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산행·여행·풍경

옴천사 / 수미사

 

 

선각총림(禪覺叢林) 옴천사(泉寺)

(전남 강진군 옴천면)

 

처음으로 찾아간 강진 옴천사.

내력을 알아보기 위해 홈피를 방문했더니 무염(無染, 801 ~ 888) 국사를 종조로 내 세우고 있었다.

내친김에 무염에 대한 백과사전의 내용을 잠시 주절거려 보자면.

 

 

무염(無染)은 마조도일(馬祖道一)의 법사(法嗣)로서 범일(梵日)과 함께 선(禪)을 대성시킨 인물이다.

무염의 속성은 김(金)씨이고 아버지는 범청(範淸), 할아버지는 주천(周川)으로서 무열왕 9세손이며 달마조사 10대 법손이다.

《조선금석총람》에 따르면 무염은 신라 제40대 임금 애장왕 원년(800)에 태어나 12세 때 설산(雪山: 설악, 양양군 오색동)

오색석사에서 출가득도하여 법성(法性)선사에게 사사(師事)했다. 법성선사가 당나라 유학을 권하자 그 곳에서 떠나 부석사의

석징 대덕에게 화엄을 배우고 서해(西海)를 건너 당으로 가려다가 성난 풍파에 휩쓸려 표류, 검산도(劍山島: 흑산도)에 이르러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 무염은 그러나 좌절하지 않고 또다시 헌덕왕 13년(821) 정조사(正朝使) 왕자(王子) 흔(昕)을 따라

마침내 당나라로 들어갔다.

 

무염은 보철의 심인(心印)을 받고 얼마 안 있어 그가 열반하자 사방으로 돌아다니며 불우한 사람들을 돕고 병고에 신음하는

많은 사람들을 구제했다. 어떤 역경에도 아랑곳 않고 불우한 사람 돕는 일을 게을리 않아 당시 사람으로 그 이름을 듣는 자는

모두 멀리서도 예경하며 동방의 대보살로 추앙했다. 신라의 역대 왕들이 그를 왕사(王師)로 예우했으나 그는 번거로움을 피해

경북 상주 심묘사(深妙寺)에서 머물다 입적했다. 무염의 법은 성주사의 일맥(一脈)을 이뤘으며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가

되었다.

 

성주사의 옛터는 충남 보령군 미산면에 있다.무염은 약리(藥理)에 밝고 성품이 공손하고 신중했으며 늘 온화한 모습을 잃지 않아

제자들이 기뻐하며 따랐다. 손님들을 대하는 데 높고 낮음을 구별하지 않았으며 배우는 사람을 지목하는 데도 선사(禪師)라고

. 반드시 대중과 똑같은 음식을 먹고 옷도 남과 같은 것으로 입었으며 절의 크고 작은 일에 늘 솔선하여 나아갔다.

 

그는 매양 "옛 조사께서도 일찍이 진흙을 밟았는데 내 어찌 잠시인들 편히 쉬리오"라고 하며 물 긷고 나무 해오는 일까지도

손수했다. 이름 있는 문인(門人)이 2천 명이고 따로 떨어져 있으면서 '도량에 거처한다'고 일컫는 제자로는 승량(僧亮: 心光),

보신(普愼), 순부(詢父), 승광(僧光) 등이 있다.

 

 불교와 조도(祖道), 선(禪)과 교(敎)를 정의해 놓은 그의 <무설토론(無舌土論)>은 유명하다.

그리고 그는 남돈선(南頓禪)을 도입한 신라말 선문(禪門)의 거장이었다.

 

 

 

 

 

 

사찰 입구를 지키고 선 금강역사 상.

 

 

 

 

 

 

십이지신상을 비롯한 돌탑의 행렬.

 

 

 

 

 

 

용왕님께서도 한 자리를 차지하시고...

 

 

 

 

 

 

영가천도의 오야붕께서도 우뚝 서시고...

 

 

 

 

 

 

 

 

 

 

 

 

 

 

 

 

 

 

 

 

 

 

 

 

 

 

 

 

 

 

 

 

 

 

 

 

 

 

 

 

 

 

 

 

 

 

 

 

탑 면에 새겨진 부조.

 

 

 

 

 

 

 

 

 

 

 

 

 

 

 

 

 

 

 

 

 

 

 

뉴페이스 사사자 석탑

 

 

 

 

 

 

 

 

 

 

 

 

 

 

 

 

 

 

 

 

 

 

 

 

 

 

 

 

 

 

 

 

 

 

 

 

 

 

 

 

 

 

정병을 손바닥에 올린 불상이라...

 

 

 

 

 

 

 

 

 

 

 

 

 

옴천사 비단잉어 먹이까지 챙겨온 6인의 동학인.

 

 

 

 

 

 

 

 

 

 

 

 

유문암(流紋岩)으로 조성되었다기에 백과사전을 들춰보니.

 

유문암(流紋岩, rhyolite)은 화성암 중 규장질 성분을 지닌 화산암(분출암)이다.

젊은 유문암에서는 암석 안에 공동이 곧잘 발견되나, 오래된 유문암에서 그 공동은 다른 광물로 채워진 경우가 많다.

 유문암은 상대적으로 밝은 암석이다. 회색, 녹회색, 적회색 등이 주로 보인다.

유문암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흐른다는 뜻의 단어 "ρέιν"와 돌을 뜻하는 "λιθος"로부터 유래하였다.

암석에 용암이 흐른 흔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장흥 유치휴양림

 

 

 

 

 

 

 

 

 

 

 

 

옹녀가 궁금하여...

 

 

 

 

 

 

 

 

 

 

 

 

옹녀의 전립선(?)에 문제가 생긴걸까...?

이런 젠장 헐. 땀을 쏟아가며 올랐는데 폭포는 무신넘의 폭포 ㅋ~~ 

 

 

 

 

 

 

 

 

 

 

 

 

폭포의 아쉬움을 달래주신다고

옹녀를 상대하고도 남을 덩치의 소유자 박경훈 동덕께서 안내하는 탐진댐(장흥댐) 호반 길.

 

 

 

 

 

 

수미사 (장흥 부산면 구룡리 소재)

 

실로 오랜만에 찾은 수인산 자락의 수미사.

한 무리의 떡대들이 들이 닥치자니 모습을 보이시는 주지 정각스님.

방문객인 나는 스님을 알지만 정작 스님은 나를 알아 볼 턱이 없다. 딴엔 예의를 갖춘답시고 한 마디.

 

- 병풍바위를 둘러 보고자 왔습니다.

 

 별 영양가 없는 피플이라 여기신 듯.  "저 쪽이요"  곧장 훽 돌아 서는 스님.

 

 

 

 

 

 

오름 길, 예전엔 없던 산신각이 세워졌다.

 

 

 

 

 

 

병풍바위 아래 당도

 

 

 

 

 

 

예전엔 전혀 볼 수 없었던 어수선한 풍경이 펼쳐지고...

 

 

 

 

 

 

 

 

 

 

 

 

독공 장소로 그만이긴 한데....

 

 

 

 

 

 

오늘의 목표인 젖가슴 바위를 향하여...

 

 

 

 

 

 

 

눈에 들어 오기 시작하는 젖가슴 바위.

 

 

 

 

 

 

너무도 사실적이지 않는가?

 

 

 

 

 

 

 

 

 

 

 

 

 

 

박경훈 동덕의 처녀 유탐(乳探) 도전기.

 

 

 

 

 

 

위험을 무릅쓴 끝에 드디어 점령.

 

 

 

 

 

 

 

 

 

 

 

 

 

병풍바위 동쪽 사면에 조성된 마애여래좌상.

 

 

 

 

 

 

 

 

 

 

 

 

 

 

 

 

 

 

 

 

 

 

 

 

 

시원스런 조망을 위하여 병풍바위를 오른다.

 

 

 

 

 

 

부산면 들녘과 장흥읍내가 한 눈에 들어 온다.

 

 

 

 

 

 

 

 

 

 

 

 

 

들녘 멀리 왼편으로 제암산과 사자산 등이 늘어 서고.

 

 

 

 

 

 

병풍바위 윗편에 펼쳐진 계관암(닭벼슬 바위).

 

 

 

 

 

 

급격히 흐려지는 날씨 속에 당겨본 제암산과 사자봉

 

 

 

 

 

 

 

부감(浮感) 장흥천하.

 

 

 

 

 

 

장흥 태생이면서도 이곳에 처음 올랐다는 대접주 박경훈 동덕의 감탄사 연발.

 

 

 

 

 

 

앞에 보이는 계관암과 수리봉을 지나 강진 수인산성으로 이어지는 환상의 능선길.

장흥 읍내에서 바라보면 능선 전체의 유려함이 한 눈에 들어 온다는 사실.

 과거 몇 번인가 걸어본 코스. 산을 좋아하는 이라면 꼭 한 번 걸어보시라 권하고 싶다. 

 

 

 

 

 

 

장흥의 밤, 라이브 카페에서...

 

 

 

 

 

 

박경훈님의 무대.

 

 

 

 

 

 

 

 

 

 

 

 

박정균님의 무대.

 

 

 

 

 

 

카페 쥔장의 연주와 노래.

 

 

 

 

 

 

곡암장님의 물쫌주소 外.

 

 

 

 

 

 

신승한님의 무대.

 

 

'자연 > 산행·여행·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산 자락을 어슬렁  (0) 2017.07.20
보림사(寶林寺)  (0) 2017.07.20
보은 선병국 가옥  (0) 2017.06.07
우중입산  (0) 2017.06.01
낙조 감상  (0) 2017.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