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고려시대를 가다 2편

고려시대를 가다

(2편)


무신정권


12세기에 들어 고려사회는 귀족적인 문화가 무르익은 한편에서, 농민의 유망과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이 이어지는 등

그 모순을 드러내고 있었다. 문벌귀족의 견제 차원에서 왕권 강화를 추진하던 의종이 측근에 치우쳐 향락과 실정을 거듭하자, 평소

차별 받았던 무신들과 군인전을 지급받지 못한 군인들의 불만이 무신정변으로 폭발하였다(의종 24년, 1170). 무신정권 초기 정변을

 일으킨 무신들은 주요 관직을 독점하며 사병을 길러 권력투쟁을 벌였고, 지방에서는 민생 악화 속에 농민과 천민이  대규모로 봉기

하였다. 이런 혼란을 마무리한 것은 최충현이었다. 개혁 방안으로 봉사10조를 제시한 최충헌은 농민 봉기의 진압에 적극 나서 상당한 

효과를 보았으나, 스스로 많은 토지와 노비를 차지하고 사병을 기르는 과정에서 애초 표방한 개혁은 흐지부지 되었다. 13세기 초에

 최충헌의 권좌를 이은 아들 최우는 자기 집에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는 등 최충헌 때처럼 독단적으로 정치를 운영하였으나,

한편으로 문학적 소양과 행정 능력을 갖춘 문인들을 적잖게 등용하면서 무신 일변도의 정치 운영을 일부 보완하기도 했다.

아래는 최충헌 가족을 위한 호신용 경전과 경갑이다.





소자본 불정심관세음보살 대다라니경 합각본 小字本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合刻本

고려 희종 2년(1206)~고종 6년(1219). 보물 제691호.

경갑: 길이 5.3cm, 두께 0.5cm, 불경: 전체 길이 27.5cm






"행군만호" 명 청동인 "行軍万戶" 靑銅印

고려 강종 2년(1213) 충북 중원 가금면 가흥리 출토. 길이 6.5cm, 너비 5.5cm


군사 지휘관의 직임인 만호의 도장이다. 도장 면과 옆 면에 각기 "행군만호방자호지인行軍万戶傍字号之印"이라 새겼고,

윗면에는 "숭경2년3월"이라 새겨 놓았다. 숭경 2년(1213년, 강종 2)은 도장이 제작된 해일 것이다. 만호는 그동안 충렬왕

(재위 1274~1308) 때 설치된 것으로 보아 왔으나, 이 도장은 그보다 훨씬 앞선 13세기 초

 최충헌 집권 시절에 이미 만호라는 직임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장양수 급제첩 張良守及第牒

고려 희종 1년(1205). 국보 제181호. 세로 45.0cm, 가로  90.3cm, 마지麻紙, 울진장씨대종회 소장


최충헌 정권이 확고하던 희종 1년(1205)에 장양수에게 발급된 과거 급제 증명서로서, 현존 과거 관련 문서 중 가장 오래되었다.

고시관인 지공거 대신 재신들이 기록된 점과 당시 과거 기록 등으로 볼 때, 이 문서는 문과 급제를 뜻하는 예부시 급제 홍패가

아니라 국자감시의 급제첩일 가능성이 크다. 맨 뒤 재신들 중 "파병부어사대사 최"는 아름 아닌 최충헌이다.

최충헌은 후에 자신을 죽이려 한 희종을 왕위에서 축출하였다.






"제숙공처" 명 청동 저 "濟肅公妻" 銘靑銅 著

고려 13세기. 청주 명암동 고려 무덤 출토. 길이 27.5cm, 너비 0.5cm,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제숙공의 부인되는 사람이 죽은 아들을 위해 만들었다는 내용의 명문이 점각되어 있다.





               


"단산오(옥)"명 묵 "丹山烏(玉)" 銘墨

고려 13세기. 청주 명암동 고려 무덤 출토. 길이 11.2cm, 너비 4.0cm, 두께 0.9cm,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려시대 먹이다. 먹집게로 집은 흔적이 있고 아래쪽이 갈려 있어서,

죽은 이가 생시에 쓰던 먹임을 알 수 있다. 파도무늬로 둘러싸인 가운데에 "단산오(옥)이라 양각하였다.

조선시대 지리서 『동국여지승람』에는 충청도 단양의 특산 먹 가운데 최상품을 

"단산오옥"[단산은 단양, 오옥은 먹]이라 한다고 적혀 있는데, 이 먹의 출토로 "단산오옥'이란 이름이

고려시대 부터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불교 결사結社 운동


무신정권 시절 불교계에서는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나 지방민을 비롯한 많은 이들의 호응을 얻었다.

지눌의 수선사修禪社로 대표되는 결사 운동이 그것이다. 이는 종래의 불교가 불교 본연의 실천이나 지방사회의 현실과

 멀어진 데에 대한 불교계의 자기반성이었다. 그 중심에 선 지눌은 경전 공부와 창선이 본래 하나라는 정혜쌍수론定慧雙修論

등을 말하면서, 모든 승려가 독경과 선 수행, 노동에 두루 힘써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여러 주장은 선종을 바탕으로

교종을 통합하는 조계종의 성립으로 나아갔다. 수선사는 제2조 혜심 때에 이르러 치고 권력자 최우와 유학자 관료들과도

 연결되며 크게 발전하였고 참회수행을 강조한 요세의 백련결사와 더불어 교려 후기 불교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선문염송집 禪門拈頌集

고려 고종 31년(1244). 세로 26.3cm, 가로 16.0cm


수선사修禪社 제2조 혜심이 엮은 공안집이다. 혜심은 불경이나 선문 조사의 어록에서 공안公案 1,125측을 뽑고 그 강령의 요지를

제시한 염과 찬송을 붙여 이 책을 만들었다. 초간본은 전하지 않으며, 몽골과의 전쟁으로 그 초판이 불탄 뒤 347측을 더하여 고종

31년(1244)에 대장도감 남해분사에서 새로 펴냈다. 조선시대에도 여러 차례 개판되었다.








혜심고신 彗諶告身

고려 고종 3년(1216). 국보 제43호. 세로 35.0cm, 가로 352.2cm, 비단. 송광사 소장.


고려 제23대 왕 고종이 수선사 제2조 혜심(1178~1234) 사마시에 합격한 유학자 출신으로 수선사의 제2조이다. 그에 이르러 수선사는

무신정권 최고 권력다 최우의 후원을 받아 크게 발전하였다. 을 대선사大禪師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일명 '고종제서'라고도 한다.

현존 고신[임명장]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승려 인사 및 국가행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대선사는 선종 승려의 최고 법계로 왕사 또는 국사가 될 자격을 지닌다.





팔만대장경과 대몽항쟁


13세기 초 중국 대륙의 새로운 강자가 된 몽골이 무리한 조공을 요구하며 고려를 압박해오자, 최씨 무신정권은 전쟁을 불사하며

강화도로 천도하였다(고종 19년, 1232). 이후 육지의 백성들은 강화도 정권을 떠받치는 어려움 속에서도 농민 · 천민 할 것 없이

치열하게 몽골군과 맞섰다. 전쟁 과정에서 2세기 전 거란군을 물리치기 위해 새긴 초조대장경판이 소실되자 최씨 정권은 새로운

대장경을 새겼다. 부처에 힘입어 몽골군을 격되하려는 염원에서였다. 약 16년에 걸쳐 집권자 최우로부터 진사 · 승려 · 부녀자에

이르기까지 수 많은 사람들의 참여로 조판된 대장경은 그 경판이 무려 8만 여 장에 이른다 하여 흔히 팔만대장경[일명 재조대장경,

고려대장경]이라 한다. 그러나 오래도록 지속된 몽골과의 전쟁은 몽골군의 강력한 압박과 최씨 정권의 붕괴로 사실상 종식 되었고

(고종 46년, 1259), 뒤이은 무신정권들도 무너지면서 원종과 다수 문신들의 희망에 따라 개경 환도가 이루어졌다.(원종 11년, 1270).

이에 최씨 정권의 무력 기반이던 삼별초는 환도에 강력히 반발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진도와 제주도로 그 거점을 옮겨가면서

전라도와 경상도 해안 지역을 장악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고려와 원[몽골]의 연합군에 진압되고 만다(원종 14년, 1273).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

조선 후기. 세로 33.2cm, 가로 22.6cm, 목판본


저명한 문인지자 관료인 이규보(1168~1241)의 글을 모은 책이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그 자체가 뛰어난 문학 작품일 뿐만 아니라

역사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대장각판군신기고문大藏刻板君臣祈告文」9고종 24년, 1237)도 그러한 글 중의 하나로서, 대장경을

새겨 그 공덕으로 몽골군을 물리치겠다는 고종과 신하들의 의지를 생생하게 읽을 수 있다.










고려첩장불심조조 高麗牒狀不審條條

일본 가마쿠라 바쿠후 1271년. 세로 32.9cm, 가로 49.7cm, 복제품 (원품:일본대학 사료편찬소 소장) 국립제주박물관 소장


일본 가마쿠라 바쿠후가 고려 원종 12년(1271)에 진도 삼별초 정부가 보내온 외교 문서[첩장]를 3년 전의 문서란 원종 8년 (1267)에

고려 정부가 발송한 「고려원종국서」로 추정된다. 3년 전의 문서란 원종 8년(1267)에 고려 정부가 발송한「고려원종국서」로 추정된다.

「고려원종국서」는 몽골과이 통교를 일본에 권유하는 것이어서 몽골에 맞서 싸운 삼별초의 문서와는 그 내용이 판이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일본이 이 문건을 작성했다는 것은 일본이 두 문서의 발송 주체가 다르다는 점을 알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파편 이 문건은 현재

남아 있지 않은 "고려첩장". 즉 삼별초 외교 문서의 내용을 일부 짐작하게 한다. 예컨대 일본에 대한 몽골의 공격 가능성에 대한 경고라

든지, 표류인 등의 송환이 원만히 이루어지던 고려-일본 간 우호 관계에 대한 언급,  그리고 몽골의 위협에 즈음한 연대의 필요성과

긴급한 군사적 지원 요청 등이 그 주요 내용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반열반경 大般涅槃經

고려 고종 18년(1241) 세로 34.5cm, 가로 12.0cm, 목판본


석가모니의 열반에 대해 말한 불교 경전으로, 중국 북량이 인도 승려 담무 참이 번역한 것이다. 현존 열반경류 경전 가운데 가장

방대하고 내용이 완비된 이 경전은, 여래의 법신은 생기고 사라짐의 변화가 없으며, 모든 중생은 불성을 가지고 있다는 대승의

사상을 담고 있다. 이 유물은 고종 28년 (1241)에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대반열반경의 유일본으로, 각 경판 맨 앞의 판수제에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권차券次, 장차長次, 함차函次를 표시하였다. 장차의 단위는 "장丈"자를 쓴 초조대장경판과 달리

"장張"자를 썼다. 함차 아래에 쓴 것은 경판을 직접 새긴 각수의 이름이다.







경률이상 經律異相

고려 후기~조선 전기. 보물 제1156호. 세로 31.0cm, 가로 12.3cm, 목판본


중국 양나라의 승려 승민 · 보창 등이 편찬한 일종의 학습용 불교 사전으로, 고종 30년(1243)에 남해의

고려분사대장도감에서 새긴 팔만대장경판을 후대에 찍어 인출한 것이다. 각 판 맨 끝의 작은 글씨는 본문 내용의 출전을 밝힌 것이다.





불사佛事와 발원發願


고려인들은 신선이나 하늘신을 모시며 복을 빌듯이 불보살에 대해서도 여러 불사를 통해 정성과 믿음을 표현하며 각자의

소망을 발원하였다. 인연 있는 사찰을 위해 불탑을 세우거나 범종과 반자[쇠북], 향로, 촛대, 경자磬子와 같은 불구류를 시주하는 일,

불화의 제작이나 불경의 인쇄, 사경의 제작에 참여하는 일 등이 모두 발원을 위한 훌륭한 불사들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이러한

불사가 수도 개경 뿐만 아니라 지방 곳곳에서, 왕족이나 고위 관료뿐만 아니라 하급 관료나 군인, 향리까지 포함하는

 보다 폭넓은 계층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정우 12년" 명 반자 "貞祐十二年" 銘飯字


손씨 성의 향리들과 품관이 이의사라는 절에 시주한 반자[쇠북]이다. 가장자리에는 임금의 만수무강과 전쟁 종식 등을

기원하는 발원문이 새겨져 있다. 반자가 영동군 가곡리에서 출토된 점을 감안할 때, 반자를 시주한 이들은 토성으로

 손씨가 있던 당시 영동현 소속의 풍곡부곡 또는 앙암부곡의 향리와 그곳 출신의 품관일 가능성이 크다.


반자에 새긴 발원문










"을사" 명 동종 "乙巳" 銘銅鐘

고려 명종 15년(1185) 또는 고종 32년(1245). 제천시 인근 출토 추정.

전체높이 62.2cm, 높이 50.3cm, 입지름 44.0cm


재상직을 겸직한 상장군 조 아무개가 부인과 함께 발원, 시주한 종이다.

우리나라 범종의 형식을 비교적 잘 갖춘 이 종에는 임금의 만수무강과 국태민안, 중생의 편안함 등을 기원하는 내용의

발원문이 새겨져 있다. "상장군 조"가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종의 모양이나 발원문에 나타나는 관직 명칭 등으로 볼 때,

종을 시납한 "을사"년은 명종 15년(1185)이거나 고종 32년(1245)에 해당한다.










청동 은입사 향완 靑童 銀入絲 香椀

고려 12~14세기. 높이 29.5cm, 입지름 21.0cm, 바닥지름 14.6cm


불단에 안치해놓고 향을 피우는 데 사용한 고려시대 향완으로 은입사 기법으로 화려한 무늬를 장식하였다.

범자와 함께 용, 여의두 · 구름 · 번개 등을 비롯한 다양한 무늬를 기면 전체에 은입사로 표현하였다.







금강령 金剛鈴

고려 12~13세기. 진주시 남성리 출토. 높이 20.4cm,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몸통 면에 갑주와 창,  활, 도끼, 검 등을 찬 무사상 6구가 양각되었고, 몸통의 위쪽 면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금강저 金剛杵

고려 12~13세기. 진주시 남성리 출토. 길이 20.1cm,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경자에 새긴 글





"대정20년" 명 청동 경자 "大定二十年" 銘靑童磬子

고려 명종 10년(1180) 진주시 남성리 출토. 높이 15.0cm, 입지름 30.0cm, 바닥지름 19.8cm,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진주의 조문기관詔文記官들이 명종 10년(1180)에 장흥사라는 절에 시납한 경자로 안쪽 면에 먹물로 범문이 쓰여 있고,

가장자리에는 시납에 대한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조문기관은 지방관의 직접적인 행정 관할을 강화하기 위해 고려 중기에

신설된 향리직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이 경자의 명문을 통해 그 설치 시기가 종래 알려진 고종 17년)(1230)보다

최소 50년 앞서게 되었다. 명문에서 경자를 "경자鏡子"로 표기한 점도 특이하다.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 권 제20

고려 13~14세기, 보물 제1083호. 세로 31.0cm, 가로 12.0cm, 목판본


당의 승려 반야가 번역한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이다.

보현보살의 권유로 선재동자가 여러 선지식을 찾아다니는 구도 과정을 다루었다. 표지는 감지紺紙이다.







감지금니묘법연화경 紺紙金泥妙法蓮華經 권 제7

고려 공민왕 15년(1366). 보물 제1138호. 세로 30.7cm, 가로 11.0cm


전농직장(전농사의 하급관원) 권도남 등이 죽은 아버지와 선조들의 명복을 빌며 공민왕 15년(1366)에 봉정사에 봉안한 사경이다.

 『묘법연화경』권 제7을 감색의 종이에 금니로 배껴 썼는데, 끝부분과 사성기寫成記에 비해 본문 앞부분은 상대적으로

금니 빛깔이 바래고 글씨 획의 일부가 희미하다. 이것으로 볼 때,  권씨 일가는 기존의 사경을 구하여

본문 뒷부분을 보충하고 자신들의 사성기를 써서 봉정사에 봉안한 것으로 보인다.







오백나한 제92 수대장존자 五百羅漢第九十二守大藏尊者

고려 고종 22년(1235). 세로 64.6cm, 가로 42.2cm, 비단에 색









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

고려 14세기. 보물 제1286호. 세로 100.3cm, 가로 52.5cm, 비단에 색, 용인대학교 박물관 소장














도교


고려시대에는 정부 주도 하에 왕실과 나라의 복을 빌고 재난의 소멸을 기원하는 의례 중심의 이른바 과의도교가 크게 성행하였다.

수도 개경에는 복원궁 · 대청관 · 구요당 · 신격전 · 청계배성소와 같은 도관道觀[도교 사원]이 있어서 도사들이 출퇴근하며 제사를 담당하였다.

도사가 거향한 제사는 십일요 등의 별에 대한 재초齋䩌, 태일 · 삼청 등의 천계에 대한 재초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도교는 불교처럼 조직적인 대중 종교로 발전하지는 않았다. 다만 수경신과 같은 수명 연장이나 복을 비는 도교적 습속을

 지켜나가는 정도였다.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도가 사상과 도교적 양생수련법으로 심신을 다스리며 신선과 같은

탈속의 경지를 지향하는 풍조가 많았다.




청자 도석인물형 주자 靑磁道釋人物形注子

고려 12세기. 대구 달성 공산면 내동 출토. 국보 제157호. 높이 28.0cm, 바닥지름 19.7cm


두 손에 선도仙桃를 받쳐 든 인물 모양의 주전자로 의복과 봉황이 장식된 관, 선도를 받쳐 든 모습 등에서 이 인물은

도사이거나 도교 전설에 나오는 서왕모일 것으로 추정된다. 서왕모는 도교의 대표적 여신선으로서 중국 한 무제에게

불로장생의 복숭아를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인물의 머리 위에 물을 넣는 구멍이 있는데 뚜껑은 없어진 상태이다.

등 뒤에 손잡이가 있어서 전체적으로 주전자의 기능을 지니고 있으나, 실제로 사용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청자 "십일요전배" 명 접자 靑磁 "十日曜前排" 銘楪子

고려. 높이 3.0cm, 지름 13.7cm


도교 제사에 사용하던 제기이다. 그릇 바깥 면에 "십일요전배"라고 새겨져 있다. 십일요란 월화수목금토를 포함한

11개의 별자리를 가리킨다. 고려시대에는 왕실과 나라의 복을 빌고 재난을 물리치기 위하여 십일요을 비롯한

여러 신들에게도교 제사를 많이 지냈다. 이러한 제사를 일컬어 재초齋䩌라 하였다.


왕이 별자리 운행의 정상화를 기원하는 글


일관日官(천문과 날씨를 관측하는 관리)이 변고를 관찰한 보고를 받아보니, 별 들의 운행이 정상적이지 못하다고

 여러번 말하나이다. 이것은 사람을 사랑하여 그로 하여금 닦고 반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니, 진실로 깊이 자신을

책망하지 않으면 어떻게 이 재앙을 없애버리겠습니까? 이에 정성을 다하여 특별히 법도를 엄숙히 하고 도사들을

모아 경전의 신령스런 글월을 외나이다. 바라건대 굽어 흠향하시고 도움을 더해 주셔서 삼신(해, 달, 별)의 궤도가

다시는 잘못되는 재앙이 없이 사방이 태평하며 영화로운 경사를 이루게 하소서


- 『동국이상국집』권39, 초소 십일요소재도량문







청자 "소전색" 명 잔 靑磁 "燒錢色" 銘盞

고려. 개성 출토. 높이 5.8cm, 지름 7.9cm


고려 때 도교 제사를 담당하던 소전색이라는 관청에서 쓰던 잔이다.

소전색은 복원궁 · 구요당 · 대청관과 같은 도교 사원들과 함께 조선 건국 직후 폐지되었다.




"황비창천" 명 항해도문 동경 "煌丕昌天"銘航海圖文銅鏡

송~금, 또는 고려. 개성 출토. 지름 24.2cm, 두께 1.7cm


개성에서 출토된 청동거울로, "황비창천"이라는 명문과 함께 범선과 일상, 월상, 용 등의 무늬를 새겨 놓았다.

이들 무늬는 바다의 神山을 찾아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된다.  "황비창천"이란 말은

 "밝게 빛나는 창성한 하늘"이란 의미로서 신선이 사는 별천지를 상징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종류의 거울은

송~금대에 걸쳐 중국으로부터 다량 수입 되었고 고려에서 이들을 본떠 만들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청자 양각 연당초문 표형 병 靑磁陽刻蓮唐草紋瓢形甁

고려 12세기. 높이 39.3cm, 입지름 2.5cm, 몸통지름 19.4cm


조롱박 모양의 몸체 전면에 연꽃 넝쿨무늬를 양각하고 굽 위쪽에도 양각으로 두 겹의 연꽃잎무늬를 둘렀다.

몸체 양면에 각각 마름꽃 모양의 창을 내고 그 안에 시구를 흑상감하였다.

이 시는 도교에 심취했던 당나라 시인 하지장賀知章(657-744)의 주흥酒興을 이 병과 관련하여 언급하고 있다.

시 내용이나 병의 생김새로 보아 술병으로 썼을 가능성이 높다.





내세관


고려시대 사람들은 불교나 도교, 민간신앙 등을 넘나들며 죽은 이를 축복하였다.

불교 승려의 장례에서 도교적 장례 풍속의 하나인 매지권이 사용되고, 거기에 서왕모를 비롯한 도교 신선과 사신四神, 하늘신, 땅의 신 등이

등장하는 것이나, 거창 둔마리무덤 벽화의 천녀처럼 도교적 존재가 고려 나름의 토속화한 모습으로 악기를 불며 죽은 이를 천계로 인도하는 것에서도 이를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성 수락암동 벽화 무덤과 파주 서곡리 권준 무덤, 안동 서삼동 벽화 무덤 등에 보이는 십이지신상이나 성수도, 석관에 새긴 사신도와 십이지신상, 비천상 등도 모두 도교나 불교, 민간신앙 등의 구분을 넘어 다양한 종류의 신들이 죽은 이를 보살피고

수호해주리라는 고려인의 소박한 믿을 표현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세관의 바탕에는 유교 ·  불교 · 도교 등의 공존 속에 조화를

도모하던 고려인들의 여유롭고 다채로운 정신세계가 놓여 있었다.




사신문 석관 四神文石棺

고려. 석관石棺


통일신라시대 이후 유행하기 시작한 불교식 하장은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상류층에 널리 퍼졌다.

이때 유골을 모시기 위해 석관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들 석관에는 바깥 면에 사신이나 십이지신, 비천 등을 주로 새기고,

안쪽 면에는 꽃이나 새 등의 동식물, 북두칠성을 비롯한 별자리 등을 많이 선각하였다.

간혹 석관 주인공의 묘지명을 안쪽 면에 새기기도 하였다.











풍수지리설


고교 및 선종 불교와 더불어 고려시에 와서 크게 성행한 것이 풍수지리설이다. 풍수지리설이란 땅속에 흐르는 기기가 사람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준다는 이론으로, 산천의 형세를 잘 살펴 도읍이나 사찰, 주거, 분묘 등의 위치를 정할 때 많이 활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백제

온조왕이 한산에 올라 지세를 살피고 도읍을 정했다고 한다. 이미 삼국시대부터 고유한 풍수지리적 관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보다 체계화된

 풍수지리설은 통일신라 말기에 당나라에 다녀온 선승들이 들여온 것으로 보인다. 선승 도선(827~898)은 이러한 풍수지리설의 근간을 마련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고려시대를 통하여 사찰이나 이궁의 건설, 천도 논의 등에서 도선의 권위는 거의 절대적이었다.




선각국사 도선 초상 先覺國師 道詵 肖像

조선 순조 5년(1805) 도일비구道日比丘 그림. 

보물 제1506호. 세로 132.5cm, 가로 106.0cm, 비단에 채색,  선암사 소장


본래 화엄종 승려였던 도선은 구산선문의 하나인 동리산파의 개조 혜철의 문하에서 선종으로 개종하였고,

이후 전국 산천을 돌아다니며 당시 선종과 함께 유행하던 풍수지리설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 풍수지리서의 고전으로 여겨지는 『도선비기道詵秘記』· 『송악명당기松岳明堂記』·『도선답산가道詵踏山歌』

『삼각산명당기三角山明堂記』등은 모두 도선의 저작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이 초상화는 조선 순조 5년 승려 도일비구가

대각국사의 초상화와 함께 그린 것으로, 서안과 발받침대, 돗자리 등의 형상이 다소 사실적이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구성과 안정된 정취를 느낄 수 있다.






원 간섭 하의 고려


몽골과의 전쟁을 끝낸 고려는 이후 80여 년 간 원[몽골]의 간섭을 받았다. 고려 국왕은 어린 세자 시절을 원나라 대도大都에서보내고 원나라

공주와 혼인해야 했다. 원나라의 부마국이 된 고려는 국왕의 호칭이나 묘호를 비롯한 각종 관계가 격하되었고,왕위 교체에 대해서도 원나라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하였다. 그러나 원 간섭의 가장 큰 피해자는 역시 일반 백성들이었다.이들은 두 차례에 걸친 원나라의 일본 침략에 필요한 선박과 식량, 무기 등을 장만해야 했고, 군사와 선원으로 동원되기까지하였다. 뿐만 아니라 매년 원나라에 바쳐야 하는 막대한 양의 금 · 은 ·

모시 · 마포 · 인삼 · 잣 · 매 등 특산물도 바로 백성들이감당해야 할 몫이었고, 수시로 공녀를 차출하여 원나라에 보내는 제도 또한 고단한 고려

백성의 삶을 더욱 힘들게 하였다. 한편 고려와 원나라 사이에 인적 교류가 많아지면서 풍속과 언어, 학문 등 문화적 교류도 함께 이루어졌다.

 몽골의 용어와 관제, 인명, 몽골식 머리모양과 복장 등 이른바 몽고풍이 고려 사회에 성행하였고, 마찬가지로 고려의 의복과 신발 · 쓰개, 장신구 등도 원나라에서 유행하여 고려양이라 일컬어졌다. 특히 고려가 원나라로부터 도입한 성리학과 라마교, 『농상집요』등의 농서,목면, 화약 제조 기술, 수시력 등은 이후의 한국인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몽고습래회사 蒙古襲來绘詞

일본 가마쿠라 바쿠후 1293년. 세로 40.3cm, 전체 길이 2111.0cm.

복제품(원품: 일본 궁내청 소장) 국립제주박물관 소장


일본 가마쿠라 바쿠우의 무사 다케자키 스에나가가 작성한 것으로, 고려 · 원 연합군의 일본 정벌을 그림과 글로 기록한 것이다.

다케자키 스에나가의 활약상을 부각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어서 자료로서의 한계는 있지만, 당시 전투 모습을 생생하게 담고 있어

전술과 무기, 복식 등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청자상감 금채수하원문 편호 靑磁象嵌金彩樹下猿文扁壺

고려 13세기 말. 개성 고려 궁궐터 출토. 높이 25.5cm, 몸통지름 19.8cm, 바닥지름 9.5cm






법지 法旨

고려 1275~1308년. 보물 제1376호. 세로 77.1cm, 가로 51.2cm. 송광사 소장







개성 출토 원나라 도자기들



백지흑화 운룡문 병 白地黑花雲龍文壺

원, 자주요. 개성 출토. 높이 36.5cm, 입지름 6.8cm, 굽지름 10.6cm





황유 칠보문 반 黃釉七寶文盤

원, 자주요, 개성 출토, 높이 12.4, 입지름 42.9cm, 밑지름 33.5cm





청자 연판문 완 靑磁蓮辦文碗

원, 용천요, 개성 춡토, 높이 6.8cm, 입지름 16.7cm, 굽지름 5.0cm












제왕운기  帝王韻紀

고려 말~ 조선 초, 보물 제1091호, 세로 27.2cm, 가로 14.0cm, 삼성박물관 소장


고려 후기의 문인 이승휴(1224~1300)가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사를 운문으로 기록한 책이다.

이 책에서 이승휴는 우리나가가 중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생활 영역을 지녔음을 분명히 하는 한편,

단군 조선을 한국사의 출발점에 올려놓고 중국 고대의 요 임금과 같은 시기에 일어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점들은 당시 원나라의 부마국이라는 현실 속에서 다져진 지식인의 자의식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13세기 말에 처음 간행되었고, 이 판본은 고려 말~조선 초의 것이다.






성리학의 도입


원나라에서 왕[충렬왕 · 충선왕]을 모시던 안향 · 백이정 등의 관료들은 주자성리학[이하, 성리학] 관련 서적들을 가지고 귀국함으로써 성리학을 고려에 본격 소개하였다. 이후 충선왕의 부름을 받아 원나라 대도로 간 이제현은 충선왕이 세운 만권당이라는 서재에서 저명한 원나라 유학자들과 교유하며 성리학에 대한 학문적 깊이를 더하였다. 당시 고려 학자들이 성리학의 도입과 연구에 열심이었던 것은, 성리학이 종전의 유학과 달리 우주와 인간을 아우르는 형이상학적 논리체계를  가진 새로운 유학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성리학은 지나치게 관념론에 빠진 불교나 미신적 기복 신앙 또는 개인적 양 수련에 치우쳐 있던 도교와 달리, 무신정권에 의해 위축되었던 유교 정치와 신분 질서를복원하고, 토지의 불법 소유 문제를 비롯한 각종 사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사상 체계로 여겨졌던 것이다.








안향 초상 安珦肖像

조선 후기, 화가 미상, 세로 88.8cm, 가로 53.3cm, 비단에 채색


고려 후기의 문신 회헌 안향(1243~1306)의 초상화이다. 충숙왕 5년(1318)에 안향의 초상화를 그려 문묘에 봉안할 때,

한 본을 더 모사하여 뒤에 백운동서원[=후의 소수서원]에 봉안했던 것을 조선 후기에 다시 옮겨 그린 그림 중의 하나이다.

소수서원본(국보 제111호)과는 용모와 크기, 제문 내용이 거의 일치한다. 한 인물을 기려 후대에 다시 그 모습 그대도 초상화를

옮겨 그리는 예를 보여주는 점, 그리고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한 것으로 여겨지는 점 등이 이 그림의 가치라고 할 것이다.

안향은 원나라에서 주자朱子의 저술을 베껴와 우리나라에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보급하였다.

그의 호 회헌晦軒은 흠모하던 주자의 호 晦庵을 모방한 것이라 한다.








회헌실기 晦軒實記

대한제국 순종 3년(1909). 세로 29.5cm, 가로 20.0cm,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고려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인 안향(1243~1306)의 글과 말, 기타 그와 관련된 여러 사실들을 모은 책이다.

안향의 17대 후손인 안극권이 조선 영조 40년(1764)에 처음 간행한 이후 여러 차례 증보 · 중간되었다.









이재현은 안향에 이어 성리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백이정(1247~1323)의 제자이다.

또한 『사서집주』를 간행아며 성리학 보급에 힘쓴 권보의 사위이자 제자요, 후에 성균관을 중흥시키고 숱한 신진사대부를

양성한 대학자 이색의 스승이기도 하다. 그의 학문이 깊어진 것은 원나라 대도 시절이다. 당시 대도에 있던 충선왕은 만권당을

설치하고 진귀한 서적들을 수집하는 한편, 중국의 저명한 문인 및 학자들과 교유하였다. 충선왕은 이들 인사들과 상대할 고려의

인물로 이제현을 불러 올렸으니(충숙왕 1년, 1314) 이로써 이제현은 만권당을 출입하던 요수 · 염복 · 원명선 · 조맹부 등

원나라의 문인 학자들과 접촉하며 학문의 폭과 깊이를 더하여 갔던 것이다.








익재집 益齋集

조선 순조 14년(1814). 경주. 세로 28.1cm, 가로 20.0cm, 목판본


고려 말의 학자 이제현(1287~1367)의 문집이다. 그의 시문을 모은 『익재난고』와 문학론은 담은 『역옹패설』,

그리고「습유」로 구성되었다. 고려 때에 간행된 초간본은 전하지 않는다.








전 이제현 필 수렵도 傳 李齋賢筆狩獵圖

고려 14세기. 세로 28.8cm, 가로 43.9cm, 비단에 채색


이재현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화격 높은 그림이다. 설경과 말 탄 인물의 생동감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 그림이 반드시 이재현의 작품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림에 그의 서명과 함께 "아재현인李齊賢印"이라는

도서가 찍혀 있고 공민왕 무렵 화풍의 요소가 많은 데다, 이제현이 원나라에 오래 머물며 중국 화풍의 명적을 모으고

유명 작가들과 널리 접촉했던 점으로 미루어 이제현의 작품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금속활자 인쇄


고려인들은 불교문화의 융성 속에서 정교한 사찰판본과 방대한 대장경의 간행을 통해 훌륭한 목판 인쇄술을 과시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세계 인쇄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업적은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사용하여 책을 인쇄한 일이다. 금속활자 인쇄는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내용을 인쇄할 수 있는 신기술로서, 금속 활자의 주조 기술과 그 활자를 판에 고정하는 기술, 금속활자의 표면에 잘 묻는 먹물 제조 기술 등이 모두 필요하다. 고려는 이러한 금속활자 인쇄술을 세계에서 가장 일찍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증명하는 것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하, 『직지』)이다.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는 『직지』는 그것이 1377년에 청주의 흥덕사라는 사찰에서 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임을 책의 말미에 분명히 밝히고 있다. 또한

비록 유물로서 확인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려의 금속활자 인쇄술은『직지』보다 훨씬 앞선, 무신정권의 강화도 천도(고종 19년, 1232) 이전

시기부터 이미 개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금속활자본을 번각  인쇄한 목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가 증명하고 있다.

 아울러『동국이상국집』에는 강화도 천도 시절에 무신정권이 『상정예문』이란 책을 금속활자로 인쇄하여 배포한 사실도 전하고 있다.




금속활자 "복" 金屬活字 "㠅"

고려. 전傳 개성 출토. 너비 1.0cm, 길이 1.2cm, 두께 0.7cm, 무게 4.1g


개성 지역의 개인 무덤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고려시대 실물 금속활자이다.  활자 꼴이 가지런하지 않으며, 활자 네 변의 길이가

앞뒤로 차이가 있다. 뒷면이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패여 있는데, 이는 구리의 소비량을 줄이는 과정에서 개량한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조선시대 금속활자에 비해 주조 방법이 서툴지만, 고려 금속활자의주조와 조판 기술사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실물 자료로 평가된다.

고려새대 금속활자의 실물은 이것 외에는 현재 북한 개성박물관[개성시 옛 성균곤 건물]에 한 점이 더 소장되어 있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고려 후기. 보물 제758호. 세로 27.5cm, 가로 16.6cm, 목판본, 삼성출판박물관 소장


강화 천도 이전에 강행된 것으로 보이는 금속활자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를 고종 26년(1239)에 목판으로 번각

새로 새긴다는 당시 무인정권 제1인자 최이[최우]의 글이 보인다. 그러나 이 책은 최이 당시가 아니라 훨씬 후에

간행된 것이다.글자 힉에 나뭇결이 많이 나타나고, 글자 획이 끊기거나 일부 없어진 데가 자주 보이는 것은 새긴

후에 세월이 꽤 흘렀음을 의미한다.다행히도 새김이 정교하여 그 바탕이 된 금속활자본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어서 고려 금속활자 인쇄의 초기 양상을 연구하는데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고려 우왕 3년(1377). 세로 24.5cm, 가로 17.1cm, 복제품(원품: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


고려 말의 선승 백운화상 경한(1299~1374)이 공민왕 21년(1372)에 역대 여러 부처와 고승의 설법, 문답, 편지, 시문 등에서 선의 요체를

 깨닫는 데 필요한 내용만 뽑아 엮은 책으로, 우왕 3년(1377)에 청주목[지금의 청주] 흥덕사에서 비구니 묘덕의 시주로 금속활자로 인쇄 되었다. 이 책은 독일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본 『42행 성서』보다 78년 앞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물로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원래 상하 두 책이었으나 오늘날 전하는 것은 하권 한 책 뿐으로 진본은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비록 활자의 주조와 판짜기의 기법 면에서 서툰 점이 적지 않지만, 원나라의 지배로 관청 주도의 금속활자 인쇄가 점차 마비되어 가던 시기에 지방 사찰이 직접 활자를 주조하여 책을 찍어냄으로써 고려 금속활자 인쇄의 맥을 이어준 점에서도 그 의의가 크다.






개혁 군주 공민왕






공민왕 부부 초상 恭愍王夫婦肖像

조선. 화가 미상. 세로 81.5cm, 가로 65.5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고려 제31대 공민왕(재위 1351~1374)과 원나라 출신의 왕비 노국대장공주(?~1365) 부부의 초상화이다.

무신도의 색채가 짙은 이 그림은 누가 언제 그린 것인지 알 수 없다. 전설에는 조선 태조 때 종묘를 세우려 하자

이 초상화가 바람에 날아 들어와 그 곳에 공민왕의 영당을 세웠다고도 한다. 그림에서 공민왕은 복두를 쓰고

 둥근 깃에 소매가 넓은 단령포 차림이다. 노국대장공주는 화려한 관과 아담한 어깨,

웅장한 소매 폭과 늘어뜨린 치마 길이 등에서 왕비의 위엄이 느껴진다.








전 공민왕 필 안동영호루 현판 탁본 傳 恭愍王筆安東映湖樓 懸板 拓本

고려 공민왕대. 세로 46.7cm, 가로 28.0cm


안동 영호루 현판의 글씨를 탁본하여 첩으로 만든 것이다.

 이 글씨는 공민왕 10년(1361) 홍건적의 침입을 피해 안동으로 피난 갔던 공민왕이 쓴 것으로 전해진다.








"정릉" 명 청자상감  "正陵" 銘 靑磁象嵌 넝쿨무늬 완椀

고려 공민왕 14년(1365)~공민왕 23년(1374). 높이 7.8cm, 입지름 19.0cm, 굽지름 6.0cm


"정릉"이라 새겨진 청자 넝쿨무늬 대접이다. "정릉'은 개성에 있는 공민왕비 노국대장공주의 능호[무덤 이름]이다.

따라서 이 대접은 애초 무덤에 부장하기 위해 제작한 것 중 하나이거나, 공민왕의 능행 때 사용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전 공민왕 필 염제신 초상화 傳 恭愍王 筆 廉悌臣 肖像

보물 제1097호. 세로 53.7cm, 가로 42.1cm, 파주 염씨 광주종문회 소장


고려 말의 문신이자 공민왕의 장인 염제신(1304~1382)의 초상화이다. 염제신은 공민왕의 친원파 숙청을 원나라에 납득시키고

공민왕 19년(1370)에는 오로산성을 공격하여 항복을 받는 등 공을 세웠다. 이에 공민왕은 염제신의 초상화를 직접 그려 하사하고

그 딸을 비妃로 들였는데, 이 초상화가 당시에 그려주었던 초상화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다만 그림의 품격 등으로 볼 때

공민왕의 작품일 가능성은 있다. 매우 드문 고려 말기 초상화로서, 인물의 온화한 모습과

어깨선의 윤곽, 옷의 섬세한 무늬 등이 그림의 격조를 높이고 있다.








이색 초상 李穡肖像

조선 후기. 화가 미상. 세로 142.0cm, 가로 75.0cm



고려 말의 대학자 목은 이색(1328~1396)의 초상화이다. 이색은 공민와의 개혁 정책에 따라 성균관을 다시 짓고(공민왕 16년, 1367),

성균관 대사성으로서 정몽주 · 김구용 · 이숭인 · 박상충 등 쟁쟁한 신진들을 교관으로 근무하게 하는 등 성균관의 성리학풍 진작과

신진사대부의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후에 정도전 등 일부 급진개혁파 신진사대부들과 달리 이성계 세력에 협조하기를 거부하여

고초를 겪었다. 문하에 권근과 김종직, 변계량 등을 배출하여 조선 초기의 정치와 학문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양수생 홍패 楊首生紅牌

고려 우왕 2년(1376). 보물 제725-2호. 세로 68.3cm, 가로 34.7cm, 양대우 소장(국립전주박물관 위탁)


현직 하급 관리[장복 직장(고려시대 임금의 옷을 상납하는 일을 관장하던 장복서의 정7품 관원)] 양수생이 발급받은 예부시 합격증이다.

"을과 제2인"이라는 좋은 성적으로 볼 때, 공직 생활 틈틈이 시험 준비를 열심히 했던 것 같다. 성리학으로 무장한 신진들이

 과거를 통해 속속 벼슬길에 합류하는 가운데 비非과거 출신자로서의 한계를 절감했던 것이 아닌가 한다.








저무는 왕조








정지 장군 환삼 鄭地將軍環衫

고려 14세기. 보물 제336호.

총 길이 73.0cm, 목둘레 79.0cm, 소매폭 30.0cm,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기탁)


고려 말 재상의 신분으로 서 · 남해안의 여러 곳에서 왜구를 물리친 명장 정지(1347~1391)의 갑옷이다.

철판과 수많은 철제 고리를 엮어 만든 특이한 형태의 갑옷으로, 정지가 왜구를 물리칠 때 직접 착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황산대첩비명 탁본 荒山大捷碑銘拓本

비 건립: 조선 선조 10년(1577). 김귀영 지음, 송인 씀, 세로 282.0cm, 가로 142.0cm


고려 말의 신흥 무장 이성계가 전라도 운봉의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물리친 일을 기념하여 조선 선조 때에 세운 승전비이다.

우왕 6년(1380)에 삼도 순찰사 이성계는 함양으로부터 공격해 오는 왜구들과 격전을 벌여 적장 아지발도를

사살하는 등 대승을거두었다. 원래 비는 일제강점기 때 파괴되어 그 규격을 정확히 알 수 없다.

현재의 비는1957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삼봉 정도전의 문집







조반 부부 초상 趙胖夫婦肖像

조선 후기. 화가 미상. 세로 94.5cm, 가로 74.0cm, 비단에 채색


고려 말 이성계 일파에 큰 힘을 보탠 재상 조반(1341~1401)과 그 부인의 초상화이다.

조반은 위화도 회군 이듬해(공양왕 1년, 1389)에 명나라에 가서 이성계 일파가 세운 공양왕의 즉위를 알리고, 그 이듬해인

 윤이 · 이초의무고 사건에 대해서도 명나라 황제의 의심을 풀어주는 등 이성계의 외교적 입지를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 초상화는 조선 초기의 원본을 후기에 옮겨 그린 것이지만, 고려 말 · 조선 초 관료의 모습과 부부 초상화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윤이 · 이초의 무고 사건

공민왕 2년(1390)에 윤이 · 이초 등이 명나라에 고소한 사건이다. 이성계가 옹립한 공양왕이 종실이 아니라

이성계의 인척이며, 이성계 등이 장차 명나라를 칠 것이라는 것이 고소의 내용이었다. 이 고소 사건은 마침

명나라에 다녀 온 초반 등을 통해 고려에 알려졌고, 그 결과 이색 등 이에 연루된 사람들이 유배되거나

국문을 당하였다. 명나라는 이 고소를 무고로 판단 내렸으며, 윤이 · 이초는 유배되었다.








정몽주 초상 鄭夢周肖像

조선 고종 17년(1880) 이한철 그림. 세로 61.5cm, 가로 35.0cm


고려말의 학자이자 충신인 포은 정몽주(1337~1392)의 초상화이다. 조선 고종 17년(18980) 궁중 화가이던 이한철이 개성 숭양서원에 있던 초상화를 옮겨 그린 것이다. 정몽주는 대학자 이색이 성균관 대사성으로 있을 때,  김구옹 · 이숭인 · 박상충 등과 허불어 성균관의 중흥과 성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이색으로부터 "우리나라 이학[성리학]의 시조"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성리학에 대한 조예가 깊고 정확하였다. 또 그는 우왕 때에 왜구의 횡포가 극심하자 단속을 요청하는 일본 사행을 충실히 수행하고, 세공 문제로 악화되어 있던 명나라와의 관계 회복에도 기여하는 등 정치적으로 큰 활약을 하였다. 정도전 등 급진파 진진사대부들과 달리 일파에 끝내 협조하지 않은 채 죽음을 맞음으로써

훗날의 선비들에게 충절의 상징이 되었다.














쌍절록 雙節錄

조선 순조 3년(1803). 김양선, 세로 30.2cm, 가로 19.1cm, 목판본


고려 말의 충신 김제 · 김주 형제의 글과 행적을 후손인 김양선이 조선 순조 3년(1803)에 수집하여 간행한 책이다.

형 김제는 경상도 평해 군수로 있을 때 고려가 망하자 배를 타고 섬으로 들어가 시를 지으며 조용히 여생을 보냈다.

동생 김주는 공양왕 4년(1392) 성절사로 명나라에 갔다가 귀국하던 중 압록강에서 고려가 망한 사실을 전해 듣고 부인에게

"충신불사이군忠信不事二君"으로 시작되는 편지와 조복朝服 및 신발을 보낸 후 발길을 돌려 중국에서 여생을 마쳤다.



자료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著 『고려시대를 가다』




Under The Moonnight - Seiko Sumi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 미술 <2편>  (0) 2018.11.24
그리스 미술 <1편>  (0) 2018.11.23
고려시대를 가다 1편  (0) 2018.11.20
이집트 미술  (0) 2018.11.18
법정 스님 명동성당 강론   (0) 2018.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