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세상을 바꾼 사진

 

루이 다게르Louis Daguerre가 발명한 은판 사진 기술을

1839년에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가 인정하면서 사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사실 비공식적인 사진의 역사는 그로부터 최소 12년 전에, 조세프 니세포르 니에프스가

 '빛으로 그린' 불안정한 이미지를 처음 손에 넣으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위대한 발명품이 종종 그러하듯이

사진의 발명과 관련해서도 많은 논쟁과 '반反 역사'가 존재한다.

 

어찌됐건 이 새로운 기술이 19세기 전반에 프랑스와 영국에서 유래되었고,

그때부터 놀라운 속도로 국경과 대륙을 넘어 전파되었다는 사실이다.

 

아래 사진들은 지난 1세기 반 동안 벌어진

중요한  순간들을 기록한 것들로 우리에게 대부분 익숙한 내용이다.

 

 

 

 

 

 

스티브 매커리Steve McCurry, 「아프간 소녀」, 1984년.

아프가니스탄이 피비린내 나는 소련의 침공을 견디던 시기, 페사와르 난민 수용소에 있던 열두 살 소녀를 담은 것이다.

 

 

 

 

 

 

 

대륙 횡단 철도앤드루 J. 러셀. 1869년 5월 10일,  미국 유타주 프로먼토리 서밋에서 샌트럴 퍼시픽 철도 소곡 기관차 주피터 호와 유니언 퍼시픽 철도 소속 119호가 만나 미국 최초의 대륙 횡단 철도가 완성된 역사적 순간을 담은 것이다.

 

 

 

 

 

 

 

 

 

 

에펠탑과 박람회앙리로제 비올레 1889년의 파리는 전 세계의 중심지였다. 이 행사를 위해 구스타브 에펠이 건축의 역사를 바꿔놓은 탑을 설계한 것.

 

 

 

 

 

 

대서양을 횡단한 무선 전신

1901년 12월 - 캐나다 뉴펀들랜드

 

1901년 12월, 사진술이  확실히 자리를 잡기는 했지만 아직 예술적인 표현 수단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다.

왼쪽은 스물일곱살의 이탈리아 출신 과학자이자 발명가인 굴리엘로 마르코니다. 앉아 있는 이는 그의 영국인 조수

조지 켐프다. 마르코니는 이 발명을 1909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게 된다.

 

 

 

 

 

 

 

아인슈타인과 상대성 원리

1905년 - 스위스 베른

 

 

 

 

 

 

여성 참정권을 위한 투쟁

 

 

 

최초의 해협 횡단 비행1909년 7월 25일 - 영국 도버

 

 

 

 

 

 

북극에 간 로버트 피어리1909년 - 캐나다 엘즈미어섬

 

 

 

 

 

 

남극 정복

1911년 12월 14일 - 남극 대륙 극점

아문센이 스키를 신고 썰매 옆에선 모습으로 노르웨이 국기가 휘날리고 있다.

 




 

 

 

최초의 이동식 조립 라인

1913년 - 미국 미시건주 대트로이트 포드 공장

 




 

 

 

제1차 세계대전의 독가스 공격

1915년 4월 22일 - 벨기에 이프르

 

실제 상황을 찍은 것이 아닌 연출 사진이다. 1918년 미 육군 공병대 소속의 에버츠 트레이시 소령이 찍은 것으로 방독면 착용에 대한 교육용이다.

 

 

 

 




 

 

 

레닌이 적군에게 한 연설

1920년 5월 5일, 레닌이 모스크바 중심부에 있는  테아트랄나야 광장에서

적군을 상대로 연설하는 모습이다.

 

 

 

 

 

 

투탕카멘 왕의 무덤 개장

이집트 왕가의 계곡

 

이 사진은 최초의 내부 조사를 기념하기 위해 1922년 11월 25일에 찍은 것이다.


 

 

 

최초의 대서양 단독 횡단 비행린드버그는5,800킬로미터를 논스톱으로 날아 1927년 5월 21일 오후 10시 22분에 파리 르부르제 공항에 착륙했다.

 

 

 

 

 

 

 

 

대공황1924년 10월 24일에 찍은 작자 미상의 이 사진이 이튿날 『런던 헤럴드』1면에 실렸다.

 

 

 

 

 

 

 

나치 전당대회1936년 9월 8일~9월 14일

 

 

 

 

 

 

폐허가 된 의회 건물에 선 처칠1941년 5월 11일 - 영국 런던

 

 

 

 

 

바르샤바의 게토 파괴1943년 4월~5월 폴란드 바르샤바

 

 

 

 

 

얄타 회담1945년 2월 4일 - 구소련 얄타

 

 

 

 

 

 

이오지마 전투1945년 2월~3월 - 일본 이오지마

 

 

 

 

 

 

히로시마의 모자1945년 12월 - 일본 히로시마

 

 

 

 

 

식민지였던 인도가 독립하기까지1947년 8월 14일~8월 16일 - 인도 델리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이 기록한 사진이다. 사진 앞쪽에슨 마운트베튼 경이 자리 잡고 있다. 그의 시선은 서류를 향하고 있고, 지금 자기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에 관심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 옆에서는 그의 아내 에드워나 와 네루가 마주 보고 대화를 나누면서 은근한 친밀감을 드러낸다.

 

 

 

 

 

모택통의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선언1949년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DNA 이중 나선 모형사진 속의 두 젊은이(왼쪽이 왓슨, 오른쪽이 크릭)가 케임브리지 대학의 캐번디시 연구소에 설치된 3차원 DNA 모델 옆에 서 있다.

 

 

 

 

 

 

에베르스트 정상에 선 힐러리와 텐징1953년 5월 29일 - 네팔 히말라야 산맥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

1953년 6월 2일 - 영국 런던

 

 

 

 

 

 

로자 파크스와 시민 불복종1956년 12월 21일 - 미국 엘라베마주 몽고메리

 

 

 

 

 

피델 카스트로의 아바나 입성

1959년 2월 8일 - 쿠바 아바나

 

 

 

 

 

중국 군대에 항복한 티베트 반군

1959년 3월 - 중국 티베트 라싸

 

 

 

 

 

 

부엌 논쟁1959년 7월 24일 - 소련 모스크바

 

 

 

 

 

 

베를린 장벽1961년 9월 - 독일 연방 공화국 베를린

 

 

 

 

 

 

틱꽝득의 희생1963년 6월 11일 - 남베트남 사이공

 

 

 

 

 

존 F, 케네디의 장례식1963년 11월 25일 -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

 

 

 

 

 

 

버킹엄 궁전에 간 비틀스1965년 10월 26일 - 영국 런던

 

 

 

 

 

손을 내밀다1966년 10월, 베트남. 영국의 사진작가 래리 버로우스가 찍은 이 완벽한 사진은 지옥의 한 장면을 순수한 감정과 인간애로 가득한 엄숙한 그림으로 탈바꿈 시켰다.

 

 

 

 

 

 

꽃을 든 소녀1967년 10월 21일 - 미국 워싱턴 D.C

 

 

 

 

 

프랑스 5월 혁명1968년 5월 6일 - 프랑스 파리

 

 

 

 

 

프라하 침공

1968년 8월 21일 -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

 

 

 

 

 

 

올림픽에서 흑인 민권 운동 저지1968년 10월 16일 - 멕시코 멕시코시티

 

 

 

 

 

달에 간 인간1969년 7월 20일

 

 

 

 

 

 

피의 일요일1972년 1월 30일, 프랑스 사진작가 질 페레서는 영국 정부의 억압 정책과 그들이 경찰에 부여한 독단적인 권력에 반대하기 위해북아일랜드 데리 시내에서 거행된 시위행진에 참석했다.   비록 행진 허가를 받지 않았지만 시위는 평화롭게 진행되고 있었고.1만 명 넘는 시위 참가자는 대부분 젊은이였다. 영국군이 군중을 공격하고 총격을 가해 총 13명이 사망했다.

 

 

 

 

 

 

 

이란으로 돌아온 호메이니1979년 2월 1일 호메이니가 테헤란 공항에 내린 모습이다.국왕은 두어 주 전에 이슬람 혁명의 압박을 피해 달아난 상태이므로, 77세의 시아파 지도자가이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돌아온 것이다.

 

 

 

 

 

 

 

킬링필드1975년부터 1979년까지 캄보디아 폴 포트의 크메르루주 정권에 의해 당시 캄보디아 인구의 20%인 15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한다.

 

 

 

 

 

 

 

스티브 잡스와 매킨토시 128K1984년 자신의 발명품인 매킨토시를 선보이는 스티브 잡스. 역사상 최초의 맥Macdlek으로, 정계와 연예계 인물들을 주로 찍은 폴 버나드 갓프리드가 찍은 것이다.

 

 

 

 

 

 

 

베일을 쓰고 사격 연습을 하는 여성들테헤란 외곽에서 사격 연습 중인 여성들로 프랑스의 장 고미가 찍은 것이다.

 

 

 

 

 

 

 

탱크맨1989년 6월 5일 베이징 호텔에서 내려다 본 창안거리.제프 위드너가 찍은 것이다.

 

 

 

 

 

 

 

베를린 장벽 붕괴1989년 11월 9일 - 독일 베를린『라이프』특파원 알렉산드라 아바키안이 찍은 것이다.

 

 

 

 

 

 

 

넬슨 만델라 석방

1990년 2월 11일 -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제1차 아랍인 봉기

'제1차 인티파다'혹은 '돌의 인티파다Intifada of Stones' 라고 불리게 될 이 봉기는 1987년 12월에 시작되었다.

메그넘 포터스 소속으 아바스 아타가 1991년에 요르단강 서안 지구 북쪽의 제닌이라는 도시 인근에서 찍은 것이다.

 

 

 

 

 

 

 

팀 버너스리와 인터넷 발명

Worid Wide Web을 발명한 팀 버너스리는 커뮤니케이션의 혁명가로 자리매김 된다.

이 초상화는 미국인 로버트 실버스가 보스턴 MIT에 다니면서 고안한 사진 모자이크 기술을 이용해서 만든 것이다.

점묘법을 디지털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복잡한 작품으로, 이 안에는 엄청나게 많은 사진들이 들어 있다.

 

 

 

 

 

 

 

죽어가는 아이를 지켜보는 독수리

1993년 3월 - 수단 아요드

남아프리카 출신 케빈 카터는 오랫동안 자기 조국에서 벌어진 인종 격리 정책과 피비린내 나는 폭력을 기록했다.

이 극적인 사진을 보는 것은 그야말로 참을 수 없을 만큼 고통스러운 일이다.

일체의 속임수를 배제한 핵심적인 사진의 전형이다.

 

 

 

 

 

 

오슬로 평화 협정 서명

1993년 9월 13일 - 미국 워싱턴 D.C

이 사진을 찍은 데이비드 에이크는 언제나 역사 한 가운데 있는 사진작가다.

 

 

 

 

 

 

코소보 난민의 역경

1999년 5월 3일 - 아바니아 쿠커스

이 사진을 찍은 캐럴 구지는 2000년에 퓰리처상을 받았다.

 

 

 

 

 

 

참모들과 함께 기도하는 마수드

2000년 마이클 야마시타가 찍은 것으로 마수드가 건조한 언덕을 배경으로 서 있는 탱크 발치에서

자신의 충실한 추종자들과 함께 기도하는 모습을 담은 것이다.

 

 

 

 

 

 

파키스탄의 아프간 난민 수용소

탈레반이 장악한 지역에 살면서 아프간이 겪는 위기를 오랫동안 기록해온 독일 사진작가 토마스 드보르작이

2001년 8월 페샤와르 인근의 잘로자이 수용소에서 흰색 연을 날리는 어린아이를 찍은 것이다.

 

 

 


 

 

아들과 함께 있는 이라크 포로

비닐 두건으로 얼굴을 가진 남자가 이라크 남부 한 포로수용소에서 네 살 된 아들을 달래고 있다.

2003년 3월 31일 이라크 알 나자프에서 프랑스 사진작가 장 마르크 부쥐가 기록한 것이다.

2004년 세계 보도 사진전에서 올해의 사진상을 받은 것으로 아이들의 고통을 상징하는 사진이 되었다.

 

 

 

 

 

 

사담 후세인 동상 철거

2003년 4월 9일 영국의 사진기지 마이크 무어가 찍은 것이다.

 

 

 

 

 

 

이얀마의 사프란 혁명

2007년 9월 20일 롭 브라이언 기자가 찍은 사진으로

연료비를 다섯 배나 인상키로 한 것을 반대하는 승려들의 시위 현장을 담은 것이다.

 

 

 

 

 

 

아들을 찾아내 안고 있는 여인

2011년 10월 15일 - 예멘 사나

서로 반대되는 체구, 힘과 포기,빛과 그림자, 노출과 은폐, 사무엘 아란다가 찍어 2012년 세계 보도 사진전

올해의 사진상을 받은 것으로 단순하면서도 극도로 효과적인 색 대비로 이루어져 있다.

 

 

 

 

 

 

스레브레니차 대학살 추모일

2012년 7월 11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포토차리

학살이 자행되고 17년이 지난 뒤, 파올로 펠레그린이 너무 빨리 잊힌 공포를 기록하기 위해 포토차리 추모관을 찾았다.

이 관들은 살육 행위가 끝났다고 해서 혹은 마지막 희생자의 시신을 발굴한다고 해서

그것으로 집단 학살이 끝난 게 아님을 웅변한다.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

2013년 3월 13일 - 바티칸 시국. 루카스 올레니우크가 찍은 것이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 말랄라 유사프자이

2014년 12월 10일 - 노르웨이 오슬로

검은 머리에 붉은 산홋빛 베일을 두르고 가슴에 손을 얹은 젊은 파키스탄 여성이 연단에 서서 마이크를 마주하고 있다.

보도 사진작가 오드 안데르센이 위쪽에서 찍은 것으로 현장의 강렬한 감정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내게는 두 가지 선택권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침묵을 지키면서 죽을 때를 기다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거리낌 없이 내 의견을 말하다가 죽는 것입니다. 나는 두 번째를 택했습니다.

소리 높여 내 의견을 말하기로 한 것입니다."

 

 

 

 

 

 

 

샤를리 에브도 공격 후 벌어진 가두 행진

2015년 1월 11일 - 프랑스 파리

 

2011년 11월 2일,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은 프랑스 풍자 주간지『샤를리 에브도』에 실린 만화가 불경스럽다고 판단

잡지사를 공격한다. 사진 작가 크리스토퍼 펄롱은 볼테르가를 따라 움직이는 자유의 기치 행렬을 담았다.

그들의 머리 위에는 프랑스 예술가 JR이 스테판 샤르보니에으 눈으로 만든 거대한 사진 모자이크가 있다.

이것은 이상의 이름으로 죽음과 직면한 눈이다.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찍은 셀카

2015년 1월 - 화성 마운트 샤프

 

 

 

 

 

 

 

레스보스 섬에 상륙한 난민들(부분)

2015년 10월 1일 - 그리스 레스보스섬

사진의 주인공 소년은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본다. 임시변통으로 만든 구명 튜브의 존재를 잊은 듯하고,

차가운 물보라나 그를 잡고 안전한 곳으로 끌어 당기는 손의 존재도 알아차리지 못하는 듯하다.

『뉴욕타임스』특파원 기자들의 공동 작업물이다.

 

 

 

인용 : 페더리카 구아니에리 · 로베르토 모타델리 著 『세상을 바꾼 100장의 사진』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고굴 (1)  (0) 2019.12.19
海東 十八賢  (0) 2019.12.18
일출, 일몰 그리고 야경  (0) 2019.12.09
呑虛, 100년을 내다본 지혜 2  (0) 2019.11.14
呑虛, 100년을 내다본 지혜 1  (0) 2019.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