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피안사'
화개산 도피안사 일주문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神興寺)의 말사.
865년(경문왕 5)에 도선(道詵)이 향도(香徒) 1,000명과 함께 이 절을 창건하고
삼층석탑과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봉안하였다.
『유점사본말사지(楡岾寺本末寺誌)』에 수록되어 있는 사적기에 의하면,
도선이 철조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여 철원의 안양사(安養寺)에 봉안하려고 하였으나,
운반 도중에 불상이 없어져서 찾았더니 도피안사 자리에 안좌하고 있었으므로
절을 창건하고 불상을 모셨다고 한다.
도선은 이 절을 800의 비보국찰(裨補國刹) 중의 하나로 삼았으며,
화개산이 마치 연꽃이 물에 떠 있는 연약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석탑과 철불로 산세의 약점을 보완하여 국가의 내실을 굳게 다지고 외세의 침략에 대비하였다고 한다.
오래도록 국가의 비보사찰로 명맥을 이어오다가 1898년 봄에 큰 화재로 전소된 뒤
주지 월운(月運)이 강대용(姜大容)의 도움을 받아 법당을 짓고 불상을 봉안하였으며,
승료(僧寮)와 누헌(樓軒) 등을 중수하였다.
6·25 때 소실된 뒤 주지 김상기(金相基)가 중건하였으며,
1959년에는 15사단 장병들이 법당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과 요사채가 있으며,
문화재로는 창건 당시 조성된 국보 제63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보물 제223호인 삼층석탑이 있다.
- 백과사전 인용 -
사천왕상
피안(열반의 세계)에 이르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을 친견키 위해 새벽 안개를 뚫고 절에 이르고 보니
'피안'의 의미가 스믈스물 피어오르는 모습.
이 철불을 보기 위한 원력을 세운지 수 십년.
예전엔 민통선 너머라 출입이 불가였고, 세월이 흘러 출입이 허용되었으나
이런저런 사유로 미적거리다 오늘에야 겨우 찾아온 것.
그간 장흥 보림사 철불에 워낙 눈이 익어서인지
막상 도피안사 철불을 첨 본 느낌은 생각보다 크기가 아담하더라는 사실.
연화대에 좌정한 비로자나불에서 가히 천 년의 더께를 유추해 보는데.
보살 하나가 이 좌상 앞에 앉아 갈라지는 톤으로 끝없이 '비로자나불'을 외고 있었다.
그것도 절절한 염원이 담긴, 마치 나의 기도를 들어 주지 않으면
마치 이 자리에 망부석이라도 되고 말겠다는 기세의 연속.
그 쇳소리의 연속음은 이내 좌상 탐방에 가히 적지않은 방해 요소로 작용.
모름지기 국보라는 타이틀이 붙은 유물을 친견키 위해서는
'적요'(寂寥) 등이 필수 요건 이었기에...
옆 벽면으로 시선을 돌리자니, 한국전쟁 시 '백마고지' 전사자들의
명단이 주욱 적힌 모습이 눈에 들어 온다.
백마고지는 이곳 도피안사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기에
아마도 이곳에 희생자 분들을 모시게 되었을 터.
전각 안의 비로자나불 앞에 오래 버티지 못하고 내려선 마당에
다소 묘한 형태의 석탑이 물끄러미 나를 바라보는 듯.
어떤 문화 유산을 단 한번 들여다 보고 다 보았노라는 시건방은
절대 통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기 간파한 지 오래.
인연이 닿는대로 자주 찾고 또 찾아 오리라.
도피안사 앞쪽에 복원한 뉴 페이스 철원 향교.
명륜당 뒷편으로 대성전이 있을터인데
향교 대문이 꽁꽁 잠겨있어...
동재, 서재를 비롯한 일반 향교와 십시일반인 건물 배치.
다시 안갯속을 헤쳐 기나긴 남녘길로...
당도한 곳은 영광 백수해안도로
법성포에서 백수해안도로를 잇는 영광대교를 건너와서...
해안도로 아랫쪽 천년초 밭.
보통의 우리네에겐 선인장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