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산행·여행·풍경

제2차 영호남선비문화교류 -제1편-

 

'2011 월봉서원과 함께하는 즐거운 나날'

 

 

"제2차 영호남 선비문화 교류 답사"

 

- 제1편 -

 

    ○ 주최 : 광주광역시 광산구

    ○ 주관 : 교욱문화공동체 "결"

    ○ 후원 : 문화재청, (재)고봉학술원, 행주 기씨 문헌공 종중, 광곡(너브실)마을 주민 일동,

산문화원, 광주향교 여성유도회, 광산구 문화유산해설사회

 

 

■  답사일 : 2011년 9월 30일 

     ■  주   제 : 경북 경남의 문화유산 

  답사지 : 경북 청송 주왕산  

 

 

 

 주왕산 대전사 (周王山 大典寺)

 

대한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혜사의 말사로. 672년(신라 문무와12) 의상(義湘)이 세웠다는 설과 919년(고려태조12) 눌옹(訥翁)이 창건했다는  설이 있는데 주왕산과 절의 이름은 주왕의 설화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주왕내기(周王內記>에 따르면, 중국 당나라의 주도(周鍍)라는 사람이 스스로 후주천왕(後周天王)이라 칭하고 군사를 일으켜 당나라에 쳐들어갔다가 크게 패하고 신라로 건너와 주왕산에 숨었고 이에 당나라가 신라에 주왕을 없애달라고 부탁하자 마일성 장군 오형제를 보내 주왕의 무리를 죽였다고 한다. 그 뒤부터 주왕이 숨었던 산을 주왕산이라 하고, 절은 주왕의 아들대전도군(大典道君)의 이름을 따서 대전사라 하였다.

 

 

보광전

 

 

 

 

절 이름은 나옹화상 혜근(惠勤)이 붙였다고 하고또한 신라의 주원왕(周元王)이 수도했던 산이라서 주왕산이라고 부른다는 설도 있다.창건 이후 자세한 연혁은 전해지지 않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는 사명대사 유정(惟政)이 승군을 훈련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고 조선 중기에 불에 탄 것을 다시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며 부속 암자로는 백련암(白蓮庵)과 주왕암(周王庵)이 있다.

 

 

보광전 앞 삼층석탑 1층 몸돌에 새겨진 부조

 

 

보광전 내부의 화려한 단청

 

 

주왕암 계곡 폭포 답사길

 

 

無然스님의 포행

 

 

답사 일행

 

 

급수대

 

 

 

 

 

 

 

 

 

 

 

 

 

 

 

 

 

 

 

 

 

 

 

제 1 폭포

 

 

제 3폭포

 

 

 

 

 

 

 

 

 

 

 

 

 

 

 

 

 

 

 

 

 

제 2폭포

 

 

 

 

 

 

 

 

 

대전사 승탑에 드리운 가을

 

 

 

매력적인 기암과 1, 2, 3 폭포로 구성된 주왕계곡을 돌아나와

다시 돌아온 대전사의 하늘.

 

 

일정이 촉박한 관계로 다음 행선지를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