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는 인간이 품고 있는 본능적 소망일 터이다.
장수를 테마로 한 민화는 신선사상과 관련이 깊다. 특히 요지연도, 반도도, 동방삭도 등
서왕모(西王母) 신앙에서 비롯된 그림들이 많이 그려졌다.
신라시대 선도산(仙桃山)의 성모(聖母) 설화는 중국 서왕모 신화의 신라적인 변용이고,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오는 신선표현이나 신라의 천마도 등도 모두 신선사상과 관련된 도상들이다.
요지연도(瑤池宴圖)
134.2×47.2 견본채색 19세기 경기도박물관
요지연도는 중국 한(漢)나라 무왕(武王, 또는 주(周)나라 목왕(穆王)이 서왕모의 거처인 곤륜산(崑崙山)의 요지(瑤池)에서 열리는 연회에 초대 받아 즐기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화면 전체를 감싸고 있는 구름은 신선이 사는 곳의 상서로운 기운을 나타내고 삼천년만에 열린다는 반도(蟠桃)가 주렁주렁 열려있다. 바다 저편 먼 이향향의 장소를 향해 파도를 타고 건너오는 여러 신선들의 휘날리는 옷자락은 굽이치는 파도와 함께 신성한 기운을 전달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표범의 꼬리에 호랑이 이빨을 하고, 괴수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는 서왕모늕 이 그림에서 아름다운 여성으로 묘사되어 있고, 하늘거리는 옷자락을 휘날리며 악기를 연주하고 춤을 추는 선녀들과 그 사이에 함께 춤추는 봉황과 같은 요소들이 신선들의 연회에 화려함과 상서로움을 복돋아주는 장치로 그려졌다. 연폭에 그려진 이 그림은 장대한 규모의 크기에 세밀한 필치와 채색 등이 어우러져
궁중화원의 솜씨를 느끼게 한다.
요지연도 좌측 부분
요지연도 우측 부분
요지연도 세부
요지연도 세부
요지연도 세부
요지연도 세부
십장생도
42.5×215.3 견본채새 19세기 후반 통도사성보박물관
해 · 산 · 물 · 구름 · 소나무 · 사슴 · 학 · 거북과 같은 장생을 상징하는 것들을 구성하여 그린 그림이다.
오른쪽에 암산과 낮은 둔덕에 소나무를 배치하고 왼쪽 귀퉁이에는 절벽 같은 암석과 폭포가 전체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구름의 서기(瑞氣)를 모아 쏟아 내듯 암석에서 내려오는 폭포와 전체 땅을 비추듯 붉고 선명하게 그려진 해는 현실의 세계를 떠나 이상향의
세계에서 사는 장생물들의 신비로움을 느길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여 준다. 바닷가엔 서기를 내뿜는 거북 한 쌍, 영지가 지천에 돋아난
둔덕 위를 한가로이 걷고 있는 사슴, 붉은 해가 솟아오른 바다 위로 힘차게 날아가는 두 마리 학 등이 이상향의 천지에서 천수를 누리는
서기어린 느낌으로 표현되어 있다. 계열로는 다소 소박한 구성을 보이는 작품이다.
좌측 부분
우측 부분
나전경대 높이 14.0 19세기 덕성여자대학교박물관
거울과 서랍으로 구성되었으며, 다리는 몸체와 연결되어 있다.흑칠 바탕에 나전으로 앞면에는 화조도, 측면에는 사슴, 불로초, 학, 소나무, 대나무 등의 십장생을 시문하였다.
투각찬합 높이 25.4 19세기 계명대학교박물관
4개의 서랍이 궤에 들어가 있고 문판을 내려 닫는 형식의 목재 찬합으로 옻칠도 마무리 되어 있다.궤의 앞면과 옆면에 십장생문양으로 투공을 내어 내장된 서랍이 밖에서 보이도록 하였는데, 앞면에는 소나무를 배경으로사슴과 불로초와 배치하고 옆면에는 심하게 굴곡을 이루는 소나무 한 그루가 장식되어 있다.
수성노인도 134.2×47.2 견본채색 19세기 경기도박물관
수노인은 인간의 수명을 좌우하는 신으로 알려진 도교의 신선이다. 수성(壽星)은 도교에서 신성시하는 별자리인 남극성(南極星)이 의인화된 것으로, 수노인, 수성노인, 남극노인, 남극노인성 등으로 불린다. 작은 키, 흰 수염, 대머리, 불거진 이마와 3개의 주름, 발목까지 덮는 긴 도포,두루마리를 손에 든 모습으로 그려진다. 후대에 오면 장수를 상징하는 의미가 강조되어 사슴을 타고, 영지(靈芝)나 복숭아와 같은 장수 상징물을 들고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수노인의 외모적 특징이 과장되게 잘 표현되어 있으며 의습선 등 필선도 비교적 자연스러운데 반해 사슴의 털은 눈동자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도식적으로 퍼져나간 모습이나 몸통의 줄지어 그려진 모습 등이 상당히 도식적으로 그려져 대조를 이룬다.
● 인용서적 : 부산대학교 『행복이 가득한 그림 민화』
'자연 > 취월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해탐매(己亥探梅) 3 (0) | 2019.03.24 |
---|---|
민화 7 <액막이> (0) | 2019.03.23 |
기해탐매(己亥探梅) 2 (0) | 2019.03.22 |
민화 5 <산수화> (0) | 2019.03.22 |
민화 4 <삼국지도10폭병풍 > (0) | 2019.03.22 |