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어(人魚) / 어우야담 인어사(人語蛇) / 대망(大蠎) / 순오지
(左) 일각록(一角鹿) / 외동곳 / 삼국사기 (右) 자염장부(紫髥丈夫) / 노앵설(老鶯舌) / 용재총화
자의남(紫衣男) / 삼국유사 자이(自移) / 삼국사기
장구당로(長口當路) / 어우야담 장미토(長尾兔) / 신명지후(神明之後)
장백척(長百尺) / 삼국사기 장수피 / 송천필담
장시상천(長嘶上天) / 삼국유사 장원심(長遠心) / 소골화신(燒骨化身) / 용재총화
장인(長人) / 삼국사기 장화훤요(長火喧요) / 용재총화
재차의(在此矣) / 흑수(黑手) / 용재총화 적색일괴(赤色一塊) / 숙종실록
적오(赤烏) / 삼국사기 정여우후(井如牛吼) / 용재총화
제성대곡(齊聲大哭) / 어우야담 조갑여옥(爪甲如玉) / 탐라지
족여서족(足如鼠族) / 연려실기술 종 / 성호사설
주견사(蛛罥蛇) / 성호사설 주표(朱豹) / 삼국사기
죽통미녀(竹筒美女) / 수이전 중서함미(衆鼠含尾) / 삼국유사
(左) 지귀(志鬼) / 화귀(火鬼) / 지귀심화(志鬼心火) / 삼국유사 . (右) 지엽부포(枝葉溥布) / 삼국유사.
차귀(遮歸) / 동국여지승람 착착귀신(斲斲鬼神) / 연려실기술
처우담중(處于潭中) / 탐라지 천구(天狗) / 삼성운(三星隕) / 삼국사기
천량(天糧) / 동국여지승람 천록벽사(天祿벽邪) / 이목구심서
천모호(淺毛虎) / 고운당필기 천신(天神) / 천학문답
천우인(天雨人) / 연려실기술 청군여귀(靑裙女鬼) / 천예록
청목형형(靑目熒熒) / 기재잡기 청색구인 / 고려사
(左) 청우(靑牛) / 어우야담. (右) 청흑충(靑黑蟲) · 황흑충(黃黑蟲) / 명종실록.
추여묘(雛如猫) / 인조실록 춘천구(春川嫗) / 증보해동이적
출목축비(出目縮鼻) / 어우야담 충기여서(蟲氣如絮) / 어우야담
취생(臭眚) / 천예록 침중계(沈中鷄) / 양엽기
탁탁귀병(啄啄鬼兵) / 연려실기술 탄주어(呑舟魚) / 성호사설
(左) 토육대(吐肉帒) / 양촌집(김공경험설) (右) 토주원(吐珠黿) / 토일소주(吐一小珠 / 삼국유사
(左) 편신모(遍身毛) / 순오지 (右) 해중방생(海中傍生) / 해룡(海龍) / 구호구호출수로(龜乎龜乎出水路)
해중조(海中鳥) / 청파극담 해추(海䲡) / 탐라지
향랑 / 경도잡지 현구(玄龜) / 삼연집
협사이함(篋笥而緘) / 어우야담 형화만실(형화滿室) / 어우야담
호구록모(虎軀綠毛) / 제하사고 호문조(虎紋鳥) / 양엽기
혹언박흑언맥(或言駁或言貘) / 영조실록 홍난삼 / 용재총화
화소기미(火燒其尾) / 지봉유설 화위루의(化爲螻螘) / 청파극담
황룡(黃龍) / 삼국사기 황연의구(恍然依구) / 천예록
회음(誨淫) / 성호사설 훼훼귀신(喙喙鬼神) / 속잡록
흑기암심(黑氣黯심) / 인종실록 흑룡(黑龍) / 삼국사기
흑호(黑虎) / 학산한언 희광 / 희광이 / 휘겡이 / 가면을 쓴 사람 / 고려사
희랑(希郞) / 가야산기
■ 인용서적 / 『한국 괴물 백과』
괴물, 요괴(妖怪), 이물(異物) 등 비슷한 말 가운데 '괴물'을 사용한 것은 옛 기록에서도 쓰면서
현재도 큰 의미 차이 없이 그대로 쓰는 말이기 때문이다. 요즘 외국에서는 '요괴' 라는 말도 자주 쓰는 듯한데,
조선 시대 기록에서 '요괴'는 이상한 사람과 괴상한 자연재해를 뜻하는 '인요물괴(人妖物怪)' 라는
말의 줄임말로 쓰는 경우가 많아 이 책에서 다루는 이야기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혼동이 없도록 요괴보다는 괴물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이다.
- '작가의 말' 중에서 -
Wilderness - Oliver Shanti & Friends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택지(相宅志) 2 (0) | 2019.06.26 |
---|---|
상택지(相宅志) 1 (0) | 2019.06.25 |
괴이함에 대하여... 2 (0) | 2019.06.21 |
괴이함에 대하여... 1 (0) | 2019.06.18 |
신라의 신과 마귀 (0) |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