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 12
消除濁氣(소제탁기)
兒養淑氣(아양숙기)
흐린 기운을 쓸어 버리고 맑은 기운을 어린 아기 기르듯 하라
歎 道儒心急 (탄 도유심급) 중에서
관어대(觀魚臺)
우측 산자락 절벽에 '觀魚臺관어대'라는 각자가 새겨져 있다.
오른편에서 왼쪽으로 약 8~4미터 간격으로 음각된 관어대(觀魚臺).
글씨 크기는 가로 약 7~80센티미터, 세로 약 1~ 1.2미터 정도.
오래 전에는 물 건너편에서도 절벽의 글씨가 선명히 보였었는데 지금은 잡목이 우거져 접근조차 난망한 상태.
특히 고기어(魚)자는 절벽 나뭇가지를 붙잡고 통사정 끝에 간신히 담을 수 있었다는 사실.
누구의 서체인지는 알 수 없으나 나름 웅혼한 맛이 난다고나 해야할까.
바위 표면이 상당히 거친 편에다 경사도가 심해 작업하기가 상당히 어려웠으리라.
볼 觀
고기 魚
돈대 臺
부엉바위
지금은 논이지만 예전에는 바위 아랫쪽이 내(川)와 소(沼)였던 모양.
정유재란시 이 곳 '부엉바위' 아래에서 왜적을 상대로 의병과 주민들이 힘을 합해 싸웠으나
마침내 장렬한 최후를 맞았고, 이때 남편을 잃은 부인들은 위쪽 부엉바위에 올라 벼랑 아래로
투신 을 하고 말았다는 슬픈 역사의 현장.
바위 아랫쪽에 자라는 청죽의 기세.
마치 바위에서 투신하여 숨진 이들의 원혼과 절개를 보는 듯.
벼락바위
밤중, 술 한 병 둘러 매고 홀로 저 사진상의 바위로 헤엄쳐 건너가
둥근달을 초대하여 대작을 벌이곤 했던 여름날의 추억.
그때가 군에 가기 바로 전 쯤이었으니 분명 치기(稚氣) 였겠지만,
나름 우주를 안주 삼았던 질풍노도의 시기이기도 했다.
예전, 바위 아랫쪽으로 잠수하노라면 귀가 아플 정도로 깊었었고...
담장가, 동백나무 아래에서 벌어진 살벌한 헤프닝.
물까치의 시끄러운 울음 소리가 뚝 그치더니만 갑자기 들려 오는 자지러지는 비명소리.
소리의 진원지를 살피자니 참매의 발톱에 물까치 한 마리가 걸린 모습.
창문 틈으로 렌즈를 들이밀어 조심스레 한 방.
셧터 소리와 동시에 휙 돌아 보는 매,
먹이를 움켜쥐고 순식간에 하늘로
'푸드덕~~~'
'자연 > 산행·여행·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백설백(月白雪白) 천지백(天地白) (0) | 2016.01.26 |
---|---|
임진강변 산책 (0) | 2016.01.22 |
2015 남창골 단풍 (0) | 2015.11.12 |
2015 백암산 단풍 (0) | 2015.11.11 |
노란꽃 잔치 (0) | 201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