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례 곡전재(穀田齋)
2011. 8. 13
곡노
중간채
지리산에서 내려 오는 물이
집안 내부연못을 거쳐 중간채 앞을 휘돌아 나간다.
춘해루
춘해루 옆 연못
춘해루에서 바라본 사랑채
객실
쥔장 이 병 주 선생
장독대
집안 내부 대밭 속에 산책로가 마련되어 있다.
안채
서행랑
객실
중간채와 사랑채 사이 마당을 휘돌아 나가는 물줄기
바깥 사랑채
호박돌로 높게 쌓아 올린 담장
곡전재 부감도
본 건축물은 1910년경부터 승주 황전면에 사는 7천석의 부호 박승림이란 분이 明堂을 찾기 위해 십여년을 많은 地官과 함께 수색 끝에
토지면 오미리 環洞(환동)이 금환락지다 확정짓고 李 敎臣(호 穀田:병주의 曾祖父)씨와 함께 건축하게 되었다
그후 박승림씨가 사업상 서울에 거주하고 집은 李敎臣씨가 위임맡고 있었는데 박승림씨가 죽음으로
그의 子婦가 李 敎臣씨에게 인도하여 현재 5代째 살고 있다
그리하여 이집을 구례문화원에서 金環洛地(금환락지)라 하고 여러대학 건축학자들이 건축이 잘되었다하여
목포대학 건축과에서 일주일 이상 조사한후 문화적 가치가 있다하여 문화재로 할 것을 신청하였다
원래는 6채 53칸 한옥으로 지어졌으나 중년에 인수당시 동행랑과 중간채를 팔아 훼손되었다가 현재 소유주 이순백께서
1998년1월 새로이 동행랑과 중간 사랑채를 복원하고 누각을 신설하여 "춘해루"라 이름 지었으며(5채 51칸 연못(洗淵:세연)을 확장하였다
구례군청에서 몇 년간 향토문화유산을 선정하다 2003년 문화재관리위원의 심의를 거쳐 구례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
/곡전재 홈피에서 발췌한 내용/
들판 한 가운데 위치한 곡전재 모습
돌담을 높게 쌓아 올리고 집 뒷편엔 대밭을 둘렀다.
************************************************************************************************
지리산,
그 중에서도 확실히 노고단은 수승한 산의 대표격인 모양.
산자락이 남쪽으로 흘러 내린 지점에
금가락지가 떨어진 형국의 집터가 한 마을에 두 개 씩이나 있다니 말이다.
그래서 그러한지 몰라도
근래들어 이 두 집에 사람들이 몰려들어 금가락지를 열심히 떨구고 가는 중.
이른바 팬션이란 이름으로 탈바꿈하여 상종가를 치고 있다는 말씀.
집안을 어슬렁거리던 중 무화과나무 가지를 자르고 있던 쥔장을 조우
이런 저런 얘길 나누면서 안색을 살피자니 신수가 훤 하시다.
역시나...
길지 중의 길지라는 '금환락지'에 한 번쯤 살고 볼 일이렸다. !
'자연 > 산행·여행·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 쌍산재(雙山齋) (0) | 2011.08.16 |
---|---|
구례 운조루(雲鳥樓) (0) | 2011.08.16 |
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0) | 2011.08.16 |
연꽃순례 (0) | 2011.07.20 |
여산기행 (0) | 201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