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취월당

정약용의 친시親試 답안

 

 

앞서 "정조와 중용" 편에서 언급 했듯이 정조는 당대 재사들 모두가 성리학에 정통하기를 바랐다.

1781년(정조 5)부터 10여 차례에 걸쳐 138인의 초계문신抄啓文臣을 선발했다. 그 명칭을 '초계'라 한 것은

의정부의 추천을 거쳐 선발했기 때문. 왕은 37세 이하의 젊은 신하들을 선발하여 성리학을 연구하게 한것이다.

 

과강課講이라 하여 한 달에 두 차례씩 경전을 외우고 풀이하도록 했고, 과제課製라는 명목으로 매달 초하루마다

친시親試를 보았다. 임금이 창덕궁 희정당에 나와서 초계문신들이 논술을 작성하는 광경을 주관한 것.

장차 국가의 동량棟梁, 즉 정승 판서로 성장할 신하들의 성리학적 이념 무장을 촉구한 것이다.

 

허나 이 초계문신 제도를 비판하는 세력도 있었다. 노론의 영수 김종수 같은 이는

정조가 거만하여 스스로 성인 행세를 하며 신하들을 가르치려 든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진사시進士試 부터 주목을 받았던 정약용 조차 불만이 적지 않았던 듯.

 

이미 과거에 급제한 신하들을 마치 유생처럼 다루며 '이 책을 외워라', 저 구절의 뜻을 말해보라' 하는

요구가 끊임 없었던 데다, 작은 실수라도 할 양이면 노골적인 질책과 비판이 날아들었다고 하니

비록 앞날의 출세는 보장되었다고는 하지만 초계문신 노릇이 몹시 고달팠던 모양.

 

 

 

 

 

 

 

 

 

 

1790년(정조 14) 정약용이 초계문신으로 작성한 친시 시권詩卷(시험답안지)가

『다산시문집』(권8)에「중용책中庸策」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당시로선 최고 난이도의 문제에다,

당대 최고의 수재가 작성한 답안지였던 셈. 당시 약용의 나이 스물아홉이었다.

 

그는  한 해 전인 1789년, 식년시式年試(정규시험)에서 갑과甲科 아원亞元을 차지한 바 있었다.

60명을 뽑는 시험에서 2등으로 합격, 초계문신으로 발탁되었던 것. 여기서 당시 문제지와 답안지를 정밀하게

분석해보면 『중용中庸』에 관한 당시 조정의 태도와 인식이 어떠했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물론 당연히 정약용의 학문적 경향도 어느 정도 드러날 터이다.

 

정조라는 인물은 모두 다 알다시피 최고 학식의 소유자였던 데다 성품 또한 매우 꼼꼼했다.

당연히 시험 문제도 직접 검토했을 게 뻔하다. 그런 점에서 시험 출제 경향을 분석해 보면

당시 조정의 기대가 어떤 성격이었는지 알 수가 있을 것이다.

 

정약용은 답안을 작성할 때 시험 문제를 크게 6개 부분으로 나누었다.

의 특징을 묻는 1번 문제는 세부 질문이 따로 없으나, 나머지 5개 문제는 여러 개의 세부 질문으로 나뉘었다.

2번 문제는 '천명天命'을 다룬 것인데 5개의 작은 질문으로 구체화되었다. '천인합일'과 '중용'을 묻는 3번 문제는

 6개의 작은 질문으로 구획되었다. 4번 문제는 『중용』전편에 등장하는 여러 가지 개념의 정의를 물었는데 작은 질문이

10개나 되었다. 5번 문제는 주요 개념을 서로 비교하라는 주문을 했고, 같은 점과 차이점을 설명하라는 까다로운 문제였다.

자그만치 세부 질문이 17개나 되었다. 마지막 문제는 당대의 현실 문제를 진단하고, 『중용』 을 참고하여 대안을

제시하라는 문제로, 세부 질문이 6개였다. 「중요책」은 총 45개의 질문을 담고 있었다.

 

논술식 시험이라고 해도 『중용』에 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45개 질문 가운데 하나는 유실되어 현재 44개가 전한다. 5번 문항에 속하는 14개의 작은 질문에 대해서는 어떤

답을 썼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5번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에 관해서는 답안지가 그대로 남아 있어 참 다행이다.

 

 첫째 『중용장구집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들이 주를 이룬다. 주희의 해설 및 주석을

정확히 이해했는지를 주로 묻고 있는 것이다. 한 마디로 보수적 성리학을 강조하고 있다고 보면 틀림 없다.

출제 의도는 우선 『중용』의 주요 개념을 설명하라는 문제가 많다. 혼동하기 쉬운 다른 개념과 비교하라는 문항도

적지 않다. 요컨데 『중용장구집주』를 한 마디로 놓치지 말고 정확히 학습하라는 요구인 것이다.

 

둘째, 선비들의 관심사를 반영하는 문제도 다소 포함되었다. 그러나 최신 경향을 반영하라는 게 아니고,

이른바 해묵은 논쟁거리를 각자의 관점에서 정리하라는 주문이다. 가령 인성과 물성이 같은지 또는 다른지를

검토 하라는 식으로, 은연중 다르다는 답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의 이른바 호론湖論

(한원진은 충청도에 살았다)을 정통으로 보았던 것 같다. 또한 이기설에 관한 논의도 출제 되었다.

이 밖에도「중용책」에는 형이상학적 해석을 요구하는 문항이 여럿이다.

 

 

셋째, 당대의 현실 문제를 분석하고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지를 논하라는 문제다.

이것은 책문策問의 기본 형식에 '따른 것이다. 출제자는 현실을 비판하면서 대안을 요구했으나, 해답은

『중용』안에 있음을 암시한다. 당연히 독창적인 해답을 기대한다고는 보기 여려운 것일 터.


당시 정조의 조정은 충분히 보수적임을 알 수 있겠다.초계문신 조차도 창의적인 대안을 내놓기 보다는 주희의 학설에 충실해야 함을 주문하고 있음이다.「중용책」의 출제자는 누구였을까. 왕의 문집 『홍재전서』(제50권)에 「중용책」과 동일한 문제지가 실려 있다.그것이 초계문신을 대상으로 치른 과시課試 문제라는 설명으로 보아 출제자는 명백히 정조였음을 알 수 있다.1차로 치른 「중용책」의 시험 결과가 왕의 기대에 못미쳐 상재생上齋生 , 즉 성균관에서 공부하던 생원은 물론진사들도 동시에 이 시험을 함께 치렀다니 그 곤혹스러움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겠다.

 





 

 

 

정약용의 답안을 살펴 보면 주류 성리학계의 가르침에 순응한 듯 하면서도 성리학적인 사고와는 궤를 달리하는 짐짓 이탈의 모습도 간취할 수 있다. 아래는 이해를 위해 현대문으로 바꾼것이다.

Q 1: 인간[人]과 동물[物]의 천성은 같은가 다른가?
A 1: 하늘이 주신 성은性 만물도 다 받았다. 그러나 『중용』은 인성人性을 말한 것이다. 사람이라야 오상五常(즉 오륜)을 갖출 수 있다.
저자 논평: 동물도 인간과 다름없다고 주장한 것은 이른바 낙론洛論이다. 정약용은 인성이 특별하다는 호론湖論에 수긍하는 입장이다. 북학파의 홍대용은 낙론에 가까워, 이른바 화이론華夷論을 부정하고 인류 문명에는중심과 주변의 구별이 없다고 보았다. 정약용과는 달랐다.

Q 2: 비費와 은隱은 이치[理]요, 12장에서 말한 바, 솔개가 나는 것과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은 기운[氣]이다.기를 가지고 이를 비유한 것은 모순이 아닌가.

A 2: 군자의 도는 큰 틀에서는 모든 것이 되고, 좁혀서 말하면 은밀한 데 감춰진다. 그러므로 어리석은 한 쌍의 부부라도

알 수 있고 실천할 수 있어서 '비費'라 한다. 솔개와 물고기의 비유는 은隱을 문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 높고 묘하고 깊고 은미한 형상을 상징한다. 굳이 이기理氣로 설명할 것은 아니다.

 

저자 논평: 출제자는 이기설을 선호한다. 그러나 정약용은 이기설을 거부한다. 정조와 정약용의 차이다.

 

 

Q 3: 『논어』의 「이인편里仁篇」에 나오는 '일관一貫'은 곧 충서忠恕다. 13장의 "충서는 도와 가깝다

[忠恕違道不遠]"라는 표현은 초학자를 위한 것인가.

 

 A 3: 일관이 바로 충서다. 용서[恕]에 힘써 사랑[仁]을 구하는 것은 학자라면 누구나 힘써야 할 바다.

이를 실천하는데 어찌 높고 멀어 실천하기 어려운 일이 있겠는가. 선유가 주장한 일관에 관한

주장은 너무나 광대하고 현묘하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저자 논평: 여기서 보듯 정약용은 고매하고 현묘한 것보다는 일상에서의 실천을 중시했다.

성호 이익과 같은 태도였다.

 

 

Q 4: 세상은 어찌하여 격格이 점점 낮아지고 학술이 밝지 못하는가.

 

 A 4: 어찌해서인지 후세의 학자들은 지혜[知]를 얻으려 서두르고 실천[行]에는 힘쓰지 않는다.

형적形迹만 찾고 마음은 구하지 않는 것이다.

 

저자 논평: 정약용 나름의 현실 비판이지만 지나치게 원론적이다.

 

 

Q 5: 존양存養 공부가 어떤 것인지도 모르고, 그윽한 곳에 혼자 있을 적에는 성찰 공부가

어떤 것인지 알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A 5: 사람의 마음이 어리석고 완악하여 우주의 모든 이치를 꿰뚫는 이가 없다고 여긴다.

그리하여 방자하여 기탄이 없고, 겉으로 선한 체하면서 안으로는 약하다.

 

A 5: 배우는 사람은 진심으로 경계하고 삼가며[戒愼] 진실한 마음으로[實心] 더욱 두려워하여[恐懼]

하늘과 사람의 본성과 천명[天人性命]의 근원을 추구할 일이다. 성현의 대월對越 공부를 따라

부지런하고 두렵게 여겨 조금도 안일하거나 방사하지 말아야 한다.

 

A 5: 고요할 때는 굳센 바위처럼 혼매함이 없고 움직일 때는 사나운 말처럼 조급함이 없어야, 인욕의

사리[私]를 막고 천리의 공정함[公]을 보존하여 중용의 대본과 달도가 거의 만회되고 이어질 것이다.

 

 

인용: 백승종 著 『중용, 조선을 바꾼 한 권의 책』

 

 

 

..............................................................................................................................................

 

 

 

 

 책 내용 곳곳에서 저자는 정약용과 ' 천주교 신앙'과의 결부를 언급하고 있다.

다산학을 했다는 누군가는 정약용은 결단코 천주쟁이가 아니었다고 하는 가운데

근래들어 모 학자는 심지어 다산이 신부 서품을 득한 인물임에 틀림없다고 주장 한다고 들었다.

 

 세평으론 정조가 조선의 르네상스 시대를 이끌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내부를 들여다 볼라치면, 시험과 세력 중심의 조선 사회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패거리 문화를 고수하며 개혁을 회피하거나 거부하고 있었다는 사실.

 

당쟁에만 골몰해온 그들에게는 오로지 '정학正學'이라는 주희의 가르침만이 존재하고 있는 것.

 시대 변화의 요구가 아무리 거세어도 그들은 변화를 거부하고 

오로지 기성의 가치만 좇고 있었음이 명백하다.

 

아~~!

 이 어찌 안타까운 일이 아닌가.

 

 

 

 

 

 

Serenity II - Michael Hoppe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고지도 속의 독도 1  (0) 2019.09.29
중용에 바탕을 둔 선비의 역사  (0) 2019.09.19
정조와 중용中庸  (0) 2019.09.10
한국 재즈 음반사 2  (0) 2019.09.09
한국 재즈 음반사 1  (0) 201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