽃(여기부터는 고창 미소사의 꽃들)   금낭화  병꽃  보라색매발톱  사계국?  횐색과 빨강색 해당화    자란  작약  크리스머스로즈  자주색매발톱  흰색금낭화   흰색매발톱     벌노랑이  병꽃  크로마커스  작약   백작약  풍노초  어성초  크로마커스  백정화   붓꽃   色                             박경희살 냄새가 난다 .고두륜산을 오르던 애인이내 목덜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