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운사 동백연 - 금반옥호형 (金盤玉壺形) 답사
선운사 동백은 지금이 초 절정
선운사 경내에서 열린 제 33회 동백연 백일장
고창의 문인과 문화 관계자 여러분
가운데 안경 끼신 분이 고중영 시인
한국서예대전 초대 작가 안병홍님 작
금반옥호형(金盤玉壺形) 답사
병바위 (壺岩)
오른쪽 커다란 바위가 '전좌바위'(斗岩).
맨 아래쪽 평평한 '소반바위' 윗 부분이 '金盤玉壺形' 혈 자리다.
반암마을 들녘에서 바라본 '전좌바위'(오른쪽).
멀리 능선상에 보이는 바위는 소위 '九岩' 중의 하나인 '안장바위'다.
전좌바위와 두암초당
斗岩草堂
'소반바위'(앞쪽)와 아산초교 뒷편의 '전좌바위'
과거엔 이 '소반바위' 아래로 주진천 물이 흘렀다는데,
지금은 바위 옆으로 제방을 쌓아 더 이상 물이 바위를 휘감아 흐르지 않는다.
이른바 명당의 교과서로 불리운다는 "금반옥호형"
묘지석을 보니, 호암 변성온, 인천 변성진 형제와 그의 5대 손 평암 변동빈 등이 묻혀 있었다.
근데 인천공의 묘가 사각형태의 평분이었다, 무슨 연유일까...? 합장이라도... ?
초계변씨 묘에서 삼나무 숲으로 난 길을 따라가면
술에 취한 신선의 발길질에 술병이 굴러와 거꾸로 박혀 바위가 되었다는
병바위(壺岩)가 서 있다.
주진천 건너 구암마을 뒷편 형제바위 아래 자리한 수선암.
산자락을 거슬러 수선암에 올라 조망한 병바위 일대
클라이머들이 암벽 훈련을 위해 찾는'할매바위'
고창 아산초등학교에서 만난 귀염둥이
수 일 전,
청주 두어 병을 들고 축령산 너머 고수면 칠성마을을 찾아갔었다.
수랑골을 온통 詩의 숲으로 조성해 놓으신 백여 고중영 시인을 모시고
가슴과 목젖을 간단하게 적셔볼 량으로.
그 자리에서, 선운사 동백연에 같이 가자는 선생님의 권유가 있었는바
그 날이 바로 오늘이라.
경내에 들어서니 백일장에 온 학생들로 온통 북적북적.
고사리 손으로 그림을 그리는 유치원 꼬맹이서 부터
친구 등을 책받침 삼아 또박또박 글을 써 대는 아이,
하늘을 올려다 보며 나름대로 시심을 가다듬는 녀석 등등...
왁자지껄 속에서 다가온 점심 시간.
염치 불구하고 절집 비빔밥 한 그릇을 뚝딱 비워냈는데
그 고추장 맛 한 번 예술이더라.
산자락 여기저기 하얗게 피어난 산벗꽃에다
겨울을 대표한다는 붉은 동백꽃의 어울림이라....!
원래 선운사 동백은 늦게 피는 것으로 소문이 났지만
가만 살펴보니 지금이 초 절정인 듯.
절을 빠져나와 이동한 곳은 아산면 반암마을.
얼마전 고창 아산초교 뒷편 '두암초당'을 찾았을 때
이른바 '금반옥호'혈에 썼다는 초계변씨 무덤을 못 찾고 돌아왔었다.
아산초교 뒷편에 당도하여 지세를 살피고 있는데
교직원으로 보이는 분께서 묻는다.
"명당 찾아 오셨습니까?"
" ...... 아, 예 ~~~ "
졸지에 내가 풍수쟁이가 돼 버렸구나.
초계변씨 무덤을 아느냐고 물으니 모른다는 대답.
그 대신 조금 떨어진 쪽의 바위를 가리키며 , 저것이 '소반바위'란다.
그렇다면 애긴 끝났다.
바로 그 '소반바위' 어디쯤에 묘가 있다는 얘긴 진즉에 들었기 때문.
오솔길로 이어진 길을 따라 묘역에 당도하니
다른건 몰라도, 일단 분위기가 편안하다는 것 쯤은 담박에 느낄 수 있겠다.
분위기를 살피는 것 말고는 아는게 일체 없는지라
그저 묘비 앞에서서, 눈에 들어오는 아는 글자 몇 개만 더듬거려 본다.
이 곳까기 찾아왔으니 '금반옥호'에 누워계신 초계변씨 혼령들과
이른바 '동기감응' 이라도 한 번 신청 해 봐야 하는것 아녀...?
눈을 감고 한참을 기다려봐도 도무지 종무 소식.
점잖게 돌아가라는 말씀으로 알고 산을 내려서는데 마음이 개운하다.
이윤즉.
장소의 궁금증 만이라도 해소 했기 땀시로.
젠장 ~~
이눔의 궁금증 못참는 버릇은 언제나 고쳐질려나.....
'자연 > 산행·여행·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유도 스케치 (0) | 2009.05.03 |
---|---|
춘림한담 (春林閑談) / 운암산 (0) | 2009.04.20 |
봄날의 유혹 (0) | 2009.04.17 |
용틀임과 봉황의 비상 / 용봉산 (龍鳳山) 수암산(秀岩山) (0) | 2009.04.15 |
두암초당(斗巖草堂)을 찾아서 (0) | 2009.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