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축제·전시·공연

진도 씻김굿 한마당 ~1~

 

때 : 2011년 8월 28일 일요일 오후 6시부터 ~ 11시

곳 : 담양군 창평면 슬로시티 방문자 센터 한옥 마을

공연 : 진도씻김굿 보존회

주관  성적문화연구원, 전라도 닷컴, 창평슬로시티

 

 

 

담양 창평면 슬로시티 방문자 센터

 

 

들녘 너머 월봉산을 배경으로 서서히 굿판에 모여드는 사람들.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진사님들의 행렬.

 

 

 

굿판에 먹거리가 빠진데서야...

 

 

 

금새 자리를 매우는 모습인데 외국인 들도 간간히 눈에 들어 오고.

 

 

 

혼맞이

 

무속사물  - 우리소리 바라지 팀 -

강민수. 김현정. 조성재. 남초롱. 김태영. 정광윤. 이준형. 황애리. 김율희

 

 

 

무속에서 사용하는 장단과 소리를 활용하여 만든 타악곡.

 

 

 

안당  

 굿의 시작을 알린다

(진도씻김굿 전수조교 박 미 옥)

 

 

 

초가망석 

신을 불러 좌정 시키며 이번 굿을 잘할 수 있도록 기원.

 

 

 

 창평 슬로시티 고석봉 위원장의 인삿말

 

 

 

월간 '전라도닷컴' 황풍년님의 인삿말 

 

 

 

 사회와 해설을 주관한  중앙대 한승석 교수 

 

 

 

 

 

 

 

 

 

진도 씻김굿 전수자 박영애님의 인사

 

 

처올리기

 

 

 

 

 

손님굿 

 

 모든 신의 친구 벗들이 같이 자리하여 흠향하며 이 자리를 같이해 주길 바람.

(진도 씻김굿 전수조교 박미옥)

(진도씻김굿 예능보유자 박병원의 시나위 살풀이 구음 배경을 배경으로 )

 

 

- 구음에 대한 이해 -

 

진도지역의 구음은 구음시나위라고 불릴 만큼 독특한 정서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음악성이 매우 뛰어나

오히려 악기를 리드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일반적인 의미의 구음은 현악기 소리를 ‘덩둥등당동딩’으로, 관악기는 ‘러루르라로리’로 흉내내어 읽는다.

그러나 진도지역의 구음시나위는 ‘아-어-흐-우’ 등의 구음을 사용함으로써 악기와의 변별성을 보여준다.

특히 진도씻김굿과 살풀이춤의 반주음악으로서 구음시나위는 거의 절대적이라고 할 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경향들이 북춤의 반주로도 이어지면서 타 지역에서 북춤을 출 때 풍물반주에 태평소를 사용하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진도지역에서 구음시나위는 주로 씻김굿의 여흥판이나 북춤, 또는 매구굿이 벌어지는 난장에서

매우 자유롭게 연행되는 음악양식이다. 전형적인 육자배기토리를 사용하며, 한 사람이 하기도 하고,

다수의 대중이 시나위조로 가창하기도 한다.

- 디지털진도문화대전에서 발췌한 내용 -

 

 

 

제석굿

살아있는 사람들의 명과 복과 행운이 함께하며 이 자리를 같이 하는 모든 이들이

서로 화합하며 즐거운 시간이 되기를 기원.

 

 

 

* 제석맞이 (바라지팀)

* 앉은조달   (박미옥)

 

 

 

 

 

 

 

 

 

제석굿 중  공연 / 다시래기 

 

 

 

무형문화재 국가지정 제81호 다시래기 보유자 강준섭님

 

 

 

무형문화재 국가지정 제81호 다시래기 전수조교 김애선님

 

 

 

남도민요 흥타령 

* 남도민요 보유자 강송대님   * 강강술래 보유자 박종숙님   * 남도들노래 보유자 박동매님

 

 

 

 

 

 

 

 

 

 

 

 

지전춤 / 액을 막고 살을 푸는 춤

(진도씻김굿 이수자 강은영님) 

 

 

 

 

 

 

강송대님의 구음(口音)을 배경으로...

 

한순자가 작고한 이후로는 주로 강송대의 구음을 제일로 친다. 남도잡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된 강송대는,

본래 단골가에서 태어났지만 무업을 잇지 않고 민요 쪽으로 성공한 경우이다.

강송대는 민요뿐 아니라 특히 구음시나위에 천재적인 재질을 가지고 태어나 전국에서도 그 명성이 자자할 정도다.

구음의 남자 명인으로는 흔히 진도읍박진섭을 꼽는다. 박진섭은 북춤의 중시조로 알려진 김행원의 손자이자,

 고법 예능보유자 및 조선창극단에서 큰 역할을 했던 김득수의 조카이다.

박진섭은 본래 판소리를 배웠지만 지속하지 못하고,

주로 진도 내의 씻김굿판에서 타고난 천구성으로 구음을 해, 많은 사람들에게 감흥을 불러일으켰다.

 

/ 의의와 평가 /

 

진도지역의 구음은 구음시나위로 불릴 만큼 독자성을 확보하고 있다.

구음만으로 시나위가 가능할 만큼 예술성이 뛰어나서, 이것만으로도 진도지역이 가지고 있는

민속음악에 대한 지평과 깊이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진도지역의 구음, 즉 구음시나위는 진도 사람들의 예술적 기량과 끼를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예술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 디지털진도문화대전에서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