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산행·여행·풍경

식생植生)의 보고(寶庫) - 금오도 대부산

 

                         @ 금오도( 金鰲島 ) 대부산 (382m)

                    

                    @  다도해 금오열도 중 가장 큰 섬

                    @  함구미- 대부산 - 문바위 - 칼이봉 - 느진목 - 옥녀봉(260.8) - 검바위

                    @  약 4 시간 30 분 소요

                    @  2008, 4, 5 토요일 한식/식목일

 

 

종고산(195.5m)을 배경으로한 여객선 터미널을 빠져 나오면서...

  

 

 

금오열도

                                      돌산(突山)의 남쪽으로 쭉 뻗어있는 여러 섬들을 일컬으며

                                      화태도, 대두라도, 소두라도, 나발도, 대횡간도, 소횡간도, 금오도, 안도, 연도, 대부도,

                                      소부도, 삼도, 형제도, 수항도 및그 밖의 여러 섬들을 통틀어 말한다.

 

                                      유인도, 무인도를 합쳐 무려 30 여개의 섬의 군락을 자랑한다.

                                      남면에 속하는 모든 섬들이 바로 금오열도에 속한다.

                                      횡간도 옆으로 횡간수도가 펼쳐져 있고 그 아래로 금오수도가 열려있어

                                      금오열도를 아름답게 수놓는다.

 

                                      돌산 향일암이 있는 금오산 정상에서 남쪽 바다쪽을 보면

                                      환상적으로 펼쳐진 섬들의 나열이 바로 금오열도다.

 

                                      금오열도는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화태도, 나발도, 두라도, 대횡간도,소횡간도가

                                      그림처럼 펼쳐진다. 금오열도 중에 가장 큰 금오도에는 대부산(382m), 옥녀봉(261m),

                                      망산(344m) 등이 솟구쳤고 기암절벽과 갯바위로 장식된 해안선도 그림 같다.

 

                                      금오도 동남쪽에는 아늑한 해수욕장을 품은 안도가 떠 있고, 안도 남쪽으로는 솔개처럼

                                      생긴 연도(소리도)가 이어져 금오열도의 끝자락을 다듬으며 남해를 아름답게 수놓는다.

                                                - 옮겨온 글 -

 

 

금오도

                                                               금오열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모습이 자라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대부산(382m)·망산(344m)·옥녀봉(261m) 등의 산을 품고 있어 숲이 울창하다.

                                                               사슴이 떼지어 살아 조선 말 명성황후는 이 섬을 사슴목장으로 지정하기도 했다고.

 

 

함구미에서 배를 내리자마자 만나게 되는 마을 뒷편의 돌담길

시누대와 각종 덩굴이 돌담과 어우러진 모습이 어떻게나 정겹던지 

감상하는  발걸음이 한없이 느려질 수 밖에 없었다.

 

 

돌담을 휘감는 이런 아름다움을 외면하고

 어찌 쉬, 발걸음이 떨어질 수 있단 말인가...?

 

 

호남지리탐사회의 양흥식 대장님도 돌담의 정취에 흠뻑 빠지신 듯...

 

 

시야가 트이는 곳에 올라와 내려다 본 함구미 부두

 

 

개별꽃의 아름다움에

요내, 산적의 눈빛도 반짝 반짝.***** ?

 

 

제비꽃도 반기고..

 

 

옥녀꽃대

 

 

구슬붕이에다

 

 

산자고의 우아함까지

 

 

꿩의 바람꽃의 단아함에다 

 

 

현호색의 여린 내력에 이르기까지

 

 

모두다 ,미쓰 전북은행의 들러리일 뿐이라....!

 

 

두견화 피어나는 언덕에서 바다를 조망하니,

 

 

인생사 아옹다옹 무슨 의미가....?

 

 

미쓰 전북은행도 빵끗이요 진달래도 빵끗이라

이 분위기에다 두견주 한 잔 이면 세상사 모두가 빵끗일 터...

 

 

오늘,

호지탐의 양흥식 대장님께서도 유달리 봄을 타시는 듯...!

 

 

소사나무를 비롯, 구슬잣밤나무, 동백, 비자, 광나무 등등의 난대성 수림이  울창한 숲 속으로...

 

 

 문바위

 

 

 

증명사진도 한방

  

 

그윽하기 그지없는 보춘화의 향에 걸음을 멈추지 않을 수 없고..

 

 

심지어는 퀴퀴한 광나무 향 까지도 묘한 매력으로 코 끝을 자극합니다

 

 

청초함의 대명사, 남산제비꽃은 어떻습니까?

 

 

 미의 사절이  대부산을 다녀간 후

금오도 산신령님과 용왕님 모두 무척 행복해 하셨다는 후문  ^*^

 

 

참고로,

한시절,  전복 양식으로 가장 앞서 갔던 곳이 바로 이 곳 금호도 였다는 사실도 기억 해 주시길..

 

 

선녀 선남이란 표현은 바로 이럴 때 쓰는 뱁이라..

 

 

산벗꽃의 우아함 

 

 

연락선을 기다리며 ...

 

 

바닷가 어느 집 뜰에 피어난 배꽃

 

 

겹도화

 

 

수리딸기

 

 

살갈퀴 

 

 

귀항의 낙조

 

 

온통 황금빛으로 채색된 바다를 보면서 오늘의 산행을 복기 해 본다.

남녘 섬  특유의 난대림으로 울창한 식생을 보여주는 금오도 대부산

섬 전체가 온통 짙은 봄 향기로 가득 휩싸여 있었다고나 할까?

 

산을 오르는 초입부터 산행 내내 나타나는 울창한 동백숲과 비자림 등

다양한 수종과 건강한 식생,

벌린 입이 다물어지질 않고 감탄사 연발이었다.

 

섬 산행 치곤 그리 짧지 않은 코스에다 전혀 지루하지 않은 모습이

연이어 나타나니

당연히 A 급 산행코스로 손색이 없다 하겠다.

 

울창한숲이 연달아 이어지니만큼 한 여름 산행 코스로도 훌륭하다 하겠다.

형용키 어려운 보춘화의 향기가  지금도 내 코 끝에 계속해서 머무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