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선과 색 展 I

 

 

 

 

 

 

17세기 서양미술

바로크와 고전주의

 

코르넬리스 드 보스 (1585-1651) 앙리 4세의 승리

패널에 유채, 35×47.7cm, 랭스 미술관, 랭스

 

이 작품은 밑그림이지만 시체 주변의 붉은 핏자국, 초록빛이 도는 살색, 왼쪽의 연보랏빛 하늘 등

섬세하고 풍부한 색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P . L.C.

 

 

 

 

피터 반 몰 (1599-1650) 십자가에서 내려진 예수 

캔버스에 유채, 213.5×151.5cm, 랭스 미술관, 랭스

 

반 몰이 이탈리아 화가 카라바조에 심취한 초년기 작품으로 평가된다고.

 

 

 

 

니콜라스 모이예르트 (1592-1655) 나사로의 부활

1652년 경, 캔버스에 유채, 85.9×107.8cm, 랭스 미술관, 랭스

 

신약성서를 주제로 한 도상화의 전통적 주제다.

 

 

 

 

멜키오르 드 혼더쿠터 (1636-1695) 소녀와 공작새

1680년경, 캔버스에 유채, 127.8×181.8cm, 랭스 미술관, 랭스

 

 

 

 

 

아코프 요르단스 (1593-1678) 노인의 이중 초상화 습작

캔버스에 유채, 46.1피카르디 미술관, 아미엥

 

두상을 각기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두 얼굴은 서로를 마주하고 있는 듯하다.

반 다이크가 세운 아틀리에를 다닌 직후의 초년 화가 시절 작품으로 보인다.

 

 

 

 

야코프 요르단스 (1593-1678) 사티로스

캔버스에 유채, 95.2×100.5cm, 랭스 미술관, 랭스

 

루벤스의 <목신의 요정>을 부분적으로 모사한 듯하다.

사티로스는 루벤스와 요르단스의 작품에 자주 등장한다.

 

 

 

 

얀 바티스트 비닉스 (1640-1719) 사냥

1701, 캔버스에 유채, 120×97cm, 랭스

 

 

 

 

아드리안 반 데르 베르프 (1659-1722) 삼손과 데릴라

패널에 유채, 40.5×33.7cm, 랭스 미술관, 랭스

 

 

 

 

샤를 알퐁스 뒤프레누아 (1611-1668) 스키로스의 아킬레우스

1635년경, 캔버스에 유채, 133.5×178.6cm, 랭스 미술관(루브르 미술관 위탁), 랭스

 

아킬레우스가 빠지면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인들이 승리할 수 없을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오디세우스는

스키로 섬으로 간다. 아킬레우스는 트로이에서 죽을 것이라는 신탁을 듣고 여자로 가장하여 스키로스 섬의 왕

리코메데의 궁정에서 공주들 사이에 숨어 지내고 있었다. 오디세우스가 보따리를 풀고 보석을 꺼내 보이면서

무기를 하나 슬쩍 들어 보이자, 아킬레우스는 자기도 모르게 선물 보따리에서 칼을 집어 든다.

여자로 분장했지만, 용사의 피는 속일 수는 없었던 것이다.

 

 

 

 

자크 블랑사르 (1600-1638) 클레오파트라의 죽음

1630년경, 캔버스에 유채, 109.9×145.8cm, 랭스 미술관, 랭스

 

1636년 왕의 공식화가로 지명되었던 블랑샤르는 색의 구성법에 관하 논쟁이 터졌을 때

루벤스 화파의 절대적 지지자임을 자처한 바 있다.

 

 

 

 

 

세바스티엥 부르동 (1616-1671) 다리가 있는 풍경

1640-1650년 경, 캔버스에 유채, 40.5×60.5cm, 랭스 미술관, 랭스

 

 

 

 

가스파르 뒤게 (1615-1675) 폭풍

1655-1658년 경, 캔버스에 유채, 73×10.5cm, 랭스 미술관, 랭스

 

 

 

 

니콜라 푸생 (1594-1665) 두 발을 적시고 있는 여인과 풍경

1650년, 캔버스에 유채, 117.9×172.3cm, 랭스 미술관. 랭스

 

원경을 푸른 색조로 처리하는 것은 15세기 풍경화의 전통이다. 그러나 세정 작업을 하면서 채색층이 마모되었고

이 때문에 붉은색 밑칠이 노출되어 그림이 어두운 톤을 띠게 되었다 자연 풍경을 통해 사색과 명상으로

이끄는 고전 풍경화의 전형적 특징을 보여준다. P.L.C

 

 

 

 

르 냉 (형제) 농부들의 식사

캔버스에 유채, 106.5×120.8cm, 랭스 미술관(루브르 박물관 위탁), 랭스

 

 

 

 

 

쟈크 레스탱 (1597-1661)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애도

캔버스에 유채, 161×219cm, 랭스 미술관, 랭스

 

 

 

 

시몽 부에 (1590-1649) 성모 승천

1644년, 캔버스에 유채, 197.3×130cm, 랭스 미술관, 랭스

 

이 작품은 1644년 파리 루아얄 궁전의 안 도트리슈를 위한 기도실을 장식하려고 그린 것이다.

 

 

 

 

로랑 드 라이르 (1605-1656) 이삭을 제물로 바치는 아브라함

1650년, 캔버스에 유채, 96.4×121.2cm, 랭스 미술관, 랭스

 

비극의 순간을 그림의 시점으로 골랐다. 그러나 미묘한 조화와 의미를 주면서도

무광택의 붉은 색조와 풍경은 그림의 극적인 긴장을 완화하고 있다.

 

 

 

 

장 엘라르 (1618-1685) 클로비스 왕의 세례

1670년, 캔버스에 유채, 166×131.5cm, 랭스 미술관, 랭스

 

 

 

 

리에르 미나르 (1612- 1695) 동정녀 마리아를 그리는 성 루가

1630년 경, 캔버스에 유채, 123×102cm, 투루아 역사박물관(루브르 미술관 위탁), 트루아

 

화가의 사인을 남기고 있지만 미완성인 이 그림은

미나르 아틀리에 소속의 다른 화가에 의해 완성된 듯 하다.

 

 

 

 

(좌) 샤를 르 브룅 (1619-1690) 앙리에트 셀랭카르, 이스라엘 실베스트르의 아내

1670년 경, 패널에 붙인 마분지에 파스텔, 56.5×45cm, 랭스 미술관, 랭스

(우) 샤를 르 브룅 앙리에트 셀랭카르, 이스라엘 실베스트르의 아내

1680년, 종이에 흑연, 36.5×25.9cm, 랭스 미술관, 랭스

 

 

 

 

샤를 르 브룅 앙리에트 셀랭카르, 이스라엘 실베스트르의 아내

1680년, 철판에 지탱한 대리석에 유채, 56×42.5cm, 랭스 미술관, 랭스

 

 

 

 

레옹 마티유 코슈로 (1793-1817) 프랑스 건축박물관의 17세기 전시실 전경

캔버스에 유채, 69×55.7cm, 랭스 미술관, 랭스

 

이 그림의 배경이 되는 전시실의 뒤쪽 벽면에, 위 쪽 샤를 르 브륑이 대리석에 그린

앙리에트 셀랭카르의 초상화가 걸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8세기 서양미술

로코코 양식

 

 

앙투안 쿠아펠 (1661-1722) 실레노스의 얼굴을 산딸기로 물들인 에글레

캔버스에 유채, 148.8×115.8cm, 랭스 미술관 (루브르 미술관 위탁), 랭스

 

고대 회화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를 담고 있는 이 작품은 베르길리우스의 <전원시> 중 한 편을 인용한 것이다.

태양왕 룽 14세가 그의 아들 루이 드 프랑스(1695-1711) 에게 넘겨준 뫼동 성 식당 문 위쪽을 장식하기 위해

1700년 다른 3점의 그림과 함께 주문한 것이다.

 

 

 

 

조세프 베르네 (1714-1789) 해안 풍경

캔버스에 유채, 40.8×48.9cm, 랭스 미술관, 랭스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 (1732-1806) 유언(밑그림)

캔버스에 유채, 갈색 단색화, 53.9×64.6cm, 랭스 미술관, 랭스

 

 

 

 

프랑수아 부세 (1703-1770) 목동이 있는 풍경

1745-1750, 캔버스에 유채, 89×121cm, 캉 미술관, 캉

 

 

 

 

니콜라 페르스발 (1745- 1837) 랑글루아 드 팔레즈 부인과 딸

캔버스에 유채, 139.1×108cm, 랭스 미술관, 랭스

 

 

 

작가미상 루이 15세의 딸 아델라이드 부인의 초상(추정)

18세기, 캔버스에 유채, 35.5×30.5cm, 타원형, 랭스 미술관, 랭스

 

 

 

 

리에 루이 페랭 살브르 (1753-1817) 마드무아젤 뒤떼 (밑그림)

1776, 캔버스에 유채, 55.6×46.3cm, 랭스 미술관, 랭스

 

 

 

 

리에 루이 페랭 살브르 (1753-1817) 마드무아젤 드르마르

1812년, 캔버스에 유채, 46.6×38.1cm, 랭스 미술관, 랭스

 

 

 

 

루이 부알리 (1761-1845) 여인의 초상

캔버스에 유채, 21.5×17cm, 랭스 미술관, 랭스 

 

 

 

 

조세프 비앵 (1716-1809) 잠든 수도자

1751년, 캔버스에 유채, 98.7×135.5cm, 랭스 미술관, 행스

 

1751년 미술원 위원회에 제출되었으나 흥미 위주의 졸작이라는 혹평을 받았다.

궁정 수석화가로 임명받은 비앵은 특히 역사화에 집중했고, 소묘와 정확한 윤곽선을 중시하며

프랑스 미술을 크게 쇄신했다는 평가다. D.L

 

 

 

 

장 시몽 베르텔레미(1743-1811) 젊은이들에게 설교하는 소크라테스

1784년, 캔버스에 유채, 50.4×74.5cm, 랭스 미술관, 랭스

 

 

 

 

 

샤를 에두아르 쉐즈(1759-1798) 메데이아게 아버지의 회춘을 간청하는 펠리아스의 딸들

캔버스에 유채, 81.5×1.6cm,랭스 미술관, 랭스

 

 

 

자크 루이 다비드 (1748-1825) 마라의 죽음

1783년경, 캔버스에 유채, 111.3×85.6cm, 랭스 미술관, 랭스

 

프랑스 혁명을 상징하는 그림들 중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그림의 주제는 공포정치 체제를 만든 형명가 장 폴 마라가 혁명에 반대하는

샤를로트 코데에 의해 욕실에서 살해당한 장면을 재현하고 있다.

 

 

 

에마블 파네스트 (1790-1819) 검투사

1813년, 캔버스에 유채, 100.1×81.3cm, 랭스 미술관,랭스

 

파네스트는 다비드의 제자였던 장래가 유망한 화가였지만 1819년 요절하고 만다.

작품의 제작 연대를 감안하ㅏ면 이 그림은 다비드의 감독하에 실행되었고,

파네스트가  다비드의 학생이었던 시기임을 짐작케 한다.

 

 

 

 

19세기 서양미술

신고전주의에서 상징주의

 

외젠드라크루아 1798-1863) 수산나와 두 장로 (밑그림)

1854년경, 마분지에 유채, 31.1×24.8cm, 랭스 미술관, 랭스

 

들라크루아의 <목욕하는 여인> 과 유사하다.

그림의 주제는 '수산나와 두 장로'라는 성서 이야기다.

 

 

 

 

외젠 들라크루아 (1798-1863) 플로니우스의 주검 앞에선 햄릿

1854-1856년 4월, 캔버스에 유채, 59.5×48.1cm,랭스 미술관, 랭스

 

 

 

 

아리 세페르 (1795-1858) 1826년 경, 술리 지방의 여인들

1826년 경, 캔버스에 유채, 24.9×32.8cm, 랭스 미술관, 랭스

 

루브르 미술관 소장의ㅣ <술리 지방의 여인들> 을 위한 초안으로서 1827년 들라크루와의

<사르다나팔루스의 죽음>과 앵그르의 <호메로스 예찬> 이 출품된 살롱에서 벌어진 낭만주의와

고전주의간의 논쟁을 상징하는 걸작 중 하나이다.

 

 

 

 

 

테오도르 사세리오 (819-1856) 포로

캔버스에 유채, 46×38.6cm, 랭스 미술관, 랭스

 

사세리오가 여성에 관심이 많았던 점은 스승인 앵그르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앵그르는그만의 독특한 선에 대한 감각으로 인체를 그리는 데 파행을 무릅썼다.

 

 

 

 

장 빅토르 베르탱 (1775-1842) 풍경

1820년, 캔버스에 유채, 39.2×46.1cm, 랭스 미술관(루브르 미술관 위탁), 랭스

 

신고전주의 풍경화가 피에르 앙리 드 발랑시엔의 제자인 베르탱은 소묘를 중심으로 하는 푸생의 교육을

19세기에 계승한 화가이다. 베르탱은 프랑스 혁명과 왕정복고 사이의 가장 중요한 풍경화가로 꼽힌다.

 

 

 

 

아쉴 에트나 미샬롱 (1796-1822) 물레방아

캔버스에 부착된 종이 위에 유채, 37.5×26.6cm, 랭스 미술관, 랭스

 

신고전주의 풍경화의 대표적 화가로 1817년 첫 번째 역사풍경화 부분의 로마 상을 수상한

미샬롱은 17세기 이후 소묘를 중시한 고전주의 미술의 원칙에 충실했다.

 

 

 

 

카미유 코로 (1796-1875) 빌라 메디치의 분수대

1825-1828년, 켄버스에 유채, 18×28.8cm, 생스 미술관, 랭스

 

로마에 있는 프랑스 아카데미의 분수대는 이탈리아 문화에 심취해 그곳에서 교육 받은

프랑스 예술가의 상징물이다. 로마 상을 받은 프랑스 예술가들은 1803년 로마 핀초 언덕

위에 있는 메디치 추기경의 옛 저택 안에 세워진 아카데미에 머물렀다.

 

 

 

 

카미유 코로 시냇물

1860-1870년 경, 캔버스에 유채, 55.7×41.6cm, 랭스 미술관, 랭스

 

 

 

 

조르주 미셀 (1763-1843) 파리 근교의 전경

캔버스에 유채, 55.6×74.9cm, 랭스 미술관, 랭스

 

미셀의 그림은 플랑드르 화파와 네델란드 화파의 풍경화를 연상시킨다.

오후 산책을 하면서 자연을 세심히 관찰했던 미셀은 불과 몇 분만에

그림을 완벽하게 그려낼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D.L

 

 

 

 

폴 위에 (1803-1869) 르 상시 지옥의 계곡

1847년 캔버스에 유채, 67.2×102.8cm, 랭스 미술관(루브르 미술관 위탁), 랭스

 

이 그림의 배경인 오베르뉴 지방은 19세기 풍겨화가들이 애정을 가졌던 지역 중 한 곳이다.

그림 전경에 요동치는 급류의 물살은 흰색으로 표현된 하이라이트 효과 덕분에

보는 이를 향해 쏟아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나르시스디아스데 라 페냐 (1807-1876) 퐁덴블로 숲

1874년, 패널에 유채, 39.3×57.3cm, 랭스미술관, 랭스

 

퐁덴블로 숲은 19세기의 회화 혁명을 잉태한 장소이다.

또한 신고전주의 시대에서 인상주의에 이르기까지 풍경화가들에게 깊은 영감을 불러일으켰다.

 

 

 

나르시스 디아스데 라 페냐 오리엔탈 여인

두꺼운 마분지에 유채, 19.9×13.5cm, 랭스 미술관, 랭스

 

 

 

 

나르시스 디아스 데 라 페냐 에로스의 위로

마분지에 유채, 19.7×13.7cm, 랭스 미술관, 랭스

 

 

 

 

구스타브 쿠르베 조각가 마르셀로 (카스티글리오네-콜로나 공작부인)

1870년, 캔버스에 유채, 60×49.3cm, 랭스 미술관, 랭스

 

 

 

 

구스타브 쿠르베 좁은 길

캔버스에 유채, 32.7×41.2cm, 랭스 미술관, 랭스

 

이 그림에서는 상이한 자연 요소들이 융합되어 풍경을 이루고 있다.

소묘가 개입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쿠르베의 미학적 관점은 캔버스 위에 직접 팔레트 나이프를 사용해서

얻은 것으로, 당시로서는 상당히 혁명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D.L.

 

 

 

 

샤를 도비니 (1817-1878) 케리티 마을 입구

1871년, 캔버스에 유채, 46.6×82.8cm, 랭스 미술관, 랭스

 

 

 

 

요한 바르톨드 융킨스 (1819-1891) 네덜란드의 지는 해

1868년, 캔버스에 유채, 33.5×46.7cm, 랭스 미술관, 랭스

 

 

 

구스타프 도레 (1832-1883) 새벽 : 알프스의 추억

1880년경, 캔버스에 유채, 120×174.6cm, 랭스 미술관, 랭스

 

산행을 좋아했던 도레는 1879년과 1881년, 생의 마지막에

알프스를 두 차례 여행하면서 이 그림을 그렸다.

 

 

 

 

외젠 부댕 (1824-1898) 브르타뉴 지방

1895-1897년, 캔버스에 유채, 64.5×90.5cm, 앙드레 말로 미술관, 르 아브로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문화 일별  (0) 2021.01.22
선과 색 展 II  (0) 2021.01.21
방들의 실내악  (0) 2021.01.18
화조화花鳥畵  (0) 2021.01.17
박래현 III  (0) 2021.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