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한국 고지도 속의 독도 1


한국 고지도 속의 독도

(1편)



독도가 우리네 땅이라는 사실은 고난의 역사를 겪어낸 한민족에게는 불변의 진리이자 천리(天理).

과연 독도가 언제부터 우리의 영토가 되었으며, 고려나 조선에서는 어떻게 관리되었으며 조선의 공도정책은...?


안용복은 울릉도와 독도를 지키기 위해 어떤 활동을 했으며 19세기 이후 독도는 어떻게 관리되었으며,

칙령 제41호의 내용은 무엇이며 19세기 이규원이 울릉도에 파견되어 조사한 내용은...?


1905년 일본의 시마네현 독도 편입고시는 왜 불법이며, 2차 대전 후,

 연합국과 일본이 맺은 평화조약에서 독도 문제를 명확히 매듭짓지 않은 까닭은...?


방대한 내용이 수록된 한 권의 책을 곱씹어가며 

몇 차례에 걸쳐 이 자리에 옮겨보기로 한다.





천하여지도 모회증보본 天下輿地圖 慕繪增補本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초 | 190cm×180cm |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


1594년 명나라 학자 왕반(王拌)이 백군가(白君可)가 제작한 8폭 목판인본(木版印本) 흑백여지도에 지(識)를 붙인 지도가 있었다.

지금까지 중국의 왕반지도로 알려졌지만, 조선에서 1636-1644년에 이 지도를 비단에 채색하여 새로 한반도를 그려 넣었다.

 지도의 아래쪽 왕반이 쓴 글 옆에 조선인의 발문이 있는데, 그 내용에 "우리나라에 천하여지도가 있었는데 임진왜란으로 분실되었고

 이제 새로이 여지도 8폭을 얻어 그 지도에 우리나라아 일본, 유구 등의 지도를 붙인다."라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이 지도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처럼 중국 지도에 우리나라를 붙여 조선에서 그린 동아시아 지도로 병인양요(1866년, 고종 3)때 강화도

정족산 사고에서 프랑스 해군이 가져가 다른 전적과 함께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넘겨준 것이다.

울릉도 서쪽에 우산도(독도)가 명확히 그려져 있다.







천하대총일람지도天下大摠一覽之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말 / 155×128.5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중국과 유주국 그리고 우리나라를 그린 동양지도이다. 순흥은 표시되었지만 백두산정계비가 표시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17세기 말경에 제작된 지도일 것이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서쪽에 우산도(독도)를 표시한 것도 안용복의 울릉도와 독도

찾기운동이 있기 전에 제작된 듯하다. 하천은 잘 표시되었지만 산은 독립적으로 그려 산맥을 표시하지 않았으며

 도로망도 표시하지 않았다. 8도를 붉은색으로 구분하였다.








조선팔도지도朝鮮八道地圖

한국 / 1469 -1481 / 91×137cm /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조선 초기의 대표적 지도인 정척의 「동국지도」와 매우 유사한 지도이다. 비단 종이에 고급 안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지도로

국가에서 제작한 지도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수군 배치 지역에는 붉은 배를 그려 표시하였고, 해안가의 500여 개가 넘는 섬들을

 표시하였으며, 산맥과 하천도 잘 그렸고, 특히 도로망을 붉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서쪽에 우산도를 표기하였다.







조선팔도총람지도朝鮮八道總覽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 69.9×105.8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1673년(현종 14)에 김수홍(金壽弘)이 편찬한 「조선팔도고금총람도朝鮮八道古今總覽圖」와 같은 유형의 목판본 전국 지도이나,

역사적인 설명이 지도에서 제외되어 정돈된 느낌이다. 한양을 큰 원 안에 그려 나머지 지역과 축정이 동일하지 않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여인국 등도 표기했다. 울릉도 위쪽에 우산도(독도)가 표시되어 있다.







팔도전도八道全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 72.5×111cm /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함경도에 무산부가 없고 충청도의 병영이 해미현에 표기되었으며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지역의 표시가 불분명한 점 등으로 미루어

이 지도는 17세기에 제작된 듯하다. 그러나 경기도의 금천현이 시흥군으로 바뀐 것이 19세기인데 표시된 점 등으로 미루어

지도의 내용이 모순된다. 산맥은 연첩하여 그렸는데 산의 높이를 달리하여 표현하였으므로 입체감을 준다. 하천도 자세하게 그렸고

도로망은 각 군현간의 도로를 붉은색으로 표시하였다. 울릉도는 크게 그렸는데 우산도(독도)는 공간이 부족하여 조그마하게

표기하였다. 제주도와 대마도를 크게 그렸으며 대마도에서 일본까지는 작은 섬 이름을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해동팔도 봉화산악지도 海東八道烽火山岳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후반 / 149×219cm / 고려대학교대학원 도서관 소장


전국적으로 봉화(烽火)를 올리는 봉수터를 표시한 지도이다. 압록강과 두만강 그리고 경상도 지역에 봉수터가 밀집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들 지역은 국방상 중요했기 때문에 2중, 3중의 봉화망을 설치하였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서쪽에 우산도를 표기하여 두 섬이

우리나라의 영토임을 분명히 하였다. 프랑스 라페루즈 함장이 남긴 기록에는 1787년 5월 25일(정조 11)에 울릉도, 독도를

측정할 때 돛배 2척이 다가와 감시했으며 동해안 산봉우리마다 봉화가 올라갔다는 경계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해동여도海東輿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 75.5×198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조선방역도류의 조선 전기형 채색 필사본 지도이다. 전통적인 방위에 따른 색깔로 각 도를 표시했다.

중앙인 경기도와 충청도는 노란색, 전라도와 경상도는 남방색인 붉은색, 서쪽인 황해도는 흰색, 동쪽인 강원도는 푸른색,

북방의 평안도와 함경도는 검은색 계통으로 채색하였다. 바다를 파도무늬로 표기하였다. 울릉도를 표기하고

그 서쪽에 우산도를 표기하여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밝혔다.







신라고구려백제조조구역지도『지나조선고지도 支那朝鮮古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 28.5×31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 248장으로 구성된 중국과 조선의 역사적 사실을 지도로 제작한 역사지도책이다.

앞부분은 중국역사지도이고 뒷부분이 한국역사지도인데 197장에 이 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울릉도를 우산국

(羽山國)으로 표기하고 현재의 울릉도라고 적었다. 우산국은 울릉도와 우산도(독도)를 다스리던 해상왕국이었다.







팔도총도八道總圖 『역대지도歷代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 22.1×33.2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우공구주지도(禹貢九州地圖)로부터 명나라 지도까지 중국의 역대지도를 수록하였고, 우리나라는 팔도총도와 팔도의 지도를 도별로

수록한 채색 필사본으로 20장을 수록한 지도책이다. 『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팔도총도」를 그대로 필사한 지도로 울릉도를

표기하고 그 서쪽에 우산도를 표기하였다. 이와 같이 서쪽에 표기되는 이유는 조류의 흐름과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해동지도海東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중반 / 32.3×48.6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만주 지역까지 포함하여 묘사한 「조선방역도」류의 조선 전기형 지도로 17세기 중반경에 제작된 지도일 것이다.

산맥은 백두대간을 잘 표현했지만 다른 산맥이나 산을 표현하지 않았고 다만 하천의 표시는 비교적 잘 되어 있다.

각 군현간의 도로 표시도 없고 군현의 명칭만 기록하였다. 울릉도와 우산도(독도)는 분명하게 그렸는데

우산도(독도)를 울릉도의 서쪽에 표시하였다.







동국지도東國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중반 / 60.5×75.0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장으로 된 채색 필사본의 전국도이다. 도로는 붉은색으로, 하천은 청색 쌍선으로 그렸고, 산맥은 녹색으로

연첩하여 그렸다. 독도인 우산도가 우리나라의 내륙과 가까운 울릉도 서쪽에 표시되어 있다.







팔도총도八道總圖  『동지도關東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735년경 / 52.5×62.5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두 권으로 제작된 전국 지도책인데 제1책은 팔도총도와 경기도, 삼남 지방이, 제2책에는 강원도와 이북 3도가 포함되어 있다.

제1책의 「팔도총도」에서는 울릉도를 표현하고 그 서쪽 상단에 우산도(독도)를 그렸다. 제2책의 강원도 도별지도에서도

팔도총도처럼 울응도의 서쪽에 우산도(독도)를 표현하였다.







팔도총도八道總圖

한국 / 작자미상 / 17세기 말 / 90.5×125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충청도 해미현에 충청도의 병영이 표기된 점으로 미루어 17세기 말에 제작된 지도이다. 『조선방역도』와 마찬가지로

 만주까지 한국의 영토로 표시하였고 산맥과 하천의 표시가 비교적 상세하다. 울릉도를 菀陵島로 적었고,

우산도(독도)는 울릉도의 서쪽에 표기하였다.







조선전도朝鮮全圖 『조선지도朝鮮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 30.5×24.5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 13장으로 구성된 동람도식의 채색 필사본 지도로 민간인들이 많이 소장하였던 지도이다. 전국의 명산대천과

국가의 제사처만을 간단히 표시하였다. 울릉도를 표기하고 그 서쪽에 우산도를 명기하였다.







대동총도大東總圖 해동지도海東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중반 / 156.2×256.4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해동지도』는 8권으로 된 전국 군현 지도책이다. 제8책에는 「대동총도」라는 전국도가 수록되었는데

그 지도에서 울릉도를 표현하고 서쪽에 우산도(독도)를 그렸다.







아국총도我國總圖 여지도輿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후반 / 81.5×151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3첩 30장으로 구성된 지도책인데 제1첩에는 세계지도, 중국지도, 연행로도, 아국총도(我國總圖), 한성부지도, 일본, 유구, 관방지도 등이

수록되어 있고, 제2첩에는 8도의 도별지도가 있으며, 제3첩에는 중국의 성경성(盛京省) 등 16개 성의 지도를 수록한 종합적 지도책이다.

「아국총도」는 제1첩에 수록되어 있는데 바다 이름을 '동해(東海)'라고 뚜렷하게 표기하였으며,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표시하여 우리의 영토임을 분명히 하였다.







조선총도朝鮮總圖 『해동총도海東總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중반 / 32.5×42.2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 9장으로 구성된 동람도류의 채색 필사본 지도이다. 조선총도는 동람도와 비슷하게 국가의 제사처만을 표기하였다.

울릉도를 표기하고 그 서쪽에 방산도(方山圖)라고 표시한 것이 다른 지도와 차이가 있다.







팔역총도八域總圖 『조선지도朝鮮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중반 / 42.4×32.6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조선전도와 팔도의 도별지도, 중국지도, 천하도, 일본지도 등이 수록된 13장으로 구성된 도별 지도책이다. 전도인 『팔역총도』는

산천과 주요 도시만을 그린 간략한 형태인데,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서쪽을 대륙 쪽에 우산도(독도)를 그렸다.







조선전도朝鮮全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후반 / 134×251cm / 숭실대 박물관 소장


정상기의 「동국대지도」류의 채색 필사본 전국도이다. 산맥과 하천, 도로망의 표시가 비교적 자세하다.

 울릉도를 자세하게 묘사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표기하여 두 섬이 우리나라의 영토임을 분명히 했다.







조선팔도지도朝鮮八道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후반 / 93×168cm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장으로 제작된 족자형 전국도인데 정상기(鄭尙驥)의 「동국대지도」의 수정본 형태이다. 감영(監營), 병영(屛營), 수영

(水營)은 사각형으로, 진보(鎭堡), 역(驛)은 작은 원으로 표시하였다. 울릉도를 표기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그렸다.







조선전도朝鮮全圖 『해동도海東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말 / 61.8×99.3cm /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정상기의 「동국대지도」와 큰 차이가 없으며 산맥과 하천 도로망이 상세하게 표현되었고, 각 도의 군현을 오방색으로 표시하였다.

각 군현에서 서울까지의 일정이 표시되어 있으며 여백에 우리나라의 역사를 기록하였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표기하였다.







조선지도朝鮮地圖 『여지도輿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8세기 후반 / 28.5×30.3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6책으로 구성된 전국 군현지도책이다. 제1권에 조선지도가 있는데, 우산도(독도)는 울릉도의 서쪽에 있다.

제6권의 강원도 지도책 속의 울릉도 지도에서는 우산도(독도)를 울릉도의 동쪽에 표기하였다.







해좌전도海左全圖

한국 / 작자미상 / 19세기 후반 / 58.0×100.7cm /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장으로 된 채색 목판본 지도이다. 지도 주위에 고조선부터 조선까지의 강역과 연혁 등을 기록하였고, 울릉도, 대마도,

제주도, 흑산도 등의 내력을 기록하였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조그맣게 표시하였다.







아동여지도我東輿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9세기 초 / 55.5×98.5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 5도엽만 남아 있는 대동여지전도류의 전국도와 도별지도 책인데 이북의 함경도와 평안도, 황해도가 결본인 지도이다.

방안지도이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하며, 울릉도를 표기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표시하여 두 섬이 한국 영토임을 밝혔다.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9세기 초 / 57.0×98.7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책 9장으로 구성된 정상기의 「팔도분도」류의 채색 필사본이다. 전국도에는 단군조선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였다. 울릉도를 표기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표시하여 두 섬이 한국의 영토임을 밝혔다.







동국전도東國全圖

한국 / 작자미상 / 19세기 초 / 61.8×98.7cm /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정상기의 「동국대지도」류의 지도로 상부 중앙에 100리 자가 있고 우측 여백에 정상기 범레 일부를 요약하고 있다.

강릉(江陵)은 릉(陵)자만, 연안(延安0은 연(延)자만 적는 등 군현 이름을 1자만 적었고 어려운 글자는 여백에 글자를 모두 적었다.

백두산을 원래의 위치보다 위쪽에 표시하였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표기하였다.







총도總圖 『좌해여도左海輿圖』

한국 / 작자미상 / 19세기 중반 / 59.3×105.4cm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총도와 8도 도별도 등 9장으로 구성된 채색 필사본 지도책이다. 정상기의 「팔도분도」류의 지도인데 백리척의 표시는 없다.

산맥과 하천은 자세한데 도로망은 기간 도로만 표시했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표기하여

두 섬이 우리나라 영토임을 밝혔다.







조선전도朝鮮全圖

한국 / 작자미상 / 19세기 / 131.9×247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전국도인데 울릉도와 우산도(독도)를 잘 나타내고 있다. 울릉도는 산맥까지 표현하였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정확히 그려 놓아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팔도전도八道全圖  『도리도표道里圖表』

한국 / 작자미상 / 19세기 중반 / 57.7×102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지도의 표제는 「팔도전도」로 1장으로 된 채색 목판본 전국도이다. 정상기의 「동국대지도」유형의 지도이다.

지도의 여백에 군현, 역원, 병영과 수영, 산성 등을 주기하였고, 군현명 옆에 한양까지의 거리와 일정을 기록하였기

때문에 지도명을 「도리도표」라고 적었을 것이다.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독도)를 표기하여

두 섬이 우리 땅임을 분명히 하였다.








조선전도朝鮮全圖

한국 / 김대건 / 1846년 / 59×100cm /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1846년 김대건(金大建) 신부가 작성한 조선전도는 그 원본이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78년 사본이 국내에 입수되었다. 이 지도는 중국에 있던 프랑스 신부들에게 조선 입국 경로를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김대건 신부가 체포되기 직전 베이징의 프랑스 영사 드 몽티니에게 전달되었다. 이 지도는 독도가 울릉도 바깥쪽에 정확히

그려졌고, 울릉도는 'Oulengto'로 독도는 'Ousan' 즉, 우산(于山)으로 표기되어 독도가 한국 땅임을 서양에 알렸다.







조선총도朝鮮總圖 『여지도輿地圖』

한국 / 작자미상 / 1870년 / 22.5×28.5cm / 국립도서관 소장


1책 13장으로 구성된 동람도식의 채색 필사본 지도로 민간인들이 많이 소장하였던 지도이다.

동람도식으로 전국의 명산대천과 국가의 제사처만을 간단히 표시하였다. 울릉도를 강원도

위쪽에 표시하고 그 서쪽 하단에 우산도를 명기하였다.








조선국朝鮮國 『지나조선지도支那朝鮮地圖』

한국 / 작자미상 / 편년미상 / 19×28cm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지도의 표기 내용은 조선 초기의 동람도와 마찬가지로 간명하다. 강줄기는 잘 표시하였지만 산은 유명한 산들 중심으로 그렸다.

팔도의 도명을 평안도는 관서, 함경도는 관북 등으로 표기하였다. 지도의 형태는 조선 후기 지도 윤곽을 나타내며,

울릉도를 표시하고 그 동쪽에 우산도를 표기하여 두 섬이 우리 영토임을 분명히 하였다.



● 인용서적 : 이상태 著 『사료가 증명하는 독도는 한국 땅』








New Beginnings - Joseph Stevenson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이 제작한 고지도 속의 독도   (0) 2019.09.30
한국 고지도 속의 독도 2  (0) 2019.09.29
중용에 바탕을 둔 선비의 역사  (0) 2019.09.19
정약용의 친시親試 답안  (0) 2019.09.17
정조와 중용中庸  (0) 201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